$\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치매예방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the Elderly People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5 no.2, 2019년, pp.138 - 146  

최원희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  서영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김보람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of the elderly people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113 elderly people who met the eligibility criteria. Demographic variables, variables of the H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치매 고위험 집단인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 예방 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 중재 마련을 위해 확장된 건강신념모형의 구성요소와 치매 두려움을 중심으로 치매예방 행위의도와 관계를 파악하고 치매예방 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신념모형에 대한 비판으로 설명할 수 있는것은? 두려움은 심각하고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지되는 것에 반응하는 인간의 기본적 감정으로, 건강위험을 인지할 때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감정을 제거하기 위해 권고된 행동을 이행하게 된다는 것이다[21]. 따라서 치매의 경우에도 치매 발병에 대한 사람들의 두려움의 정도에 따라 권고된 예방수칙의 수행정도가 달라진다고 가정할 수 있다. Azen [22]은 특정 행위 수행을 얼마나 자발적으로 열심히 하려는 지에 대한 개인의 의사를 의미하는 의도가 행위를 결정하는 근접된 요인이라고 주장하였다.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는 기억력 저하, 말을 하거나 이해하는 능력의 저하,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감각장애, 성격변화가 생기고, 계산능력이 떨어지는 등의 다양한 증상이 동반되는 다발성 인지기능 장애이다[1]. 치매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발병률이 증가하는 질환으로 2018년 기준 65세 이상 우리나라 치매환자 수는 750,488명으로 전체 노인 인구의 10.
건강신념모형은 어떠한 목적의 모형인가? 건강신념모형은 사람들의 예방적 건강행위를 예측하고 설명하는 모형으로[10,11], 바람직한 건강행위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건강행위와 관련한 신념과 동기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시되어 있다[12]. 이 모형은 초기에 지각된 민감성, 심각성, 유익성, 그리고 장애성으로 구성되었으나12), 최근에는 행동단서, 건강동기, 자기효능감 등을 추가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건강행위를 예측하고 설명하고 있다[13,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9. Dementia guide book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9[cited 2019 August 2]. Available from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202 

  2.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9.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annual report 2018. [Internet].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9 [cited 2019 August 3]. Available from: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183 

  3. Lee DW, Seong SJ. Korean national dementia plans: From 1st to 3rd.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8;61(5):298-303. https://doi.org/10.5124/jkma.2018.61.5.298 

  4. Norton S, Matthews, FE, Barnes D, Yaffe K, Brayne C. Potential for primary prevention of Alzheimer's disease: An analysis of population-based data. Lancet Neurology. 2014;13(8):788-94. https://doi.org/10.1016/S1474-4422(14)70136-X 

  5. Ko S, Jung Y, Kim Y. The Social burden and care management for people with dementia. Policy report. Sejong City: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 December. Report No: 2016-04. 

  6.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ction plan on the public health response to dementia 2017-2025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cited 2019 August 3].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mental_health/neurology/dementia/action_plan_2017_2025/en/ 

  7. Kim B, Lee O, Kim Y, Choi Y, Beon S, Kim G. Global trends of dementia policy 2018. Policy report. Seongnam city: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8. December. Report No: NIDR-1801-0022. 

  8. Kim KM, Yang YO. The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of the elderly lived in the urban-rural complex c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485-92.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485 

  9. Cho I. Lifestyle behaviors for the prevention of Alzheimer's disease in middle-aged and olde adul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019;10(2):455-68. http://dx.doi.org/10.22143/HSS21.10.2.33 

  10. Janz NK, Becker MH. The health belief model: A decade later.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84;11(1):1-47. https://doi.org/10.1177/109019818401100101 

  11. Lee BK, Sohn YK, Lee SL, Yoon MY, Kim MH, Kim CR. An efficacy of social cognitive theory to predict health behavior a meta-analysis on the health belief model studies in Korea. Journal of Public Relations. 2014;18(2):163-206. https://doi.org/10.15814/jpr.2014.18.2.163 

  12. Champion VL.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model construct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4;6(3):73-85. 

  13. Reynolds KD, Metz DS, Unger J. Health behaviour research and intervention. In: Wallace R, editors. Public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New York, NY: The McGraw-Hill Companies; 2007. pp. 941-2. 

  14. Kim S, Sargent-Cox K, Cherbuin N, Anstey KJ. Development of the motivation to change lifestyle and health behaviours for dementia risk reduction scale.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Extra. 2014;4(2):172-83. https://doi.org/10.1159/000362228 

  15. Werner P.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s to seek a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A study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Inter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3;18(9):787-94. https://doi.org/10.1002/gps.921 

  16. Harada K, Lee S, Shimada H, Lee S, Bae S, Anan Y, et al.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articipation in screening for cognitive impairment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2017;17(8):1197-204. https://doi.org/10.1111/ggi.12841 

  17. Kim YR, Kim GS.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dementia screening test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7;31(3):464-77. http://dx.doi.org/10.5932/JKPHN.2017.31.3.464 

  18. Oh HK. Influencing factors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in the elderly [master'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17. pp. 1-55. 

  19. Seydel E, Taal E, Wiegman O. Risk-appraisal, outcome and self-efficacy expectancies: Cognitive factors in preventive behaviour related to cancer. Psychology and Health. 1990;4(2):99-109. https://doi.org/10.1080/08870449008408144 

  20. Floyd DL, Prentice-Dunn SM, Rogers RW. A meta-analysis research o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000;30(2):407-29. https://doi.org/10.1111/j.1559-1816.2000.tb02323.x 

  21. Cha DP. The study on the predictive power of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2005;27(3):91-114. 

  22.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1991;50(2):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23.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91.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4. French SL, Floyd M, Wilkins S, Osato S. The fear of Alzheimer's disease scale: A new measure designed to assess anticipatory dementia in older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2;27(5):521-28. https://doi.org/10.1002/gps.2747 

  25. Moon YS, Kim HJ, Choi H, Oh SI, Han SH.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ear of Alzheimer's disease scale for the assessment of anticipatory dementia. Journal of Korean Medicine Science. 2014;29(3):411-15. http://dx.doi.org/10.3346/jkms.2014.29.3.411 

  26. Ajzen I. Constructing a TPB questionnair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Internet].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2002[cited 2019 February 15]. Available from: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userFS6qgIwAAAAJ&hlen 

  27. Sohn Y, Lee B. An efficacy of social cognitive behavior model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12;56(6):127-61.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060403 

  28. Kim S, Sargent-Cox KA, Anstey KJ. A qualitative study of older and middle-aged adul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s dementia and dementia risk reduction. Journal of The Advanced Nursing. 2015;71(7):1694-703. https://doi.org/10.1111/jan.12641 

  29. Yoo SW, Park KH, Na EY. The effect of psychological reactance and fear of influenza A(H1N1) message on the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10;54(3):27-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