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건강정보 미디어 이용과 건강관심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lth Information Media Use and Health Interes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5 no.2, 2019년, pp.147 - 156  

양남영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송민선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information media use, health interes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he influence fa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44 nursing students in D city. Data collection was co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대학생의 건강정보 미디어 이용과 건강관심도 및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련성과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정보 미디어 이용과 건강관심도 및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확인하고,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건강한 성인기를 이루어 전문간호인으로서 대상자의 건강관리자로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중재 방안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의 건강정보 미디어 이용은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었고, 건강관심도와 건강증진행위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는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중 학년, 거주형태,보건관련 웹사이트 필요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정보 미디어 이용과 건강관심도 및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확인하였고, 건강정보 미디어 이용과 건강관심도가 건강증진행위를 촉진하는 데 영향요인으로서 작용하는 변수인지를 파악하였으며 성인기와 노년기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학생 시기의 올바른 건강증진행위를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건강정보 미디어 이용과 건강관심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함이고,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미디어 이용 정도와 건강에 대한 관심도 및 건강증진행위를 확인하고, 건강증진행위의 영향 변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들이 정확한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올바른 건강증진행위를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정보 자원으로써의 인터넷의 장점은 무엇인가? 최근 인터넷 정보의 폭발적인 성장과 건강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맞물려 인터넷은 건강정보를 빠르고 쉽게 획득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건강정보 자원으로써의 인터넷의 장점은 환자들에게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원하는 정보에 접근 가능하게 하고 유사한 건강상의 문제나 경험을 가지고 있는 타인들과 소통을 통하여 정보 교환은 물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는 데 있다[5]. 실제 인터넷이 주요 건강정보원의 역할을 하게 되면서 만성질환관리를 위한 주요 자원으로도 활용되기 시작하여 온라인 건강정보가 소비자들의 건강행동이 나 건강결과에 영향을 주고 있고[2,6], 의료현장에서는 환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관련 건강정보를 찾아보고 의사와 의사소통하는 경향이 많아 온라인 건강정보 검색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7].
건강증진행위란 무엇인가? 건강증진행위는 개인의 안녕, 자아실현 및 성취감의 수준을 유지하거나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자기주도적 행동이나 지각의 다차원적인 양상을 말하며[9], 각종 미디어를 이용하여 탐색한 건강정보를 통해 자신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행위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건강증진행위는 개인 이 지각하는 자신의 건강상태나 건강에 대한 태도 및 관심 정도와 관련이 있다[10].
건강정보는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이유는? 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심은 질병을 치료하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식습관, 운동, 사회활동 등의 일상생활 전반에서 건강을 향상시키고자 여러 가지 방법을 모색하는 행위로 이어진다[11].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사람은 의사를 방문하기 전에 인터넷에서 건강정보를 검색하여 자신의 질병치료에 주도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게 되며 의료인과의 소통이 잘 이 루어지기도 하는[12] 반면 건강정보 과잉과 혼동을 인지함에도 건강정보를 맹신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8]. 이는 건강한 삶이 중요한 사회적 의제로 부각되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정보 생산자의 등장으로 정보 유통이 활성화되면서 사람들은 정보에 대한 단순한 수용자가 아닌 능동적 이용자로 변화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3]. 따라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건강정보는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이 보장된 정보여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Viswanath K, Nagler RH, Bigman-Galimore CA, McCauley MP, Jung M, Ramanadhan S. The communications revolution and health inequalities in the 21st century: Implications for cancer control.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2012;21(10):1701-8. https://doi.org/10.1158/1055-9965.EPI-12-0852 

  2. Kye SY, Park KH. Factors affecting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by channels. Korean Journal Health Educational Promotion. 2018;35(2):1-11. https://doi.org/10.14367/kjhep.2018.35.2.1 

  3. Lee M, Shin HG, Lee MJ, Park CY. Research trends and policy issues of health literacy in Korea. Journal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2018;6(1):22-32. https://doi.org/10.34161/johta.2018.6.1.004 

  4. Jo HS, Kim HJ, Song YLA. The analysis of health related behavior after using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2008;41(2):121-7. https://doi.org/10.3961/jpmph.2008.41.2.121 

  5. Kim SJ. An exploratory study of undergraduates' health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s in social medi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2012;23(4):239-6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239 

  6. Chiolm DJ. Does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act like a health behavior?: A test of the behavioral model. Telemedicine Journal and E-Health. 2010;16(2):154-60. https://doi.org/10.1089/tmj.2009.01.02 

  7. Anker AE, Reinhart AM, Feeley TH. Health information seeking: A review of measures and methods. Patient Education & Counselling. 2011;82(3):346-54. https://doi.org/10.1016/j.pec.2010.12.008 

  8. Kim JM, Choi JW, Park DJ. The influence of health information overload caused by media use on health information distrus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2018;20(2):37-63. https://doi.org/10.16914/kjapr.2018.20.2.37 

  9.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https://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10. Park SJ, Lee YH. Effects of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attitude, and health concer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adul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12):192-202.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192 

  11. Kim SE, Oh JA, Lee YM. Health literacy: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Journal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2013;19(4):558-70.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558 

  12. Son HJ, Lee KE. The influence of health concern, health anxiety, and communication with healthcare providers on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the internet.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 Statistics. 2019;44(1):73-82. https://doi.org/10.21032/jhis.2019.44.1.73 

  13. Kim SD, Kim MG.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approach to health information on improvement of health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5):3268-75. https://doi.org/10.5762/KAIS.2015.16.5.3268 

  14. Invanitskaya L, O'Boyle I, Casey AM. Health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etencies of information age students: Results from the interactive online research readiness self assessment (RRSA).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06;8(2):188-99. https://doi.org/10.2196/jmir.8.2.e6 

  15. Son YH, Cho Hj, Park JC. Research on the survey of health-oriente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015;26(6):179-206. 

  16. Lee SY, Suh SR.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and self-care agen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 Statistics. 2018;43(2):126-33. https://doi.org/10.21032/jhis.2018.43.2.126 

  17. Kim YR.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news usage on influenza A (H1N1) and media users' behavioral intention toward personal and public health protection: Focusing o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2010;51:5-25. 

  18. Bang JH. A behavioral research for the college students' interest of health information: Focused on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dissertation]. Seoul: Seokyeong University; 2015. pp. 1-87. 

  19. Kim MN. Adolescent's dietary behaviors, health interest, nutrition knowledge: Its effects on their intakes of nutritional supplement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3. pp. 1-87. 

  20. Seo YO. Structural model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 of middle aged women.[dissertation]. Seoul: Kyunghee University; 1995. pp. 1-111. 

  21. Dutta-Bergman MJ. Primary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Comparisons in the domain of health attitudes, health cognitions, and health behaviors. Health Communication. 2004;16(3):273-88. https://doi.org/10.1207/S15327027HC1603_1 

  22. Kim HO, Lee EJ, Sung M, Kim MK.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drugs and the current status of self-medication of nursing students. Health Communication. 2018;13(2):185-93. https://doi.org/10.15715/kjhcom.2018.13.2.185 

  23. Byun EK, Kim MY. Factors influencing dietary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y Psychiatry Mental Health Nursing. 2016;25(2):81-8. https://doi.org/10.21032/jhis.2018.43.2.126. 

  24. Lee SJ, Baek HC.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5;28(3):220-8. https://doi.org/10.15434/kssh.2015.28.3.220 

  25. Yang SY, Park KO. Associations between community residents' perceived acceptance of health information and their behaviors in Incheon.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018;26(2):65-80. https://doi.org/10.31324/jrs.2018.06.26.2.65 

  26. Park DY, Kim MJ.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 health perception,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7;17(6):561-70.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561 

  27. Lee YH, Ji EJ, Yun OJ. Health concern,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e-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in aged women: Focused on 60-70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2019;9(4):39-47.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4.0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