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 현황 및 추이
Status and Trend of Home Health Nursing for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ciarie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5 no.2, 2019년, pp.157 - 165  

황라일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  박소영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easures and promoting home health nursing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in home health nursing for long-term care (LTC) insurance beneficiaries. Methods: Secondary data, including annual LTC insurance statistics rep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노인장기요양제도 도입 이후 지속적으로 수급자가 가능한 익숙한 환경에서 오래 머물 수 있도록 재가서비스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보장성을 확대하고 있으나, 노인의 건강상태와 요구에 따른 개별화된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수단인 방문간호는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 통계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 인력 이차자료 분석을 통해 방문간호의 현황 및 추이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방문간호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의의는 어디에 있는가?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는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노인에게 제공되는 유일한 의료서비스로서 장기요양요원인 간호사 등이 의사, 한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방문간호지시서에 따라 수급자의 가정 등을 방문하여 간호, 진료의 보조, 요양에 관한 상담 또는 구강위생 등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기존 퇴원 환자 대상 가정간호서비스나 저소득 취약 계층 대상 방문보건서비스에 머물러 있던 방문간호 대상자를 장기요양보험 수급자로 확대하여 방문간호사의 활동 대상 및 범위가 넓혀졌다는데 제도적 의의가 있다[7]. 또한 노인의 의료적 문제가 커지기 전 예방의 효과를 줌 으로써 국민의료비 절감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8,9].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란 무엇인가?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는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노인에게 제공되는 유일한 의료서비스로서 장기요양요원인 간호사 등이 의사, 한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방문간호지시서에 따라 수급자의 가정 등을 방문하여 간호, 진료의 보조, 요양에 관한 상담 또는 구강위생 등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기존 퇴원 환자 대상 가정간호서비스나 저소득 취약 계층 대상 방문보건서비스에 머물러 있던 방문간호 대상자를 장기요양보험 수급자로 확대하여 방문간호사의 활동 대상 및 범위가 넓혀졌다는데 제도적 의의가 있다[7].
재가서비스가 대체로 가사 지원 위주의 방문요양으로 편중된 결과는 무엇인가? 더구나 노인 및 가족이 재가급여서비스를 선택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거, 요양, 의료서비스 및 생활 지원의 긴밀한 연계와 제공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수급자의 욕구 및 기능상태보다는 보호자의 선호, 급여제공자의 유인 등에 의해 급여 종류와 양이 결정되어 재가서비스가 대체로 가사 지원 위주의 방문요양으로 편중되고 있다[5,6]. 그 결과 수급자의 특성상 의료서비스가 필요하여 노인 개개인의 건강상태와 요구에 따른 개 별화된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수단인 방문간호가 제공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Park SN. Activity limitation and health life of elderly person. KOSTAT Statistics Plus. 2018;3:28-49.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Long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2017. Health Statistics Repor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8. Report No:11-B550928-000047-10. 

  3. Lee JM, Park MJ, Han EJ, Seo EY. Medical needs management plan for elderly residents. Health Policy Repor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8. Report No: 2012-19. 

  4. Lee YK. Current status of and barriers to home and community care in the long-term care system. Health & Social Welfare Forum. 2017;259:77-89. 

  5. Suk JE, Park SS, Kwon HJ, Choi SH. Long-term care home service reform plan. Health Policy Report. Os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n Society of Senior Welfare: 2016. Report No: 11-1352000-001830-01. 

  6. Jin YR, Lee HY, Kim W, Sung HY, So ES. Long-term care benefit development standard development and utilization plan. General Report. Osong: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Report No: 2011-71. 

  7. Lee JS, Han EJ, Kang IO. The characteristics and service utilization of home nursing care beneficiaries under the Korean long term care insur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1;22(1):33-44. 

  8. Lee SJ, Kwok, CY. Effects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on utilization of health care.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6;27(3):272-83. http://dx.doi.org/10.12799/jkachn.2016.27.3.272 

  9. Hastings SN, Heflin MT. A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to improve outcomes for elders discharged from the emergency department.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05;12(10):978-86. doi:10.1197/j.aem.2005.05.032 

  10. Lee YK, Jung HS, Suk JE, Seo DM, Song HJ, Lee JS, et al. Second long-term care basic plan establishment study. Health Policy Report. Os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n Society of Senior Welfare. 2017. Report No: 11-1352000-002205-01 

  11. Lim JY, Kim EJ, Choi KW, Lee JS, Noh WJ. Analysis of barriers and activating factors of visiting nursing in long-term care insuranc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8):283-99.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8.283 

  12. Sung, MS, Jang HJ, Kim CG, Kang KH, Nam KA, Park JD. Comparative study of home nursing care service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four n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10;24(2):211-25. 

  13. Kim MH. Roles of visiting nurses defined based on long-term care insurance regulation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09;23(2):232-50. 

  14. Lee MK. Job identification of home visiting nurses based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program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10. pp.1-81. 

  15. Yoo SH. Determinants of long-term care home-visit nursing service utilization [master's thesis]. GwangJu: Junnam University; 2015. pp.1-31. 

  16. Choi HJ. Rational role-sharing of health and welfare in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harmonization of sharing and linkage [Internet]. Seoul: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2011 [cited 2019 May 16]. Available from: https://www.peoplepower21.org/Welfare/857901 

  17. Lee ID. Long-term care applicant level 1 decision... Seoul Seocho 12.5% VS Jeonbuk Gochang 1.3%. Gangwon Disabled Welfare Newspaper. 2017 November 05; Sect. 01. 

  18. 社保審-介護給付費分科?. 訪問看護 [Internet]. Tokyo; 厚生??省: 2017[cited 2019 May 25]. Available from: https://www.mhlw.go.jp/file/05-Shingikai-12601000-Seisakutoukatsukan-Sanjikanshitsu_Shakaihoshoutantou/0000170290.pdf 

  19. Kim EK, Kim YM, Kim MA. Estimation of nursing costs based on nurse's visit time for long-term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3):349-58. 

  20. Lee JS, Hwang RI, Han EJ. Trends in home-visit nursing care by agencies' characteristics under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2;23(4):415-26. 

  21. Lee HY, Park SY, Monn YP, Jung J, Kim GB. 2017 Long-term care institution panel management survey. Health Policy Repor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8. Report No. 2018-1-0011. 

  22. Ryu, HS. Arita, K. Policy implications for home-visit nursing (HVN) of the korean long term care insurance through the implications of the Japanese HV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5; 29(3):403-11. http://dx.doi.org/10.5932/JKPHN.2015.29.3.403 

  23. Yoo AJ. Current issues and tasks of integrated home care service reimbursement pilot project in long-term care insurance. Public hearing for integrated home care service; 2019 Febuary 28; Seoul. Public hearing for integrated home care service at center: 2019. pp.1-34. 

  24. Jung HS, Park JD, Kim SH, Choi EH, Park HY, Kim AR. Activation of integrated home service in response to the aging age. Health Policy Repor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4. Report No. 2014-06. 

  25. Yoon JY. Super aging society and community care: Roles and tasks of nursing practice. Korean Long-term Care Association; 2018 November 2; Seoul. Korean Long-term Care Association Autumn Conference 2018. pp.8-12. 

  26. Seo DM, Kim W, Moon SH, Go Y. Study on improvement of day and night protection benefit system. Cheonan city. Baekseok Universit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27. Fukui, S, Yamamoto, MN, Fujita, J. Five types of home-visit nursing agencies in Japa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livery: Cluster analysis of three nationwide surveys. BMC Health Service Research. 2014;14(1):644. http://dx.doi.org/10.1186/s12913-014-064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