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easures and promoting home health nursing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in home health nursing for long-term care (LTC) insurance beneficiaries. Methods: Secondary data, including annual LTC insurance statistics reports for 2010-2017 and LTC manpower data, were used to compute current status and trends in the provision of home health nursing. Results: Beneficiaries of home health nursing under LTC insurance, insurance-covered costs for home health nursing, home health nursing provider, and home health nursing providing institution only accounted for 3% of all insurance-covered home care services, and were on a consistent decline since 2010. In particular, vulnerable rural regions with high proportion of individuals had poor infrastructure in terms of home health nursing institutions and manpower, but had a higher home health nursing utilization rate compared to urban regions. Conclusion: In addition to measures to support home health nursing service beneficiaries, policy measures are needed to support home health nursing service personnel and institutions. Furthermore, programs to cultivate the expertise of home health nurses and improve quality of home health nursing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promote home health nursing utilization in vulnerable rural regions.
노인장기요양제도 도입 이후 지속적으로 수급자가 가능한 익숙한 환경에서 오래 머물 수 있도록 재가서비스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보장성을 확대하고 있으나, 노인의 건강상태와 요구에 따른 개별화된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수단인 방문간호는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 통계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 인력 이차자료 분석을 통해 방문간호의 현황 및 추이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방문간호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 |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의의는 어디에 있는가? |
기존 퇴원 환자 대상 가정간호서비스나 저소득 취약 계층 대상 방문보건서비스에 머물러 있던 방문간호 대상자를 장기요양보험 수급자로 확대하여 방문간호사의 활동 대상 및 범위가 넓혀졌다는데 제도적 의의가 있다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는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노인에게 제공되는 유일한 의료서비스로서 장기요양요원인 간호사 등이 의사, 한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방문간호지시서에 따라 수급자의 가정 등을 방문하여 간호, 진료의 보조, 요양에 관한 상담 또는 구강위생 등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기존 퇴원 환자 대상 가정간호서비스나 저소득 취약 계층 대상 방문보건서비스에 머물러 있던 방문간호 대상자를 장기요양보험 수급자로 확대하여 방문간호사의 활동 대상 및 범위가 넓혀졌다는데 제도적 의의가 있다[7]. 또한 노인의 의료적 문제가 커지기 전 예방의 효과를 줌 으로써 국민의료비 절감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8,9]. |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 |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란 무엇인가? |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노인에게 제공되는 유일한 의료서비스로서 장기요양요원인 간호사 등이 의사, 한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방문간호지시서에 따라 수급자의 가정 등을 방문하여 간호, 진료의 보조, 요양에 관한 상담 또는 구강위생 등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는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노인에게 제공되는 유일한 의료서비스로서 장기요양요원인 간호사 등이 의사, 한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방문간호지시서에 따라 수급자의 가정 등을 방문하여 간호, 진료의 보조, 요양에 관한 상담 또는 구강위생 등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기존 퇴원 환자 대상 가정간호서비스나 저소득 취약 계층 대상 방문보건서비스에 머물러 있던 방문간호 대상자를 장기요양보험 수급자로 확대하여 방문간호사의 활동 대상 및 범위가 넓혀졌다는데 제도적 의의가 있다[7]. |
재가서비스 | 재가서비스가 대체로 가사 지원 위주의 방문요양으로 편중된 결과는 무엇인가? |
수급자의 특성상 의료서비스가 필요하여 노인 개개인의 건강상태와 요구에 따른 개 별화된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수단인 방문간호가 제공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더구나 노인 및 가족이 재가급여서비스를 선택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거, 요양, 의료서비스 및 생활 지원의 긴밀한 연계와 제공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수급자의 욕구 및 기능상태보다는 보호자의 선호, 급여제공자의 유인 등에 의해 급여 종류와 양이 결정되어 재가서비스가 대체로 가사 지원 위주의 방문요양으로 편중되고 있다[5,6]. 그 결과 수급자의 특성상 의료서비스가 필요하여 노인 개개인의 건강상태와 요구에 따른 개 별화된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수단인 방문간호가 제공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