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 대상의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이 기능회복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Recovery of Functional in individuals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5, 2019년, pp.235 - 247  

박서아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혜영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대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데이터베이스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한국 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KMbase)를 활용하여 '뇌졸중', '뇌경색', '상지기능', '균형', '일상생활능력', '운동훈련', '운동중재' '재활' '가상현실', '가상현실 교육',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검색어로 최근 10년(2009년~2018년)간 문헌을 검토하였다. 분석은 R을 이용한 임의효과모형을 적용하여 상지기능, 균형과 일상생활능력의 효과 크기를 각각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RCT 9편을 분석하였다. 개별문헌은 Cochrane Collaboration의 RoB (Risk of Bias) 도구를 통해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였으며, 전반적인 비뚤림 위험은 낮았다. 본 연구결과 균형에 대한 효과크기(g=.77), 일상생활 활동에 대한 효과크기(g=.80)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일상생활능력 향상을 위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향후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 이용한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icacy of Virtual Reality(VR) program on recovery of functional in Stroke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The following databases were used to search the literature: RISS, KISS, KMbase. Keywords included 'stroke', 'CVA' 'virtual r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연구가 보여주는 효과크기에 따른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연구별 교육방법, 중재횟수 등에 차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의 효과크기가 어떤 요인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탐색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는 조절 변인 분석을 위하여 하위그룹의 평균크기를 분석하는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전체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출판비뚤림 위험(publication bias)은 깔대기 그림(funnel plot)으로 검토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의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균형능력 및 일상생활 활동의 기능적 측면에 실제적으로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다룬 국내의 연구현황들을 찾아보고, 이들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관하여 임상적 가능성 및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뇌졸중 환자 대상으로 상지기능과 균형 및 일상생활능력 회복을 위해 시행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들에 대하여 연구방법과 중재 방법 및 주요 결과를 고찰함으로서,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효율적 중재 방안 모색 및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대상의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능회복 중 상지기능, 균형능력 및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통합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뇌졸중 환자를 위한 가상현실 운동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 9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의 중재가 상지기능, 균형능력 및 일상생활 활동의 기능적 측면에 실제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국내의 연구 현황들을 찾아보고, 이들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최근 10년(2009년∼2018년) 국내에서 수행된 뇌졸중 환자 대상의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연구들을 선택, 배제기준들을 적용하여 총 9편을 본 연구의 메타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의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균형능력 및 일상생활 활동의 기능적 측면에 실제적으로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다룬 국내의 연구현황들을 찾아보고, 이들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관하여 임상적 가능성 및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현실 기반 중재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가상현실 기반 중재법들은 뇌졸중 환자 개인별 기능 수준에 적합한 형태의 가상환경과 활동 수준을 보다 쉽게 조정할 수 있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16,17].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대부분의 가상현실 중재법들이 고가 장비를 포함한 의료인을 중심으로 한 전문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어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뇌졸중 환자의 지속적인 재활 관리에 한계가 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뇌졸중 환자를 위한 가상현실 프로그램 개발 시 접근이 용이하며, 시간적, 경제적 비용 문제를 고려하고, 뇌졸중 환자 스스로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해 행해지고 있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하여 지속적인 재활치료를 통해 반복적으로 연습하고 훈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6].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해 근전도 유발 전기 자극을 이용한 치료법, 신경생리학적 운동치료법,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과 저항운동, 강제 유도 운동치료법, 로봇 재활, 양측성 움직임 훈련, 비디오 게임 등이 실시되고 있다[7-13]. 그러나 실제 환경에서 이러한 과제를 매일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있어서의 지속여부, 모니터링에 대한 어려움과 환자 안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고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효과가 제한적이다[14,15].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이란 뇌의 혈액공급이 중단되거나 뇌 조직으로 출혈이 발생하여 주로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지배하는 뇌의 기능이 상실되는 뇌혈관 질환을 의미한다[1]. 뇌졸중 환자의 4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 A. Sharp & B. J. Brouwer. (1997).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8(11), 1231-1236. https://doi.org/10.1016/S0003-9993(97)90337-3 

  2. P. W. Duncan, R. D. Horner, D. M. Reker, G. P. Samsa, H. Hoenig, B. Hamilton, J. Barbara, LaClair & T. K. Dudley. (2002). Adherence to postacute rehabilitation guidelines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Stroke, 33(1), 167-178. https://doi.org/10.1161/hs0102.101014 

  3. J. Hochstenbach, G. Prigatano & T. Mulder. (2005). Patients' and relatives' reports of disturbances 9 months after stroke: subjective changes in physical functioning,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8), 1587-1593. https://doi.org/10.1016/j.apmr.2004.11.050 

  4. S. L. Wolf, P. A. Catlin, M. Ellis, A. L. Archer, B. Morgan & A. Piacentino. (2001). Assessing Wolf motor function test as outcome measure for research in patients after stroke. Stroke, 32(7), 1635-1639. https://doi.org/10.1161/01.STR.32.7.1635 

  5. H. C. Dijkerman, M. Ietswaart, M. Johnston & R. S. MacWalter. (2004). Does motor imagery training improve hand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18(5), 538-549. https://doi.org/10.1191/0269215504cr769oa 

  6. H. M. Kim.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orce sensor and finger rehabilitation robot for stroke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Gyeon gsang University, Jinju. 

  7. H. K. Shin. (2008). The recovery of hand function induced by EMG-triggered electrical stimulation in hemiplegic finger extensor. J Korean Soc Occup Ther, 16, 61-69. 

  8. P. S. Buyn & M. Y. Chon. (2012).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video game on improvement range of motion for upper-extremity, shoulder pain and stress in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9(1), 46-56. 

  9. B. H. Lee, E. J. Chung & S. H. Lee. (2012).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with EMG triggered-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on muscle tone and gait capability in stroke. J Rehabil Res Dev, 16, 361-378. 

  10. P. C. Kung, C. C. K. Lin & M. S. Ju. (2010). Neuro-rehabilitation robot-assisted assessments of synergy patterns of forearm, elbow and shoulder joints in chronic stroke patients. Clinical Biomechanics, 25(7), 647-654. https://doi.org/10.1016/j.clinbiomech.2010.04.014 

  11. C. R. Senesac, S. Davis & L. Richards. (2010). Generalization of a modified form of repetitive rhythmic bilateral training in stroke. Human movement science, 29(1), 137-148. https://doi.org/10.1016/j.humov.2009.05.004 

  12. V. Sirtori, D. Corbetta, L. Moja & R. Gatti. (2009).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r upper extremities in stroke patien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4(4).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4433.pub2 

  13. G. Yavuzer, A. Senel, M. B. Atay & H. J. Stam. (2008). ''Playstation eyetoy games''improve upper extremity-related motor functioning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44(3), 237-244. 

  14. E. K. Kim, J. H. Kang & H. M. Lee. (2010). Effects of virtual reality based game o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9(3), 131-149. 

  15. H. H. Kim, K. M. Kim & M. Y. Chang. (2012). Interventions to promote upper limb recovery in strok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J Korean Soc Occup Ther, 129-145. 

  16. Y. R. Yang, M. P. Tsai, T. Y. Chuang, W. H. Sung & R. Y. Wang. (2008).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improves community ambulation in individual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ait & posture, 28(2), 201-206. 

  17. A. A. Rizzo, J. G. Buckwalter & U. Neumann. (1997). Virtual reality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A brief review of the future. The Journal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http://dx.doi.org/10.1097/00001199-199712000-00002 

  18. C. Walker, B. J. Brouwer & E. G. Culham. (2000).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Physical therapy, 80(9), 886-895. https://doi.org/10.1093/ptj/80.9.886 

  19. Y. Y. You, B. H. Lee, S. H. Kim, J. H. Jung & Y. H. Bae. (2011). The Effect of Stroke Patients Balance and Visual Perception for Interactive Games of Using Visual Concentrat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5(1), 1-17. 

  20. J. H. Kim, S. H. Jang, C. S. Kim, J. H. Jung & J. H. You. (2009). Use of virtual reality to enhance balance and ambulation in chronic stroke: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study.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8(9), 693-701. 

  21. J. H. Kim, M. H. Oh, J. S. Lee & H. S. Ahn. (2011). The effects of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s on stroke patients' functional recovery. J Korean Soc Occup Ther, 19, 101-114. 

  22. H. G. Kim, M. Y. Lee & Y. A. Yang. (2018). Literature Research on the Clinical Effect of the Virtual Real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12), 1-11. 

  23. A. Liberati, D. G.Altman, J. Tetzlaff, C. Mulrow, P. C. Gotzsche, J. P. Ioannidis, M. Clarke, P. J. Devereaux, J. Kleijnen & D. Moher. (2009).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 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PLoS medicine, 6(7), e1000100. https://doi.org/10.1371/journal.pmed.1000100 

  24. S. H. Kim, H. G. Kim & J. H. Lee. (2013). Effect of virtual reality based exercise program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7(2), 373-391. 

  25. E. D. De Bruin, D. Schoene, G. Pichierri & S. T. Smith. (2010). Use of virtual reality technique for the training of motor control in the elderly. Zeitschrift fur Gerontologie und Geriatrie, 43(4), 229-234. https://doi.org/10.1007/s00391-010-0124-7 

  26. G. N. Lewis, C. Woods, J. A. Rosie & K. M. Mcpherson. (2011). Virtual reality games for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stroke: perspectives from the user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6(5), 453-463. https://doi.org/10.3109/17483107.2011.574310 

  27. S. Y. Kim, J. E. Park, H. J. Seo, Y. J. Lee, B. H. Jang, H. J. Son, et al.(2011). NECA 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8. B. J. Becker. (1988). Synthesizing standardized meanchange measures. British Journal of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Psychology, 41(2), 257-278. https://doi.org/10.1111/j.2044-8317.1988.tb00901 

  29. S. B. Morris & R. P. DeShon. (2002). Combining effect size estimates in meta-analysis with repeated measures and independent-groups designs. Psychological methods, 7(1), 105. http://dx.doi.org/10.1037/1082-989X.7.1.105 

  30. Y. Netz, M. J. Wu, B. J. Becker & G. Tenenbaum. (2005).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vanced age: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Psychology and aging, 20(2), 272. http://dx.doi.org/10.1037/0882-7974.20.2.272 

  31. J. P. Higgins. (2011).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 0 [updated March 2011]. The Cochrane Collaboration. www.cochrane-handbook.org. 

  32. J. Cohen.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J: L.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2. 

  33. A. A. Timmermans, J. A. Verbunt, R. van Woerden, M. Moennekens, D. H. Pernot & H. A. Seelen. (2013). Effect of mental practice on the improvement of function and daily activity performance of the upper extremity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4(3), 204-212. https://doi.org/10.1016/j.jamda.2012.10.010 

  34. Y. N. Kim & D. K. Lee. (2013). Effects of Dance Sports in Virtual Reality on Balance, Depression and ADL in Stroke Patients. JKPT, 25(5), 360-365. 

  35. A. Turolla, M. Dam, L. Ventura, P. Tonin, M. Agostini, C. Zucconi, P. Kiper, A. Cagnin & L. Piron. (2013). Virtual reality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upper limb motor function after stroke: a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0(1), 85-93. https://doi.org/10.1186/1743-0003-10-85 

  36. T. S. Park, J. H. Kang & I. B. Kim. (2018). Analysis of Muscle On-set Time of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Motions and Actual Motions in Healthy Adults. Journal of Convergence Information Technology, 8(1), 173-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