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영향요인: 공감역량과 소진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nurses caring for people with Dementia: Focused on the compassionate competence and Burnou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0, 2018년, pp.498 - 505  

이지혜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강문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소진이 의사소통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B시, U시 및 Y시에 소재하고 있는 9개 요양병원에서 직접 치매 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 190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6월 20일에서 7월 1일까지였으며,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치매 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 행위는 공감역량 및 소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치매 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소진은 의사소통 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총 설명력은 31%이었다. 따라서, 추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매 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 공감역량을 증진시키고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nurse's compassionate competence and burnout on their communication behavior with dementia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0 nurses who were taking care of patients with dementia at long-term care hospitals and who agreed with...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간호사의 공감역량(compassion competence)이나 소진이 치매대상자와의 의사소통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연구는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소진이 의사소통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공감역량이란 무엇인가? 공감(compassion)은 대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는 것 이상의 돌봄을 통해 대상자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이며[8] 간호사의 공감역량(compassion competence)은 대상자 관점에 근거한 전문 간호로서 대상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그들의 어려움을 경감시키는데 필요한 간호사 개인의 기술 및 능력이다[9]. 공감역량을 지닌 간호사가 대상자의 감정을 정확하게 지각하여 이해하게 되면 대상자는 자신이 혼자가 아니라는 느낌과 자신이 이해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되어 스스로를 가치 있게 받아들이게 된다[10].
간호사로 하여금 업무 의욕 상실과 소진이 장시간 지속될 경우 문제점은 무엇인가? 한편 요양병원 내 간호사 업무 부담과 치매대상자의 문제 행동은 간호의 질 저하를 초래하며[12] 간호사로 하여금 업무 의욕 상실과 소진까지 느끼게 한다[13]. 이런 소진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간호사는 직무만족도가 저하되면서 간호 전문직에 대한 긍정적인 확신이 줄어들게 된다[14]. 소진이란 스트레스 경험이 해결되지 않고지속될 경우 인간관계에서 지속적으로 받는 정신적 압박의 결과로 발생되는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탈진 및 고갈상태를 말한다[15].
치매대상자에게 공감적 자세를 취하는 것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공감역량을 지닌 간호사가 대상자의 감정을 정확하게 지각하여 이해하게 되면 대상자는 자신이 혼자가 아니라는 느낌과 자신이 이해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되어 스스로를 가치 있게 받아들이게 된다[10]. 특히,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치매대상자에게 공감적 자세를 취하는 것은 의미 있는 대화의 기반을 확립하고 공통된 이해와 평등성에 기초한 상호관계를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어 의사소통을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1-2017 A Study on the National Health and Medical Status [Ienternet]", Sejong (G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cited 2018 April 1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sch/index.jsp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Case reviews of long-term care hospital evaluation. Executive education program", p65-81.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0. 

  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4. S. K. Lee, D.E. Seong, D.E. Seo, H. S. Bae. "Effects of theatre-based group language therapy on communication abilities of nursing home patients with dementia", Drama Art Therapy study, Vol.5, pp. 161-179, 2016. 

  5. J. H.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al Scale of nurses caring for people with Dement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University, Daejeon, 2018. 

  6. J. Perry, S. Galloway, J. L. Bottorff, S. Nixon. "Nurse-patient communication in dementia: improving the odd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1(4), 43-52. 2005. DOI: https://doi.org/10.3928/0098-9134-20050401-10 

  7. E. B. Ryan, S. D. Meredith, M. J. MacLean, & J. B. Orange. "Changing the way we talk with elders: promoting health using the communication enhancement model",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 41, NO 2, pp. 89-107. 1995. 

  8. M. L Schant. "Compassion: A concept analysis", Nursing Forum, Viol 42, No 2, pp. 48-55. 2007. 

  9. Y. Lee, G. Seomu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nurses' compassion competence", Applied Nursing Research, Vol 30, pp. 76-82. 2016. DOI: http://dx.doi.org/10.1016/j.apnr.2015.09.007 

  10. Naomi Feil, Vicki De Klerk-Rubin, David Nilson. "The Validation Breakthrough, Third Edition Simple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With People With Alzheimer's and Dementia", Baltimore: Health Professions Press, 2012. 

  11. P. McEvoy, R. Plant. "Dementia care: using empathic curiosity to establish the common ground that is necessary for meaningful communication",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1, No 6, pp. 477-482, 2014. 

  12. J. W. Park, E. J. Choi.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Focused on Burnout and Burden for Caring Problematic Behaviors in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1 pp. 7403-7413,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1.7403 

  13. J. A. Song, J. W. Park, H. J. Kim. "Impact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on Caregiver Burden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5, No 1, 62-74, 2013. 

  14. M. R. Kim, G. A. Seomun, "Relationships among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o Resign i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2, No.2, pp. 93-101, 2013.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2.93 

  15. R. K., James, B. E. Gilliland. "Crisis intervention strategies(4th.)", Belmont, CA: Brooks/Cole Thomson Learning, 2001. 

  16. J. H. Kang, "Effect of a Social Support Program on Caregivers of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2, No. 2, 142-153, 2010. 

  17. M. P. Leiter, C. Maslach. "Nurse turnover: The mediating role of burnou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 17, pp. 331-339, 2009. DOI: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9.01004.x 

  18. M. S. Chung. "Relations on Self-esteem,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Reinforcing Competence in Communica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0 No.2, pp. 332-340, 2014.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2.332 

  19. H. P. Jeong, K. C. Su.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Empathy,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1 pp. 7698-7707,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1.7698 

  20. S. J. Jeong, K. H. Kim. "Empathy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Nursing Performance of Registered Nurses and Nursing Assista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3 No. 3, PP. 249-258, 2017.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3.249 

  21. E. J. Oh, M. H. Lee, S. H. Ko.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y on the Facilitative Communication Ability of Psychiatric Nurse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25 No. 4, pp. 283-293, 2016. DOI: http://doi.org/10.12934/jkpmhn.2016.25.4.283 

  22. A. M. Pines, E. Aronson, D. Kafry.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The Free Press, 1981. 

  23. E. H. Peek.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levels among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82. 

  24. J. Kim, H. Y. Ahn, M. R. Eom, M. Y. Lee. A "Study of Emergency Room Nurses' Burn-out, Nursing Performance, and Professional Identit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19, No.1, 2010. 

  25. H. Moon1, J. Y. Kim. "The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on Burnout".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12, No. 2, 2018. DOI: https://doi.org/10.21184/jkeia.2018.2.12.2.173 

  26. S. I. Im, J. Park, H. S. Kim.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1, No 3, 274-282, 2012. 

  27. H. S. Lee, J. K. Kim.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6, No 4, pp. 488-496, 2010. 

  28. Y. J. Son, Y. A. Lee, K. N. Sim, S. S. Kong, Y. S. Park.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on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s Nurses", J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20, No.3, pp. 278-289, 2013.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3.278 

  29. G. Ancel. "Developing empathy in nurses: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Vol 20, No 6, pp. 249-57. 2006. DOI: https://doi.org/10.1016/j.apnu.2006.05.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