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융합 연구
Converged Study 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al Scale of nurses caring for people with dementi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5, 2020년, pp.327 - 333  

강문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이지혜 (울산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집단비교법을 활용하여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D시, U시 및 Y시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n=67명)와 D시와 U시 일반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n=70명)이다. 본 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점수가 일반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t=2.49, p=.014) 검사-재검사 신뢰도검사를 위한 급내상관관계는 .813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측정도구는 다양한 논리적 분석을 통해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수준을 평가하기에 적절한 평가도구임이 확인되어 치매대상자 간호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using group comparison method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 Scale for Nurses Caring for People with Dementia(CBS-D). The subjects were nurses who have worked at elderly care facilities in D, U and Y cities(n = 67), and nur...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이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 행위 측정도구가 개발되었으나 좀 더 다양한 타당도와 신뢰도의 연구가 이루어져 그 유용성과 일반화 가능성에 대해 논의되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측정도 구의 집단비교법을 이용한 타당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살펴보려고 한다
  • 본 연구는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집단비교법을 활용한 타당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4개의 요인과 18문항으로 구성된 CBS-D는 구성타당도와 신뢰도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를 측정하는 도구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 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를 측정하고자 개발된 CBS-D를 다양하게 검증하기위해 시도되었다.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일반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37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CBS-D는 집단비교법을 이용한 타당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 이러한 집단비교법은 구성타당도 검정을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15]. 본 연구에서는 CBS-D의 집단비교법을 위해 주로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와 그렇지 않은 간호사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려 하였다. 그러므로 두 간호사 그룹의 치매대상자와의 의사 소통행위 점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두 그룹에 차이가 있으면 도구의 구성타당도가 확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 소통행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9). Dementia management act [Online] http://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ion&eventGubun060101&querydementia#undefined 

  2. Central Dementia Center. (2018). Central dementia center annual repor[Online].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183 

  3. J. H. Kim, D. Y. Lee, S. J. Lee, B. Y. Kim & N. C. Kim. (2015). Predictive relationships between BPSD, ADLs and IADLs of the elders with dementia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7(1), 1-9. https://doi.org/10.17079/jkgn.2015.17.1.1 

  4. E. B. Ryan. (2010). Overcoming communication predicaments in later life. Paper presented at the Hearing Care for Adults 2009: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Adult Conference. 

  5. G. G. Jeong, Y. H. Kim, K. E. Park, E. A. Lee, J. H. Park & S. A. Lee. (2007). Current status and Policy development for social support for the international marrige migrant women living in Kyeonggido : Kyeonggido Family Women's research Institute. 

  6. T. Ryan, C. Gardiner, G., Bellamy, M. Gott & C. Ingleton. (2012).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the receipt of palliative care for people with dementia: the views of medical and nursing staff. Palliat Med, 26(7), 879-886. https://doi.org/10.3928/02793695-20050501-02 

  7. S. Lee & K. H. Lee. (2018). Experience of Long-term Care Workers' Communication with Older Adults with Dementia Focused on Emotional Ex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7(3), 264-273. 

  8. K. S. WilliamsKemper & M. L. Hummert. (2005). Enhancing communication with older adults: overcoming elderspeak.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43(5), 12-16. 

  9. M. Yi & B. S. Yih. (2006). A conversation analysis of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ir profession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7), 1253-1264. 

  10. H. C. Chao, Y. P. Yang, M. C. Huang & J. J. Wang (2016).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caregiver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in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42(1), 32-39. https://doi.org/10.3928/00989134-20151008-36 

  11. K. N. Williams & R. E. Herman. (2011). Linking resident behavior to dementia care communication: effects of emotional tone. Behavior therapy, 42(1), 42-46. https://doi.org/10.1016/j.beth.2010.03.003 

  12. J. Lee & M. Gang. (201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 Scale for Nurses Caring for People with Dementia. Journal Korean Academic Nursing, 49(1), 2019. https://doi.org/10.4040/jkan.2019.49.1.1 

  13. K. Lee & S. Shin. (2013). Validity of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Korea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6), 697-703.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697 

  14. I. Y. Yoo. (2005).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a research measurement. Nursing Exploration, 14(1), 33-45. 

  15. B. H. Munro. (2005). Statistical methods for health care research, 1. Philadelphia :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6. E. H. Lee, C. J. Kim, E. J. Kim, H. J. Chae & S. Y. Cho. (2013). Measurement Propertie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Published in Korean Nursing Journ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1). 

  17. P. H. Lee, L. I. Chang & U. Ravens-Sieberer. (2008).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Taiwanese version of the Kiddo-KINDL(R) generic children'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strument. Quality of Life Research, 17(4), 603-611. 

  18. J. M. Bland & D. G. Altman. (2010). Statistical methods for assessing agreement between two methods of clinical measu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7(8), 931-936.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9.10.001 

  19. J. Lee & M. Gang. (2019).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nurses caring for people with Dementia: Focused on the compassionate competence and Burnou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10), 498-505. https://doi.org/10.5762/KAIS.2018.19.10.4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