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글판 낙상 위험 주거환경 평가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의 내용이해도 및 신뢰도 연구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8 no.4, 2019년, pp.77 - 92  

주유미 (극동대학교 의료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조선영 (극동대학교 의료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낙상 위험 주거환경 평가인 HOME FAST의 국내사용을 위해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 한국어로 번안하여 내용이해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한글로 번역된 HOME FAST의 내용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작업치료사 총 21명에게 한글번역본의 이해도 평가하게 하였다. 이후 한글번역본을 역번역 하여 원문과 비교하고 문장구조 및 의미 유사성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신뢰도 검증을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낙상 고위험군 노인 75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고 내적 일치도를 검증하였다. 그중 9명의 대상자의 경우 2명의 작업치료사가 방문하여 각각 평가한 뒤 검사자 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내용이해도 검증 결과에서 11개 문장이 이해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해도 검증 결과의 의견을 바탕으로 검증위원회를 통해 구문을 수정하고 한글번역본을 완성하였다. 한글판을 역번역하여 유사성 검증을 한 결과 문장구조에서는 3문항이 유사하지 않음으로 평가되었고, 의미적 측면에서는 총 6문항이 유사하지 않음으로 평가되었다. 최종적으로 반복적 역번역 과정을 통해 한글판 HOME FAST의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한글번역본의 내적일치도는 .62(p<.01)로 나타났고, 검사자 간의 신뢰도는 .97 (p<.01)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체계적 번역-역번역 과정을 통해 HOME FAST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아울러 한글판의 내용이해도를 검증하였고, 내적일치도 및 검사자간 신뢰도 검증을 통해 신뢰도를 입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obtain the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HOME FAST using the translation-back translation process an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Methods : Total three stages were conducted which includes forward translation to Korean, test for degree of understanding of translated...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작업치료 전공자 외에 번역전문가를 검증위원회로 구성한 이유는 언어의 구조 및 관용적 의미 유사성을 어문학적으로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였다. 아울러 영어로 역번역하는 과정에서는 HOME FAST를 사전에 접해보지 못했고 번역을 전문적으로 하는 또 다른 번역전문가에게 역번역을 의뢰를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번역 검증 위원회를 구성하고 HOME FAST를 한국어로 번역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였다. 국내에서 진행된 외국 평가도구의 번역연구를 살펴보면, 체계적 번역 연구과정을 거치지 않고 한국어로 번역한 뒤 타당도 및 신뢰도 검사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내 낙상 위험 주거환경요인을 평가하는 HOME FAST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번역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번역의 타당성은 번역적합성 검증, 내용 이해도 검증, 역번역 검증의 일렬의 체계적 과정을 통해 진행하였다.
  • 서비스 모델이 일찍이 발달되었던 선험적 국가 에서는 낙상위험 환경요소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 들이 많이 개발되었고 그 평가도구들의 내용타당도 및 신뢰도가 상당 수준 이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나 여러 낙상 위험 환경평가도구들 가운데 국내 지역사회 서비스의 특성에 적합한 HOME FAST를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번역-역번역의 과정으로 평가도구를 번역하고 내용이해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주거환경을 반영하는 낙상위험환경 척도를 완성하기에 앞서 HOME FAST를 체계적 번역-역번역 과정을 통해 한국어로 번역하고 내용이해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또한 유사성의 경우에도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만 더불어 작업치료 전문 지식이 있는 사람이 참여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번역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에서는 반복적인 역번역 수정 과정을 걸쳐 충분히 그 뜻이 유사하고 동시에 잘 전달될 수 있는 언어로 번역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의 개념은 무엇인가? 과거에는 노화와 관련하여 신체적 및 인지적 건강에만 초점 했다면 최근 들어서는 더욱 더 잘 살아 가기 위한 삶의 질의 문제도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즉, 건강의 개념이 질병이 없는 상태에서 최근에는 질병이 없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개인의 가정과 지역사회에 통합되어 살아가는 것을 포함한다(Stucki et al., 2002).
노인의 낙상으로 인한 사회의 재정적 부담을 줄이기위해 정부는 어떤 사업을 추진하는가? 이는 막대한 의료비 지출 및 사회의 재정적 부담을 야기한다. 최근 들어 정부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보건의료 서비스를 지역사회 시스템내로 전환하는 커뮤니티 케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4대 커뮤니티 케어 사업 중 하나는 노인이 자신이 살던 주거환경으로 돌아가고 지역사회 안에서 건강하고 독립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65세 이상의 노인에게 낙상 경험 및 병원 이용률은 어느정도인가? 하지만 여전히 노인들의 삶에서 낙상은 빈번히 발생 하며, 고령의 독거노인일수록 낙상의 위험에 더욱 노출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2017년 통계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낙상을 경험한 노인의 경우 연간 2회 이상 반복적으로 낙상을 경험하고, 낙상으로 인한 병원 이용률은 64.9%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Statistics Korea, 2017). 이는 막대한 의료비 지출 및 사회의 재정적 부담을 야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sher, I. (2014). Asher's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s: An annotated index(4th ed.). Bethesda, MD: AOTA Press. 

  2. Brislin, R. W. (1970). Back-translation for cross-cultural research.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1(3), 185-216. doi:10.1177/135910457000100301 

  3. Cha, E. S., Kim, K. H., & Erlen, J. A. (2007). Translation of scales in cross­cultural research: Issues and techniqu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8(4), 386-395. doi:10.1111/j.1365-2648.2007.04242.x 

  4. Chiu, T., Oliver, R., Ascott, P., Choo., L. C., Davis, T., Gaya, A., & Letts, L. (2006). Safety assessment of functional and the environment for rehabilitation-health outcome measurement and evaluation (SAFER-HOME) version 3 manual. Toronto, ON: COTA Health. 

  5. Clemson, L. (1997). Home fall hazards and the westmead home safety assessment. West Brunswick, Australia: Coordinates Publications. 

  6. Clemson, L., Fitzgerald, M. H., & Heard, R. (1999). Content validity of an assessment tool to identify home fall hazards: The westmead home safety assessment.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4), 171-179. doi: 10.1177/030802269906200407 

  7. Hong, E. K., & Kim, K. M. (2012). Systematic review on translation and culture adaptation study method of developmental assessment too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6(3), 319-338. 

  8. Jang, I. S., & Park, E. O. (2013). Prevalence and factors of fall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89-101. doi:10.5932/JKPHN.2013.27.1.89 

  9. Kim, E. J., & Kim, K. M. (2016).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K-RNLI)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3), 111-119. doi:10.14519/jksot.2016.24.3.08 

  10. Lim Y. J., Park, K. Y., & Yoo, E. Y. (2007). Pilot study to establish content validity of a Korean-translated version of a sensory profi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2), 25-42. 

  11. Mackenzie, L. (2017). Evaluation of the clinical utility of the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9(15), 1489-1501. doi:10.1080/09638288.2016.1204015 

  12. Mackenzie, L., Byles, J., & D'Este, C. (2009). Longitudinal study of the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in identifying older people at increased risk of falls. Australasian Journal on Ageing, 28(2), 64-69. doi:10.1111/j.1741-6612.2009.00361.x 

  13. Mackenzie, L., Byles, J., & Higginbotham, N. (2000). Designing the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 Selecting the items.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3(6), 260-269. doi:10.1177/030802260006300604 

  14. Mackenzie, L., Byles, J., & Higginbotham, N. (2002). Professional perceptions about home safety cross-national validation of the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 Journal of Allied Health, 31(1), 22-28. 

  15. Mackenzie, L., Byles, J., & Higginbotham, N. (2009). Reliability of the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 for identifying older people at increased risk of fall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4(5), 266-274. doi:10.1111/j.1741-6612.2009.00361.x 

  16. Park, Y. J., Lee, C. Y., Ji, S. Y., Park, K. Y., & Kim, H. J. (2019) Roles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community care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7(1), 103-113. doi:10.14519/kjot.2019.27.1.08 

  17. Romli, M. H., Mackenzie, L., Lovarini, M., & Tan, M. P. (2016). Pilot study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 to identify older Malaysian people at risk of falls. British Medical Journal, 6(8), e012048. doi:10.1136/bmjopen-2016-012048 

  18. Romli, M. H., Mackenzie, L., Lovarini, M., Tan, M. P., & Clemson, L. (2017). The inter-rater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HOME FAST) in Malaysia: Using raters with a range of professional backgrounds.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23(3), 662-669. doi:10.1111/jep.12697 

  19. Sohng, K. Y., Moon, J. S., Kang, S. S., & Choi, J. H. (2001). The survey of activities and fear of falling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5(2), 324-333. 

  20. Stark, S. L., Sommerville, E. K., & Morris, J. C. (2010). In-Home Occup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I-HOP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4), 580-589. doi:10.5014/ajot.2010.08065 

  21. Statistics Korea. (2017). Survey on status of the elderly in Korea: Fall experiences of the elderly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portal/index/survey.action 

  22. Strong, S., Rigby, P., Stewart, D., Law, M., Letts, L., & Cooper, B. (1999). Application of the person-environment-occupation model: A practical tool.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6(3), 122-133. doi:10.1177/000841749906600304 

  23. Stucki, G., Cieza, A., Ewert, T., Kostanjsek, N., Chatterji, S., & Ustun, T. B. (2002). App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in clinical practic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4(5), 281-282. doi:10.1055/s-2001-19075 

  24. Tinetti, M. E., Speechley, M., & Ginter, S. F. (1988).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9(26), 1701-1707. doi:10.1056/nejm198812293192604 

  25. Vu, T. V., & Mackenzie, L. (2012). The inter-rater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9(3), 235-242. doi:10.1111/j.1440-1630.2012.01012.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