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Home Fall Prevention Checklist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5, 2013년, pp.354 - 365  

박은옥 (제주대학교) ,  장인순 (한국성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낙상환경위험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예비문항은 20인의 관련 전문가에 의한 CVI(내용타당도 지수)를 사용한 내용타당도 검정을 실시하여 최종 52문항을 선정하였다. 최종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을 위해 65세 이상 재가노인 299명에게 자료수집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사자간 신뢰도는 1개 문항을 제외한 51개 문항에서 모두 kappa 값이 0.8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인정되었고, 재조사방법을 통하여 나타난 일치율은 45개 문항에서 모두 80.0% 이상으로 나타났다. 구성타당도도 낙상군과 비낙상군간에 낙상환경위험평가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입증되었다(t=3.50, p=.001). 본 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고, 낙상예방을 위한 더 안전한 환경의 개발과 관련된 추후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home fall prevention checklist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hecklist were tested. The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content validity by twenty experts using the CVI(Content Validity Index).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매 방문시 해당지역 방문간호사 1인과 연구간호사 1인이 짝이 되어 총 63가구를 함께 방문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 후 문항별 응답의 일치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자간 신뢰도 조사는 9월 10일부터 9월 28일까지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의 낙상환경위험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재가 노인의 거주 환경에 적합한 낙상환경위험요인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 함으로써, 효율적인 낙상예방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도구개발과정에서는 국내외에서 사용된 낙상환경위험평가 도구와 관련된 문헌을 검토하였고, 관련 분야 전문가의 회의를 통해 예비문항을 구성하였으며, 2차에 걸쳐 10명의 방문간호사와 10명의 간호학 전공 교수를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낙상으로 인한 피해는 어떠합니까? 낙상은 65세 이상 노인에게 흔한 건강문제 중 하나이다. 노인의 낙상은 골절, 뇌손상, 사회심리학적 기능장애 등 각종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며, 입원 등으로 인한 기능제한,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하는 중요한 보건 문제 중 하나이다[1].
노인의 낙상에 환경적 위험요인이 크게 기여한다고 판단되는 근거는 무엇입니까? 노인의 낙상에는 환경적 위험요인이 기여하는 바가 크다.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에 의하면, 낙상을 경험한 장소는 도로 또는 공원 등 실외가 56.0%로 가장 많았고, 계단, 화장실/욕실, 방, 거실/마루, 부엌 등 집안의 장소가 35.9% 정도로 나타났고, 낙상 이유로 바닥이 미끄러워서가 29.8%, 문턱에 걸려서가 8.2%, 사람이나 사물에 부딪혀서가 5.7%, 경사가 급해서가 3.4%, 조명이 어두워서 0.8% 등 환경적인 요인이 47.9%로 보고되었다[4]. 이와 같이 낙상은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30-50%까지 사고를 줄일 수 있는 예방 가능한 건강문제일 수 있다[9].
낙상이란 무엇을 의미합니까? 낙상은 갑작스러운 마비나 발작 외압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제외하고 자신이 의도하지 않은 자세 변화로 인해 몸이 더 낮은 위치로 넘어지는 사건으로[2] 일반적으로는 균형을 잃고 넘어져 발바닥 이외의 신체 일부가 지면 또는 바닥에 닿는 상황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소남 ,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저소득층 노인의 신체.심리기능과 가정환경 위험요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2호, pp.377-395, 2012. 

  2. L. Rubenstein and K. R. Josephson, "ls and their prevention in elderly people: What does the evidence show?," The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Vol.90, pp.807-824, 2006. 

  3.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Report on Falls Prevention in Older Ag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Retrieved January 21, 2013, from http://www.who.int/ageing/ ublications/Falls_prevention7March.pdf 

  4. 정경희, 오영희, 이윤경, 손창균, 박보미, 이수연, 이지현, 권중돈, 김수봉, 이소정, 이용식, 이윤환, 최성재, 김소영,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5. 임경춘, 전경자, 윤종률, "노인의 낙상공포 여부에 따른 건강상태, 신체기능상태 및 가정환경 위험 비교", 한국노년학, 제29권, 제4호, pp.1577-1589, 2009. 

  6. Panel on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Persons, American Geriatrics Society and British Geriatrics Society, "ummary of the Updated American Geriatrics Society/British Geriatrics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9, pp.148-157, 2010. 

  7. M. E. Tinetti and C. Kumar, "The patient who falls 'It's always a trade-off',"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303, No3, pp.258-266, 2010. 

  8. 최경원, 이인숙, "도시빈곤 노인의 낙상발생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4호, pp.589-598, 2010. 

  9. 조경환, "낙상", 가정의학회지, 제18권, 제11호, pp.1201-1204, 1997. 

  10. S. Iwarsson, V. Horstmann, G. Carlsson, F. Oswal, and H. W. Wahl, "Person-environment fit predicts falls in older adults better than the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hazards only," Clinical Rehabilitation, Vol.23, pp.558-567, 2009. 

  11. T. Nikolaus and M. Bach, "Preventing falls in community-dwelling frail older people using a home intervention team(HIT): Results from the randomized falls-HIT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1, pp.300-305, 2003. 

  12. R. Tideiksaar, Falling in old age its prevention and treatment(2nd ed), New York: Springer, 1997. 

  13. 김종민, PRECEDE 모형을 적용한 노인낙상사고 위험요인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14. 박영혜,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낙상 위험요인 사정", 노인간호학회지, 제6권, 제2호, pp.170-178, 2004. 

  15. M. H. Beers, R. Berkow, and A. J. Fletcher, The merck manual of geriatrics, Whitehouse station, N. J., 1999. 

  16. 유형준, 머크메뉴얼 노인병학, 한우리, 2003. 

  17. 김미정, 재가노인의 낙상위험요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18. K. R. Josephson, D. A. Fabacher, and L. Z. Rubenstein, "Home safety and fall prevention," Clinics in Geriatrics Medicine, Vol.7, No.4, pp.707-731, 1991. 

  19. 장인순, 김동준, "일부 농촌지역 노인의 낙상위험을 높이는 물리적 환경에 관한 조사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4권, 제2호, pp.176-186, 2002. 

  20. 장인순, 김수미, "일부지역 재가노인의 낙상위험 요인 조사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8권, 제2호, pp.107-116, 2006. 

  21. Minnesota Safety Council, "Fall prevention home safety checklist : What you can do to prevent falls," Minnesota Safety Council, 2004. Retrieved January 21, 2013, from http:// www.minnesotasafetycouncil.org/seniorsafe/fall check.pdf 

  22. National 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 "Preventing falls: How to develop community-based fall prevention programs for older adults," Atlanta, GA: National Center for Injury and Control, 2008. Retrieved January 21, 2013, from http://www.cdc.gov/HomeandRecreation alSafety/images/CDC_Guide-a.pdf 

  23. M. R. Lynn,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Vol.35, pp.382-385, 1986. 

  24. J. C. Nunnally, and I. H.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McGraw-Hill,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