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전 전문심장소생술을 위한 기계적 가슴압박기의 효과
The Effect of a Mechanical Chest Compressions for Out-of-hospital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1, 2019년, pp.227 - 233  

이현지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병원 전 환경에서 기계식 가슴압박기(LUCAS)와 수기심폐소생술의 비교실험을 통해 가슴압박의 질을 평가하고 기계적 가슴압박기를 사용한 효과적인 전문심장소생술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병원 전 심정지상황을 가정하고 구급대원이 3인 1조로 현장에서 수기심폐소생술과 LUCAS를 이용한 심폐소생술을 적용하고, 구급차로 이송하며 수기심폐소생술과 LUCAS를 이용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과 이송중의 수기심폐소생술의 비교결과 현장에서 수기심폐소생술이 평균압박깊이와 압박률, 이완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둘째, 현장에서 수기심폐소생술과 LUCAS를 비교한 결과 LUCAS가 압박률, 이완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셋째, 구급차로 이송중 수기심폐소생술과 LUCAS를 비교한 결과 평균압박깊이, 압박률, 분당압박횟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위와 같은 결과로 보아 LUCAS는 적절한 압력으로 가슴압박을 수행할 수 있고, 그 동안 구급대원의 전문기도기 삽입, 정맥로 확보 등의 전문심장소생술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환자의 소생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 by conducting comparison research between mechanical chest compressor(LUCAS) and manual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in a out-of-hospital environment and suggest effective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using mechanical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의 경우 병원 전 환경의 기계식 가슴압박을 이용한 심폐소생술과 수기가슴압박을 이용한 심폐소생술의 비교분석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 밖 심정지 상황에서 현장 및 구급차내의 수기압박에 의한 심폐소생술과 기계적 가슴압박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의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추후 국내 실정에 맞는 병원 전 기계적 가슴압박기를 이용한 전문심장소생술의 프로토콜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병원 밖 심정지 상황에서 현장 및 구급차내의 수기압박에 의한 심폐소생술과 기계적 가슴압박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의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추후 국내 실정에 맞는 병원 전 기계적 가슴압박기를 이용한 전문심장소생술의 프로토콜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구급대원들은 3인 1조를 구성하였다. 병원 전 심정지 상황을 가정하고 시뮬레이션의 형태로 진행하였다.
  • 병원 전 환경을 가정하고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실험을 구성하였다. 첫째, 병원 전 환경에서 현장에서 수기가슴압박을 이용한 심폐소생술과 구급차로 이송하며 수기가슴압박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계적 가슴압박기를 사용할 경우 장점은 무엇인가? 잘 훈련된 구급대원이라도 심폐소생술 시간이 길어지거나, 병원 전 환경에서 심정지 환자가 심정지 후 회복이 되지 않은 채로 구급차 내에서 이송 중에 전문심 폐소생술의 시행이 효율적으로 제공되기 어렵다[11].기계적 가슴압박기(LUCAS)를 사용할 경우 현장이나 이동 중인 구급차 내에서 구급대원의 가슴압박 외의 기도확보, 정맥로 확보, 약물투여 등의 다른 응급처치를 적절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병원 밖 심정지 환자들에게 수행하는 응급처치는 무엇인가? 병원 밖 심정지 환자의 발생비율이 증가하고 이러한 환자들은 119 구급차를 이용하여 병원으로 이송되며, 그 과정에서 구급대원이 심폐소생술, 제세동, 기관내 삽관 등의 전문응급처치를 수행한다. 심정지 환자에게 구급대원의 전문응급처치는 매우 중요하고 환자의 소생 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1].
기계적 가슴압박기가 없을 경우 생기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잘 훈련된 구급대원이라도 심폐소생술 시간이 길어지거나, 병원 전 환경에서 심정지 환자가 심정지 후 회복이 되지 않은 채로 구급차 내에서 이송 중에 전문심 폐소생술의 시행이 효율적으로 제공되기 어렵다[11].기계적 가슴압박기(LUCAS)를 사용할 경우 현장이나 이동 중인 구급차 내에서 구급대원의 가슴압박 외의 기도확보, 정맥로 확보, 약물투여 등의 다른 응급처치를 적절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 Y. Lee & S. W. Yun. (2011). Prehospital Care of 119 EMT for Non-traumatic Cardiac Arrest and Improvement to Increase Advanced Care Rate.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5(5), 21-31. 

  2. J. Mosier, A. Itty, A. Sanders, J. Mohler, C. Wendel, J. Poulsen, J. Shellenberger, L. Clark & B. Bobrow. (2010). Cardiocerebral Resuscitation is Associated with Improved Survival and Neurologic Outcome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in Elder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7(3), 269-275. 

  3. C. Axelsson, J. Nestin, L. Svensson, A. B. Axelsson & J. Herlitz. (2006). Clinical consequences of the introduction of mechanical chest compression in the EMS system for treatment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A pilot study. Resuscitation, 71(1), 47-55. 

  4. Q. He, Z. Wan & L. Wang. (2003). Random control trial of the efficacy of cardiopump on pre-hospital cardiac arrest. Zhongguo Wei Zhong Bing Ji Jiu Yi Xue, 15(5), 292-294. 

  5. R. A. Gyory, S. E. Buchle, D. Rodgers & J. S. Lubin. (2017). The Efficacy of LUCAS in Prehospital Cardiac Arrest Scenarios: A Crossover Mannequin Study. Wester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8(3), 437-445. DOI : 10.5811/westjem.2017.1.32575 

  6. G. D. Perkins, R. Lall, T. Quinn & C. D. Deakin. (2015). Mechanical versus manual chest compression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RAMEDIC): a pragmatic, 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385(9972), 947-955. DOI : 10.1016/S0140-6736(14)61886-9 

  7. N. H. Krarup et al. (2011). Qua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is hampered by interruptions in chest compressions-a nationwide prospective feasibility study. Resuscitation, 82, 263-269. 

  8. C. K. Lin, M. C. Huang, Y. T. Feng, W. H. Jeng, T. C. Chung, Y. W. Lau & K. I. Cheng. (2015). Effectiveness of mechanical chest compression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in an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Chinese Medical Association, 78(6), 360-363. DOI : 10.1016/j.jcma.2015.01.005. Epub 2015 Mar 5. 

  9. J. S. Byun, I. S. Cho & C. M. Ha. (2019). Comparison of outcom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ith AutoPulse and LUCAS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30(1), 16-21. 

  10. S. Steen, Q. Liao, L. Pierre, A. Paskevicius & T. Sjoberg. (2002). Evaluation of LUCAS, a new device for automatic mechanical compression and active decompression resuscitation. Resuscitation, 55(3), 285-299. 

  11. K. Couper, M. Smyth & G. D. Perkins. (2015). Mechanical devices for chest compression: to use or not to use?. Current Opinion in Critical Care, 2(1), 88-94. 

  12. P. A. Meaney et al. (2013).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Quality:Improving Cardiac Resuscitation Outcom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Hospital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28, 417-435. 

  13. S. G. Hong & I. A. Son. (2009).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uracy of chest compression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ying in a moving ambulance.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4), 343-354. 

  14. J. G. Lee, J. S. Kim & S. G. Roh. (2018). Comparison of chest compression and ventilation volume using LUCAS and manual in virtual reality-based ambulance simulation -A manikin study-.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2(3), 67-76. 

  15. G. Putzer, A. Fiala, P. Braun, S. Neururer, P. Paal. (2016). Manual versus Mechanical Chest Compressions on Surfaces of Varying Softness with or without Backboards: A Randomized, Crossover Manikin Study. The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50(4), 594-600. 

  16. H. J. Lee, H. J. Kim & E. K. Jun. (2017). The changes of symptom, EKG and hemodynamic in healty firefighters after delivering multiple cycle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6), 381-388. 

  17. D. Smekal, J. Johansson, T. Huzevka, S. Rubertsson. (2011). A pilot study of mechanical chest compressions with the $LUCAS^{TM}$ device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esuscitation, 82(6), 702-706. 

  18. C. Ji, R. Lall, T. Quinn, C. Kaye, On behalf of PARAMEDIC trial Collaborators. (2017). Post-admission outcomes of participants in the PARAMEDIC trial: A cluster randomised trial of mechanical or manual chest compressions. Resuscitation, 118, 82-88. DOI : 10.1016/j.resuscitation.2017.06.026. Epub 2017 Jul 5. 

  19. D. Smekal, E. Lindgren, H. Sandler, J. Johansson & S. Rubertsson. (2014). CPR-related injuries after manual or mechanical chest compressions with the $LUCAS^{TM}$ device: A multicentre study of victims after unsuccessful resuscitation. Resuscitation, 85(12), 1708-1712. 

  20. R. Baumeister, U. Held, M. J. Thali, P. M. Flach & S. Ross. (2015). Forensic imaging findings by post-mortem computed tomography after manual versus mechanical chest compression. Journal of Forensic Radiology and Imaging, 3(3), 167-173. 

  21. T. H. Kim et al. (2016). Quality between mechanical compression on reducible stretcher versus manual compression on standard stretcher in small elevator.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34(8), 1604-1609. 

  22. F. J. Ochoa, E. Ramalle-Gomara, V. Lisa & I. Saralequi. (1998). The effect of rescuer fatigue on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s. Resuscitation, 37(3), 149-152. 

  23. Y. S. Cho, S. C. Choi, C. A. Lee, Y. S. Jung & G. W. Kim. (2012). Comparison of Manual Versus Mechanical Chest Compression During Simulative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3(4), 486-492. 

  24. M. Levy, D. Yost, R. G. Walker, E. Scheunemann & S. R. Mendive. (2015). A quality improvement initiative to optimize use of a mechanical chest compression device within a high-performance CPR approach to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resuscitation. Resuscitation, 92, 32-37. 

  25. G. Putzer, P. Braun, A. Zimmermann, F. Pedross, G. Strapazzon, H. Brugger & P. Paal. (2012). LUCAS compared to manu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more effective during helicopter rescue-a prospective, randomized, cross-over manikin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31(2), 384-389. 

  26. C. K. Lin, M. C. Huang, Y. T. Feng, W. H. Jeng & K. I. Cheng. (2015). Effectiveness of mechanical chest compression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in an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Chinese Medical Association, 78(6), 360-3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