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동 중인 구조보트 내에서 수기가슴압박과 기계가슴압박의 질 비교
A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manual and mechanical chest compressions in a moving rescue boat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4 no.1, 2020년, pp.77 - 84  

김황림 (해양경찰청 완도 해양경찰구조대) ,  윤종근 (호남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ive chest compression methods that could be used when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rocking boats. Methods: Tests were conducted for four minutes using manual and mechanical chest compressions on two mannequins, placed in boats, and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육상에 비해 이송시간이 길고, 환경적 용인이 특수한 해상에 심정지 환자에게 행하여 지는 가슴압박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집중하였다. 이송수단으로 구급차와 구조보트는 좁은 공간이라는 공통점은 있지만, 해양의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 흔들림은 구조보트가 훨씬 더 많고 이는 질적인 가슴압박이 힘들 것이라는 전제 조건으로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은 기계를 이용한 자동기계 가슴압박법이 해양에서 크나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제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 이에 연구자는 좀 더 정확하고 근거 있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현직에 근무하는 해양경찰구조대원이 35km로 이동 중인 구조보트 내에서 실제상황과 같은 조건의 시뮬레이션 마네킹을 이용하여 사람과 기계에 의한 가슴압박을 비교 분석함으로 흔들림이 심한 상황에서 질적인고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며, 나아가 해양구급활동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5년 이후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에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서 무엇을 강조하고 있는가? 이로 인해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병원 전 단계에서 비교적 불안정한 환경에서 질적이고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2]. 2005년 이후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에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서 가슴압박 중단의 최소화, 가슴압박 속도와 깊이, 충분한 이완 등을 매우 강조하고 있다[3,4]. 하지만, 움직임이 많고 불안정한 환경인 구급차[5,6] 또는 호수에 정박 중인 보트 위에서 시행하는 심폐소생술 정확도는 안정화된 환경인 육지에 비해 낮다는 국외의 선행연구 결과도 있다[7-9].
이송 중인 구조보트 내에서 가슴압박 정확도를 분석한 연구에서 기계 가슴압박의 구간별 가슴압박 깊이에 대한 결과는 어떠한가? 54초였으며, 깊이는 평균 50mm였다. 구간별 가슴압박 깊이는 50mm 미만 49.22%(2,162회), 50~60mm 49.04%(2,181회), 61mm 이상 2.01%(87회) 이상으로 정확도 49.04%였다. 기계 가슴압박은 총 3878번 중 압박 속도는 0.
불안정한 환경에서 고품질의 가슴압박을 제공하기 위해서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무엇을 분석했는가? 불안정한 환경에서 고품질의 가슴압박을 제공하기 위해서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움직이는 구급차내에서 가슴압박의 정확도를 분석하였고, 국외의 경우 작은 보트를 해안가에 정박한 후 좁은 환경 및 흔들림이 있는 환경에서 가슴압박 시 사람이 직접하는 수기 가슴압박과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가슴압박기를 이용한 가슴압박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으나[11-13], 실제 상황처럼 이동중인 보트 내에서 움직임이 많은 상황에서 가슴압박에 관련된 연구는 국내외에서 전무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bella BS, Sandbo N, Vassilatos P, Alvarado JP, O'Hear N, Wigder HN et al. Chest compression rates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re suboptimal: a prospective study during in-hospital cardiac arrest. Circulation 2005;111(4):428-34. https://doi.org/10.1161/01.CIR.0000153811.84257.59 

  2. Shin SY, Kim JH, Kim GY, Bang SH, Yun JG, Rho SG et al. A Study on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s in ambulance. Fire Sci. Eng 2014;28(4):104-11. https://doi.org/10.7731/KIFSE.2014.28.4.104 

  3. Abella BS, Alvarado JP, Myklebust H, Edelson DP, Barry A, O'Hearn N et al. Qua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uring in-hospital cardiac arrest. JAMA 2005;293(3)305-10. https://doi.org/10.1001/jama.293.3.305 

  4. 2015 Korea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5. Havel C, Schreiber W, Riedmuller E, Haugk M, Richling N, Trimmel H et al. Quality of closed chest compression in ambulance vehicles, flying helicopters and at the scene. Resuscitation 2007;73(2):264-70.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06.09.007 

  6. Chadkirk R, Gander B.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uring ambulance transport: safety and efficacy. Resuscitation 2017;116:e15.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7.04.027 

  7. Mendez FF, Barcala-Furelos R, Funguerino-Suarez R, Mecias-Calvo M, Abelairas-Gomez C, Rodriguez-Nunez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quality during navigation in inshore fishing boats. A pilot study with fishermen. Am J Emerg Med 2015;33(11):1705-7. https://doi.org/10.1016/j.ajem.2015.08.018 

  8. Tipton M, David G, Eglin C, Golden F. Basic life support on small boats at sea. Resuscitation 2007;75(2):332-7.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07.04.027 

  9. Barcala-Furelos R, Arca-Bustelo A, Palacios-Aguilar J, Rodriguez-Nunez A. Qua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lifeguards on a small inflatable boat. Resuscitation 2015;90:e1-e2.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5.02.007 

  10. Hwang SO, Lim G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5th ed. Seoul : Koonja. 2018. 

  11. Cho YS, Choi SC, Lee CA, Jung YS, Kim GW. Comparison of manual versus mechanical chest compression during simulative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J Korean Soc Emerg Med 2012;23(4):486-92. 

  12. Park JH, Jo IS, Kim ES, Ha CM. Comparison of outcomes between autopulse TM and manual compression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 J Korean Soc Emerg Med 2017;28(6):628-34. 

  13. Choi YJ, Park DS, Lee WS, Ha WS, Jung JY, Yun YH et al. Comparison of quality in chest compressions at scene, in a moving ambulance by student nurses, the 119 member group, and an automatic CPR machine. J Korean Soc Emerg Med 2009;20(4):335-42. 

  14. Korea coast guard marine distress accident statistical yearbook. 2017;11-1530000-0000-10. 

  15. Lee IS, Kim JH, Cho BJ, Moon TY, Rho SG, Kim CT et al. Study on emergency patients care by Korea coast guard center workers focused on drowning, fall and isolation. Indian J of Public Health Research and Development 2018;9(3):872-9. https://doi.org/10.5958/0976-5506.2018.00398.4 

  16. Olasveengen TM, Wik L, Steen PA. Qua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efore and during transport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Resuscitation 2008;76(2):185-90.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07.07.0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