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일신라시대 월지(月池) 입·출수 체계의 원형과 구조
The Prototype and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of the Wolji Pon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2 no.4, 2019년, pp.124 - 141  

김형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 전공) ,  심우경 (세계상상환경학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월지(안압지)의 수질 관리 문제를 유지용수의 순환 체계와 연관지어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연못의 순환체계와 관련 깊은 입·출수 체계를 검토하였으며, 기존의 입·출수시설 외에 선행 연구에서 제기되었던 추정 입·출수시설을 분석하였다. 입수시설을 검토한 결과, 현재 입수구인 월지 동남측 호안 입수시설은 남북 담장을 사이에 두고 동편의 정원시설(경석, 곡수로, 저수시설)과 수로로 연결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월지 동편 조사에서 별도의 시설군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1920년대 실측 도면에 경석군이 확인된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추정 입수구인 남서측 호안 입수시설은 월지 서편 건물지 임해전(臨海殿) 터에 남아 있는 화강암 수로와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월지 남서측 호안을 향해 경사가 낮아지고, 거름망을 꽂았던 홈, 1920년대 실측 도면과 1975년 측량 도면의 입수구에 경석이 배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깨끗한 물을 입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출수시설과 관련하여 북측 호안 출수시설은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목제 수로와 장대석군 집수시설의 기능은 월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시설만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목제 수로에 나무 물마개가 있는 점과 마지막 단계에 집수시설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상황에 따라 발천의 물이 역으로 입수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즉 북측 호안 출수시설은 양방향으로 물이 드나들었으며 장대석군 집수시설을 통해 개폐 가능한 목제 수로로 입수되기도 한 것으로 판단된다. 추정 출수구인 서측 호안 출수시설은 북측 호안의 출수시설과 매우 유사함을 볼 때 신라시대에 존재하였거나 후대의 어느 시점에 북측 호안 출수시설을 모방하여 만들었을 것이라는 추정 외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다만 조선시대 어느 시점까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출수시설로 기능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이 월지는 신라 왕경 중심부인 동궁의 시설과 유기적으로 얽혀 있는 체계화된 배수망에 의해서 입·출수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월지를 비롯한 각 시설군에 물이 입수되었으며 왕경 중심부의 중요한 인공 하천인 발천(撥川)을 통해 남천(南川)으로 연결되는 배수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 quality issue of Wolji Pond (Anapji Pond) with the maintenance of the channel flow circulation system.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closely related to the circulation system of pond has been reviewed, rather than the existing water su...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23)

  1. 경주시.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9, 경주 東宮과 月池 서편 건물지 복원 고증 연구 및 실시설계 - 개요, pp.163-166 

  2. 고경희, 1989, 안압지, 대원사, p.38, pp.34-36 

  3.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4, 月城 地表調査 報告書, p.133 

  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2, 경주 동궁과 월지 I 발굴조사 보고서, p.15, 41, 68, 94, 117, pp.24-25, 62-64 

  5.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8, 경주 동궁과 월지 '가' 지구 기본정비계획, p.22 

  6. 김동현, 1976, 경주 안압지 발굴에 관하여 건축 vol.20 no.5, p.38 

  7. 김시습, 1583, 매월당집, 매월당시집, 권12, 유금오록 

  8. 동궁과 월지 복원 실시설계, 동궁과 월지 현황배치도 

  9.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8a, 안압지 발굴조사 보고서, p.50, 56, 63, 69, 80 

  10.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8b, 안압지 발굴조사 보고서 - 도판편, 별지 도면 1, 도면 2, 61, 62, 100, 도판 40, p.80 

  11. 민주면.이채.김건준, 1669, 동경잡기 권2 

  12. 박홍국, 2018, 신라 동궁지 石造水路의 기능에 대한 고찰 신라사학보 vol.43, pp.139-168 

  13. (사)한국전통조경학회, 2016, 최신 동양조경문화사, 도서출판 대가, p.75 

  14. 안계복, 2015, 신라 동궁과 월지의 경관 변화 추정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1, p.15, pp.12-20 

  15. 안서희, 2014, 통일신라시대의 궁원 월지의 입수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1 

  16. 양정석, 2011, 新羅 月池와 東宮의 變化過程 檢討 -月池 南便 建物址의 分析을 中心으로- 한국사연구 vol.154, p.33 

  17. 오준영, 2018, 월지(月池) 서측 호안의 출수시설(出水施設)에 관한 고찰 문화재 vol.51 no.3, pp.72-87 

  18. 이희준, 2012, '동궁과 월지' 동편 신라 왕경 유적의 조성 시기 및 성격 검토 한국고대사탐구 vol.11, pp.101-102 

  19. 홍광표, 2016a, 경주에 조성된 신라시대의 園池 연구 신라문화 vol.48, pp.151-169 

  20. 홍광표, 2016b, 월지 조성 목적의 중의성(重意性)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3, pp.67-77 

  21. 原熙, 1932, 朝鮮新羅臨海殿庭園(-) 園芸???誌 vol.3 no.2, p.19, 20, pp.12-22 

  22. 경주시 홈페이지 http://www.gyeongju.go.kr 

  23. 국가기록원 http://www.archives.go.kr, 관리번호 CET00613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