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월지 조성 목적의 중의성(重意性) 고찰
Various Meanings of Wolji Pond Construction in Shilla Dynasty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3, 2016년, pp.67 - 77  

홍광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는 월지의 조성목적이 단순히 정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라는 기존의 이론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월지조성에 대한 기존의 이론에 대하여 논의한 후, 월지조성의 또 다른 목적을 저류지로 상정하고 이것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월지조성에 대하여 제기한 두 가지 의문에 대하여 논의한 결과 월지가 처음부터 정원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 보다는 저류지로서 조성하였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둘째, 위치와 지형적 측면으로 볼 때, 월지는 북천으로부터 유입된 물이나, 범람한 물, 또는 용출수가 형성하는 지천이나 수로가 자연스럽게 월지 쪽으로 흐르도록 지형적 조건이 형성되어 있으며, 월지는 이렇게 형성된 물이 남천으로 유입되는 유로의 종점에 위치하고 있어 물을 저류한 후 유출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수리적 측면에서 볼 때, 북천은 제방이 축조되기 이전에는 범람이 일어날 가능성이 상존하였으며, 이러한 홍수피해는 구황동원지에서 한번, 다시 월지에서 한번 잡아주어 왕경중심부로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넷째, 도시계획적 측면에서 볼 때, 월지가 조성되기 이전에 월지일대는 도시기능이 들어서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월지가 조성되고 난 이후에 도로 등의 개설을 통해 도시계획이 완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월지의 입수장치와 출수장치 그리고 월지 서측의 수직석단은 월지가 저류지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저류용량으로 볼 때, 월지는 당시로서는 엄청난 량의 물을 저류할 수 있는 시설이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itiated from question raised on existing study achievement that purpose for Wolji construction simply was to build gardens. In this research, after raising a question on existing theory about the Wolji construction, another purpose of Wolji construction is investigated. Study res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월지의 조성목적이 단순히 정원을 조성하기 위해 서라는 기존의 연구성과에 대한 문제 제기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지조성에 대한 기존의 논의에 대하여 살펴보고, 월지조성의 또 다른 목적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 규명하고자 한다.
  • 월지의 조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풀리지 않은 두 가지 의문이 있으며, 이것에 대한 규명은 월지조성의 연기를 알려줄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의문에 대한 논의를 통해 월지조성의 또 다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월지의 조성목적이 단순히 정원을 조성하기 위해 서라는 기존의 연구성과에 대한 문제 제기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지조성에 대한 기존의 논의에 대하여 살펴보고, 월지조성의 또 다른 목적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월지의 조성목적이 단순히 정원을 조성하기 위해 서라는 기존의 연구성과에 대한 문제 제기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지조성에 대한 기존의 논의에 대하여 살펴보고, 월지조성의 또 다른 목적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월지의 최초 조성목적이 유연의 장으로 만들 어진 정원이 아니라 월지일대의 홍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저류지로 축조되었을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설에 대하여 월지의 위치와 지형적 측면, 수리적 측면, 도시계획적 측면, 월지의 시설적 측면, 그리고 저류용량적 측면의 5가지 측면을 통해서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월지의 조성목적이 단순히 정원을 조성하기 위해 서라는 기존의 연구성과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월지조성에 대한 기존의 이론에 대하여 논의한후, 월지조성의 또 다른 목적을 저류지로 설정하고 이것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월지의 최초 조성목적이 유연의 장으로 만들 어진 정원이 아니라 월지일대의 홍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저류지로 축조되었을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설에 대하여 월지의 위치와 지형적 측면, 수리적 측면, 도시계획적 측면, 월지의 시설적 측면, 그리고 저류용량적 측면의 5가지 측면을 통해서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접근방법은 궁극적으로 귀납적 방법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월지를 당연히 정원으로 조성하였을 것이라는 측면에서의 연역적 연구방법과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 지형에 의하여 형성된 물줄기의 물길이 청소되고 옛 물길에 따라 깊어졌다. 여기 바위 면에 이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여 앞으로 올 수 억년 동안 기억이 되도록 하고자 한다. 이 기록은 이연안(인징)이 김해천, 권성경, 김명웅, 임기정의 도움을 받아 쓰여졌다.

가설 설정

  • 그것은 임해전에서 향연을 베풀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것이 효소왕(孝昭王) 6년(697)이라는 점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6) 그렇다면 도시에서 불요불급하게 필요한 시설은 무엇이었을까를 밝힐 수만 있다면 월지의 최초 조성 목적이 무엇인지를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국사기를 제외한 월지에 대한 또 다른 기록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안압지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월지(月池)는 「삼국사기」 신라 본기 문무왕 14년(674) 2월조의 기사에 근거하여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문무왕대에 궁내에 판 인공지로, 그곳에 화초를 심고 진귀한 새와 기이한 들짐승을 길렀던 것으로 알려져 왔다. 1) 월지에 대한 또 다른 기록으로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동경잡기(東京雜記)」, 「동사강목 (東史綱目)」,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실린 기사가 있다. 여기에 실린 기사들을 보면, 「동국여지승람」의 경우 “못을 파서 인공지를 만들었다”는 「삼국사기」의 내용에 부가하여 “안압지는 천주사 북쪽에 있으며, 서쪽에 임해전이 있다.
안압지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월지는 어떤 곳인가? 안압지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월지(月池)는 「삼국사기」 신라 본기 문무왕 14년(674) 2월조의 기사에 근거하여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문무왕대에 궁내에 판 인공지로, 그곳에 화초를 심고 진귀한 새와 기이한 들짐승을 길렀던 것으로 알려져 왔다. 1) 월지에 대한 또 다른 기록으로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동경잡기(東京雜記)」, 「동사강목 (東史綱目)」,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실린 기사가 있다.
삼국사기를 제외한 월지에 대한 또 다른 기록들에는 월지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 1) 월지에 대한 또 다른 기록으로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동경잡기(東京雜記)」, 「동사강목 (東史綱目)」,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실린 기사가 있다. 여기에 실린 기사들을 보면, 「동국여지승람」의 경우 “못을 파서 인공지를 만들었다”는 「삼국사기」의 내용에 부가하여 “안압지는 천주사 북쪽에 있으며, 서쪽에 임해전이 있다. 돌을 쌓아 만든 산이 무산십이봉이다”라는 내용을 적고 있고, 「동경잡기」의 경우는 「동국여지승람」의 기사와 동일하나, 단지 “못이 언제 만들어졌는지 확실치 않고, 애장왕 5년 갑신(甲申)에 중수했다”라는 내용이 보태졌으며, 「동사강목」에 실린 기사와 「여지도서」 중의 ‘경주부 안압지’의 기사 역시 「동국여지승람」의 기사와 다르지 않다. 2)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Noh, S. S. et.al(1481). Donggukyeojisungnam(東國輿地勝覽). 

  2. Sung, W. M.(1845). Donggyeongjapki(東京雜記). 

  3. Ahn, J. B.(1778), Dongsagangmok(東史綱目). 

  4. ?(1757), Yeojidoseo(輿地圖書). 

  5. Jung, J. h.(1996). Traditional Garden of Korea. Seoul: Jogyeong-sa. 

  6. Jeong, G. H.(2001). A study on the Design Motive of 'Anapji' considering on the Design Process. 19(2): 38-48. 

  7. Ahn, G. B.(2005). New Opinion about Landscape Design of Anapji.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 No.3: 23-30. 

  8. Lee, S. J.(1997). About the Temporal Transition of Gyeongju Wolsung(月城). Yeongnam Archaeological Data. 21: 123-162. 

  9. Kim, J. H.(2001). The Formation of Chon-je(村制) in the Middle Era of Silla(新羅) and the Social Mechanism of that Time.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0. Jong, Y. H. and Lee, G. J.(2002). About the Process of Shilla Dynasty Construction. Anthropology. Vol.12. 

  11. Lee, G. B.(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e District of the Capital of Shil-la Dynas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2. Park, Hong Kook, Jung, Sang Soo, Kim, Ji Hoon.(2003). A Study of the Sites of Saro Six Village. The Silla Mun hwa. Vol.21. The Research Institute for Silla Culture. pp.117-138. 

  13. Lee, G. J.(2006). Establishment of a Silla Dynasty and development. A Study o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15(4). 

  14. Hwang, S. I.(2007). The Possibility of Flooding and Human Area in Anant Tims.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Geography). 42(6). 

  15. Yoon, S. U. and Hwang, S. I.(2004). The Geomorphic Development of Alluvial Fans in the Gyeonju City and Chonbuk area.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Geography). 39(1): 56-69. 

  16. Park, Hong Kook, Jung, Sang Soo, Kim, Ji Hoon.(2003). A Study of the Sites of Saro Six Village. The Silla Mun hwa. Vol.21. The Research Institute for Silla Culture. pp.117-138. 

  17. Lee, G. B.(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e District of the Capital of Shil-la Dynas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8. Lee, G. B.(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e District of the Capital of Shil-la Dynas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 Lee, G. B.(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e District of the Capital of Shil-la Dynas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0. Lee, S. J.(1997). About the Temporal Transition of Gyeongju Wolsung(月城). Yeongnam Archaeological Data. 21: 123-162. 

  21. Lee, G. J.(2000), The Historical Character of Gyeongju Bukcheon (Unpublished Paper), Silla Munhwa Cuproautunite. 

  22. Jong, Y. H. and Lee, G. J.(2002). About the Process of Shilla Dynasty Construction. Anthropology. Vol.12. 

  23. Kim, J. H.(2001). The Formation of Chon-je(村制) in the Middle Era of Silla(新羅) and the Social Mechanism of that Time.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4. Lee, G. B.(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e District of the Capital of Shil-la Dynas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5. Kang, B. W.(2005). A Study of Success and Failure in Water Management of the Buk-chun in Kyongju: History and Archaeological Approaches. Silla Munhwa. 25: 337-360. 

  26. Oh, Y. H.(1992). A study on the Capital of Shil-la Dynasty-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The Journal of history. 11. 

  27. Hwangbo, E. S.(2008). A study of Construction Process of Silla's Capital in the Gyeong-ju Basin.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Busan National University. 

  28. Lee, G. B.(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e District of the Capital of Shil-la Dynas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9. Hwang, S. I.(2007). The Possibility of Flooding and Human Area in Anant Tims.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Geography). 42(6). 

  30. Yoon, S. U. and Hwang, S. I.(2004). The Geomorphic Development of Alluvial Fans in the Gyeonju City and Chonbuk area.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Geography). 39(1): 56-69. 

  31. Jo, C. J.(2000). A Study of Gyoongju's Ori-su and Bomun-Pyong, Sillahak. 4: 253-285. 

  32. Yoon, S. U. and Hwang, S. I.(2004). The Geomorphic Development of Alluvial Fans in the Gyeonju City and Chonbuk area.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Geography). 39(1): 56-69. 

  33.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1978). Anapji-Excavation report. 

  34.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1978). Anapji-Excavation report. 

  35.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1978). Anapji-Excavation report. 

  36. Hong, K. P. and Lee, S. Y.(2001). Korean Traditional Garden. Publishing Department of Dongguk University. 

  37.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1978). Anapji-Excavation repor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