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PR 탐사를 통해 본 경주 첨성대 기초 및 주변의 유구 분석
GPR Analysis on Underground Features and Foundation Structure of Cheomseongdae, Gyeongju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2 no.4, 2019년, pp.264 - 271  

오현덕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  권문희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  장한길로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별을 관측하는 천문대로 잘 알려진 경주 첨성대는 그 모양과 성격이 독특하고 원래의 모습으로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학술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화재이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첨성대의 외부 구조와 지반 안전성, 지진 재해 위험도 평가 연구 등 과학적인 조사를 이용한 첨성대의 평가를 진행해왔으나 첨성대의 지하 구조에 대해서는 조사가 매우 미흡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첨성대와 관련한 주변의 매장문화재 존재 여부와 첨성대의 기초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하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수행하고 2차원과 3차원 영상을 통해 첨성대의 지하 구조를 정밀 분석하였다. 그 결과, 0.4~0.6m 깊이에서는 절반 정도만 남아 있긴 하지만 12개의 작은 물체들이 원형의 배치를 이루고 있고, 0.7~1m 깊이에서는 정면 4칸, 측면 3칸의 건물지로 추정되는 반응이 첨성대를 중심으로 주변에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첨성대의 직하부에는 이미 알고 있는 2단의 기단부 외에 7×7m 크기의 방형 시설이 깊이 0.6m에 존재하며, 깊이 1.2~3m에서는 첨성대의 기초시설로 추정되는 반응이 확인되었다. 이 기초시설은 동서 11m, 남북 12m의 타원형이며 첨성대 기단을 중심으로 북·서·동측면은 1m 이내로 짧고 남측면은 5m 정도로 넓게 분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omseongdae in Gyeongju, known as an astronomical observatory, is a cultural monument with great historical, academic, and artistic value, as its unique shape is preserved well in its original form. The outer structure, ground stability, and seismic reliability of Cheomseongdae have been assessed ...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11)

  1. 경주시, 2014, 경주 첨성대 정밀구조 안전진단 용역 보고서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경주 첨성대 실측 훼손도 평가 조사보고서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석조문화재 안전관리 방안 연구보고서 - 첨성대를 중심으로 

  4. 국립문화재연구소.다인시스템, 2017, 경주 첨성대 자동계측시스템 구축 완료보고서 

  5. 서금석, 2017, 천문대로서의 첨성대 이설에 대한 재론 한국고대사학회 86 

  6. 손호웅 외, 2004, 석조구조물의 효율적 유지 관리를 위한 형상역공학적, 지반공학적 및 구조동역학적 특성 연구 -첨성대를 중심으로- 

  7. 이문규, 2004, 첨성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 -첨성대 해석의 역사와 신라시대 천문관- 한국과학사학회 26 

  8. 한국과학기술원(KAIST), 2009, 제4차 첨성대 대토론회 

  9. 한국물리탐사학회, 2004, 물리탐사 기술 심포지움 -유적조사를 중심으로- 

  10. Goodman, D., and Piro, S., 2013, GPR remote sensing in archaeology, Heidelberg: Spring 

  11. Park et al., 2012, 'Noninvasive geotechnical site investigation for stability of Cheomseongdae',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1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