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지예보모델과 위성영상을 이용한 극상림 플럭스 관측의 공간연속면 확장 및 우리나라 산림의 일일 탄소흡수능 격자자료 산출
Gridded Expansion of Forest Flux Observations and Mapping of Daily CO2 Absorption by the Forests in Korea Using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Data and Satellite Imag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6 pt.1, 2020년, pp.1449 - 1463  

김근아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조재일 (전남대학교 응용식물학과) ,  강민석 (국가농림기상센터) ,  이보라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생태연구과) ,  최철웅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이한림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이태윤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공학전공) ,  이양원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이 커지면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쇄시킬 수 있는 산림의 탄소흡수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국가의 산림 탄소흡수량을 국지적인 수준에서 과학적이고 정밀하게 산출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과 일기상 자료를 함께 활용함으로써 산림 광합성의 민감한 일변화를 반영하고, 안정된 산림으로서 대표성을 가지는 광릉숲(Gwangneung Forest) 극상림(climax forest)의 플럭스관측 자료를 참조하여 GPP(gross primary production) 재현 모델을 수립하고, 수종 및 임령에 따른 탄소흡수량 조견표를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국지지역에 최적화된 Tier 2.5 수준의 일일 탄소흡수능 격자자료를 산출하였다. 2013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1,095일간의 실험에서, 일일 기준탄소흡수능(reference amount of CO2 absorption, RACA) 산출 모델은 상관계수 0.948의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으므로, 향후 Tier 3 수준의 일일 실제탄소흡수능(actual amount of CO2 absorption, AACA)을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상세산림조사 자료와의 결합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recent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s become more serious, the importance of CO2 absorption by forests is increasing to cope with the greenhouse gas issues. According to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it is required to calculate national CO2 absorptions at the local level in a...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기상 및 식생생장 상태의 공간적 변이를 고려하여 우리나라 산림에 대한 일일 기준탄소흡수능 격자자료를 산출하고, 여기에 수종 및 임령에 따른 탄소흡수량 가중치 래스터를 적용함으로써 일일 실제 탄소흡수능 격자자료를 산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Tier 1 또는 Tier2 계수를 적용하여 연 단위의 탄소흡수량을 집계한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림의 공간적 변이가 반영된 Tier2.
  • LDAPS 단일면(지표면) 자료에는 한반도 영역에 대하여 78개의 기상변수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파복사수지(shortwave radiation, SWR), 장파복사수지(longwave radiation, LWR), 강수(PRCP), 풍속(wind speed, WS), 현열플럭스(sensible heat flux, H), 지열플럭스(soil heat flux, G), 잠열플럭스(latent heat flux, LE), 기온(air temperature, Ta), 지표면온도(surface temperature, Ts),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RH), 0~10 cm 토양수분(soil moisture, SM) 변수를 추출하였고, 500 m 해상도의 MODIS(Moderate ResolutionImaging Spectroradiometer) 토지피복분류에 맞추어, LDAPS 1.5 km 격자자료를 500 m 해상도로 변환하였으며, 남한지역을 동경 125~129.8, 북위 33~37.8로 설정하여 산림(상록침엽수림, 상록활엽수림, 낙엽침엽수림, 낙엽활엽수림, 혼효림)에 해당하는 픽셀만을 마스킹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상 및 식생생장 상태의 공간적 변이를 고려하여 우리나라 산림에 대한 일일 기준탄소흡수능 격자자료를 산출하고, 여기에 수종 및 임령에 따른 탄소흡수량 가중치 래스터를 적용함으로써 일일 실제 탄소흡수능 격자자료를 산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Tier 1 또는 Tier2 계수를 적용하여 연 단위의 탄소흡수량을 집계한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림의 공간적 변이가 반영된 Tier2.5 수준의 일 단위 및 월 단위 탄소흡수능 지도를 작성하였다. 유엔에서 제시하는 Tier 3는 상세산림조사나 모니터링 체계를 필수요건으로 하기 때문에, Tier 3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NIFoS의 수종 및 임령에 따른 탄소흡수량 조견표가 임상도의 수종분류 기준으로 상세화 되어야 할 것인데, 이는 상세산림조사를 위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자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우선 광릉숲 플럭스 관측 GPP를 참조기준자료로 하고 LDAPS 및 MODIS 자료를 입력 변수로 하는 기계학습 기반의 RACA 재현 모델을 최적화시킨 뒤, 이 모델에 남한 500미터 해상도로 만들어진 입력변수 래스터를 투입하여 일일 RACA 격자자료를 산출한다. 또한 NIFoS(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표준계수와 임상도를 연동하여 수종별 RACA 가중치 격자자료를 생성한다.
  • 이러한 검증 과정을 통해 최적화된 RACA 산출 모델에 15종 입력변수의 래스터 자료를 투입하여, 기상 및 식생생장 상태의 공간적 변이를 반영하는 RACA 격자 자료를 산출하였다. 2013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 095일간의 RACA 격자자료는 광릉 숲의 탄소흡수능을 참조하기 때문에, 여기에 500미터 픽셀마다의 수종과 임령을 반영한 RACA 가중치를 곱하여 AACA 격자자료를 산출하였으며, 이것이 일일 산림 탄소흡수능 지도이다.
  • 또한 NIFoS(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표준계수와 임상도를 연동하여 수종별 RACA 가중치 격자자료를 생성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만들어진 일일 RACA 자료와 수종별 RACA 가중치 자료에 대하여 래스터 곱하기 연산을 수행하여, 일일AACA 격자자료를 생성함으로써 탄소흡수능 지도를 제작하였다 (Fig. 2).

이론/모형

  • MODIS 산출물 중 식생의 생장 및 활력 상태를 반영하는 식생활력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엽면적지수, 광합성유효복사량(fraction of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FPAR), 잠재증발산량(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은 500 m 해상도의 8일 합성장으로서, 남한지역의  산림에 대하여 마스킹하였고 큐빅 스플라인(cubic spline) 기법을 적용하여 1일 단위 자료로 시계열 내삽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lackard, J. A., M. V. Finco, E. H. Helmer, G. R. Holden, M. L. Hoppus, D. M. Jacobs, A. J. Lister, G. G. Moisen, M. D. Nelson, R. Riemann, B. Ruefenacht, D. Salajanu, D. L. Weyermann, K. C. Winterberger, T. J. Brandeis, R. L. Czaplewski, R. E. McRoberts, P. L. Patterson, and R. P. Tymio, 2008. Mapping U.S. forest biomass using nationwide forest inventory data and moderate resolution informa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4): 1658-1677. 

  2. Cha, S. Y., U. H. Pi, and C. H. Park, 2013. Mapping and estimating forest carbon absorption using time-series MODIS imagery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5): 517-5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Friedman, J. H., 2001. Greedy function approximation: A gradient boosting machine, Annals of Statistics, 29(5): 1189-1232. 

  4. Fuchs, H., P. Magdon, C. Kleinn, and H. Flessa, 2009. Estimating aboveground carbon in a catchment of the Siberian forest tundra: combining satellite imagery and field invento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3(3): 518-531. 

  5. Gibbs, H. K., S. Brown, J. O. Niles, and J. A. Foley, 2007. Monitoring and estimating tropical forest carbon stocks: Making REDD a reality,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2(4): 045023. 

  6. Heo, J., J. H. Kim, J. S. Park, and H. G. Sohn, 2006. Timber age verification using historical satellite image analysi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36(2): 315-323. 

  7. Huiyan, G., D. Limin, W. Gang, X. Dong, W. Shunzhong, and W. Hui, 2006. Estimation of forest volumes by integrating Landsat TM imagery and forest inventory data, Science in China: Series E Technological Sciences, 49(1): 54-62. 

  8. Hyppa, J., H. Hyppa, M. Inkinen, M. Engdahl, S. Linko, and Y. H. Zhu, 2000. Accuracy comparison of various remote sensing data sources in the retrieval of forest stand attribut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28(1): 109-120. 

  9. IPCC(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3.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 Strategies, https://www.ipcc.ch/publication/good-practice-guidance-for-land-use-land-use-change-and-forestry/ Accessed on Jul. 1, 2003. 

  10. Jung, J., Hieu C. N., J. Heo, K. M, Kim, and J. H. Lim, 2014. Estimation of aboveground forest biomass carbon stock by satellite remote sensing,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5): 651-6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C., J. Heo, J. B. Lee, S. Han, J. H. Jung, and S. Jayakumar, 2012. A synergetic approach to estimating timber age using integrated remotely sensed optical image and InSAR height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3(1): 243-260. 

  12. Kim, N., S. I. Na, C. W. Park, M. Huh, J. Oh, K. J. Ha, J. Cho, and Y. W. Lee, 2020. An artificial intelligence approach to prediction of corn yields under extreme weather conditions using satellite and meteorological data, Applied Sciences, 10: 3785. 

  13. Kim, K. M., J. B. Lee, and, J. Jung, 2015, Comparison of forest carbon stocks estimation methods using forest type map and Landsat TM satellite imagery,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1(5): 449-4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S. H. and D. H. Jang, 2014. Analysis of forest types and estimation of the forest carbon stocks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s in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20(2): 206-2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B., N. Kim, E. Kim, K. Jang, M. Kang, J. Lim, J. Cho, and Y. Lee, 2020, An artificial intelligence approach to predict gross primary productivity in the forests of South Korea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Forests, 11: 1000. 

  16. Muukkonen, P., 2006. Forest inventory-based large-scale forest biomass and carbon budget assessment, New enhanced methods and use of remote sensing for verificatio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Helsinki, FIN. 

  17. Natekin, A. and A. Knoll, 2013. Gradient Boosting Machines, A Tutorial, Frontiers in Neurorobotics, 7: 21 

  18. NIFo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09, A Standard Table for the CO 2 Absorption by Major Forest Tree Types, https://nifos.forest.go.kr/kfsweb/cop/bbs/selectBoardList.do?bbsIdBBSMSTR_1069&mnUKFR_03_06 Accessed on Dec. 22, 2020 

  19. NIFo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9, A Standard Table for the CO 2 Absorption by Major Forest Tree Types (ver. 1.2), http://know.nifos.go.kr/book/search/DetailView.ax?sid2&cid173752, Accessed on Jul. 7, 2019. 

  20. NIFo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20. Ecological Succession and Climax Forest, http://know.nifos.go.kr/webzine/202003/m2_4.do, Accessed on Mar, 2020 

  21. Otsuka, T., W. Mo, T. Satomura, M. Inatomi, and H. Koizumi, 2007. Biometric based carbon flux measurements and net ecosystem production (NEP) in a temperat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beneath a flux tower, Ecosystems, 10: 324-334. 

  22. Rahman, M. M., E. Csaplovics, and B. Koch, 2008. Satellite estimation of forest carbon using regression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9(23): 6917-6936. 

  23. Tomppo, E., H. Olsson, G. Stahl, M. Nilsson, O. Hagner, and M. Katila, 2008. Combin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field plots and remote sensing data for forest databas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5): 1982-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