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위스 볼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저항성운동이 여성 노인의 체력 및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12-weeks complex training using swiss ball and elastic band on senior fitness and sarcopenia index in elderly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6, 2020년, pp.1465 - 1474  

박우영 (단국대학교 국제스포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스위스 볼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12주간의 복합운동이 여성 노인의 체력 및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운동집단 13명과 통제집단 14명으로 분류하여, 운동 집단은 주 3회, 3세트, 운동강도 약간 힘들게, 60분 실시하였다. 측정 변인은 근력, 전신지구력, 유연성과 동적 평형성으로 하였고, 근감소증 지표는 근력 요인과 단기운동수행력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체력 변인에서는 근력, 전신지구력과 유연성에서는 유의한 개선이 없었고, 동적 평형성에서는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 근감소증 지표에서는 유의한 개선이 없었으나 단기운동수행력에서는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스위스 볼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복합운동은 동적 평형성과 단기운동수행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ffects of 12 weeks complex training using swiss ball and elastic band on senior fitness and sarcopenia index in elderly wom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classified into exercise group (n=13) and control group (n=14). EG were carrier exercise program with swiss-b...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탄성 밴드와 스위스 볼을 이용한 운동이 여성 노인들의 다양한 체력변인과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스위스 볼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복합운동이 여성 노인의 체력과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 체력 변인 중 하체 근력, 유연성과 전신지구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m 왕복 걷기에서는 유의한 개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스위스 볼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복합운동이 여성 노인의 체력과 근감소증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체력 변인 중 근력, 유연성 및 전신지구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m 왕복 걷기에서는 시간과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 결과 운동군의 사전 사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처럼 소도구를 활용한 운동이 노인들의 근력과 다양한 종속 변인에 유익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상자들에게 적용은 실용적이라 생각한다. 이에 연구자는 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과 스위스 볼을 이용한 고유수용성 자극의 효과를 보고자 복합운동을 시도하여 체력 및 근감소증 변인에 미치는 연구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에 부상의 우려가 없고, 저항운동의 효과가 검증된 탄성 밴드와 스위스 볼을 이용한 복합운동을 적용하여 노인 여성의 체력과 근감소증 지표의 변화를 보는 일은 의미 있는 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 M. Shin, N. Y. Ahn, K. J. Kim,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with Elastic Band on The Improvement of Balance and Gait in The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Vol 14, No.3 pp. 45-56, (2006). 

  2. A. J. Cruz-Jentoft, G. Bahat, J. Bauer, Y. Boirie, O. Bruyere, T. Cederholm, S. Schneider, "Sarcopenia: revised European consensus on definition and diagnosis", Age and Ageing, Vol 48, No.1 pp. 16-31, (2019). 

  3. R. Roubenoff, "Sarcopeni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elderly",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 54, No.3 pp. 40-47, (2000). 

  4. R. Misra, S. M. Choi, J. Guerrero, S. Lee,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mexican-american immigrants with type 2 diabetes",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Kinesiology, Vol 18, No.3 pp. 51-63, (2016). 

  5. W. Nogueira, P. Gentil, S. N. M. Mello, R. J. Oliveira, A. J. C. Bezerra, M. Bottaro, "Effects of power training on muscle thickness of older men",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30, No.3 pp. 200-204, (2009). 

  6. J. Agergaard, J. Bulow, J. K. Jensen, S. Reitelseder, M. Drummond, P. Schjerling, L. Holm, "Light-load resistance exercise increases muscle protein synthesis and hypertrophy signaling in elderly me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Endocrineology and Metabolism, Vol 312, No.4 pp. 326-333, (2016). 

  7. M. Bottaro, S. N. Machado, W. Nogueira, R. Scales, J. O. Veloso, "Effect of high versus low-velocity resistance training on muscular fitness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older men",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3, No.3 pp. 357-264, (2007). 

  8. O. G. Geirsdottir, A. Arnarson, A. Ramel, K. Briem, P. V. Jonsson, I. Thorsdottir, "Muscular strength and physical function in elderly adults 6-18 months after a 12-week resistance exercise program",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43, No.1 pp. 76-82, (2015). 

  9. D. A. Galvao, D. R. Taaffe, "Resistance exercise dosage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rtics Society, Vol 53, No.12 pp. 2090-2097. (2005). 

  10. M. D. Peterson, M. R. Rhea, A. Sen, P. M. Gordon, "Resistance exercise for muscular strength in older adults: A meta-analysis", Ageing Research Review, Vol 9, No.3 pp. 226-237, (2010). 

  11. H. Y. Soo, J. I. Kim, H. L, Kim, "Effects of the Movement on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2, No.2 pp. 184-194, (2000). 

  12. N. Montero-Fernandez, J. A. Serra-Rexach, "Role of exercise on sarcopenia in the elderly".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Vol 49, No.1 pp. 131-144, (2013). 

  13. D. H. Kang, H. J. Kim, D. H. Yoon, J. S. Kim, W. S, "Effects of 12 weeks of high-speed elastic band exercise on the ability of women with longitude or disabilities, their physical performance and muscular strength",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 14, No.1 pp. 26-32, (2014). 

  14. W. Y. Park. "Effect of core exercise with swiss ball on sarcopenia index in agriculture older women"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 36, No.4 pp. 1349-1357, (2019). 

  15. S. W. Han, J. W. Lee, S. Ho. Kim, "Effects of the Swiss Ball and Thera-band Exercise on the Balance of the Elderl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34, No.2 pp. 945-953, (2008). 

  16. H. Y. Cho, Y. J. Park, H. H. Moon, "Effect of Applied Exercise Swiss Ball and a Balance Pad Maximum Strength in the Elderly Woman Lumbar Muscle Endurance Fear of Falling, and Physical Function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51, No.2 pp. 747-758, (2013). 

  17. R. E. Rikli, C. J. Jon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riterion-referenced clinically celevant fitness standards for maintaining physical independence in later years", The Gerontologist, Vol 53, No.2 pp. 255-267, (2013). 

  18. R. Orr, J. Raymond, M. F. Singh, "Efficacy of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on Balance Performance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ports medicine, Vol 38, No.4 pp. 317-343, (2008). 

  19. K. Y. Kim, S. B. Shin, J. H. Kang, K. I. Lee, Y. S. Kim, "The Effects of Exercise for Trunk Muscle Using Swiss Ball in Chronic Low Back Patients", Journal of Korea Sports Research, Vol 17, No.1 pp. 101-112, (2006). 

  20. J. H. Shin, B. J. Lee, J. O, Yang, J. S. Lee, D. W. Han, T. Y. Oh, K. H. Bae,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Functional Fitness and Balance in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Vol 24, No.2 pp. 1-11, (2016). 

  21. H. J. Kwon, H. J. Kim, "Relation of Relative Muscle Mass to Depression in Korean Older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ellness, Vol 10, No.1 pp. 283-291. (2015). 

  22. B. I. Jeon, "Effects of Love on Fall-related Physical Fitness and Posture-Maintaining Ability of Elderly Women who have experienced falls", Unpublished a doctoral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6). 

  23. C. H. Cho, H. K. Park, "The Effect of Variable Exercise Types on Physical Fitness and Balancing Ability in Elderly Wome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38, No.1 pp. 663-670, (2009). 

  24. J. S. Oak, W. Y. Park.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on fitness and equilibrium sensory function in old adults", Exercise Science, Vol 13, No.1 pp. 101-112, (2004). 

  25. J. W. Choi, H. N. Yoo, S. K. Kang, H. Y. Choi,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people's participation in exercise, muscle mass, muscle strength, and cognitive function",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9, No.5 pp. 219-229, (2018). 

  26. H. Y. Soo, J. I. Kim, H. L, Kim, "Effects of the Movement on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2, No.2 pp. 184-194, (2000). 

  27. H. B. Lee, Y. O, Kim,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mbined Training of Dance Sports and Resistance Exercise on Motor Abilities and Sarcopenia Indicators in Old Women", Journal of Korean Dance Research, Vol 35, No.4 pp. 321-339, (2017). 

  28. J. H. Kim, M. K. Choi, "The effect of Long terms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MD and blood cholesterol in menopause woman", Exercise Science, Vol 17, No.3 pp. 351-362, (2008). 

  29. E. F. Binder, K. B. Schechtman, A. A. Ehsani, K. Steger-May, M. B. D. R. Sinacore, K. E. Yarasheski, J. O. Holloszy,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m Geriar Soc, Vol 50, No.12 pp. 1921-1928, (2002). 

  30. S. B. Cook, D. P. LaRoche, M. R. Villa, H. Barile, T. M. Manini, "Blood flow restricted resistance training in older adults at risk of mobility limitations", Experimental gerontology, Vol 1, No.99 pp. 138-145, (2017). 

  31. P. Capodaglio, M. Edda, M. Facioli, F. Saibene, "Long term strength training for community-dwelling people over 75",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100, No.5 pp. 535-542, (2007). 

  32. T. Manini, M. Narko, T, V. Arnam, S. Cook, B. Fernahall, J. Burke, L. Ploutz-Snyder, "Efficacy of resistance and task-specific exercise in older adults who modify tasks of everyday life",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 62, No.6 pp.616-62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