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Chamaecyparis obtusa Extrac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6, 2020년, pp.1496 - 1506  

정여원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김유미 ((주)바이노텍) ,  장영아 (경성대학교 스마트헬스케어융복합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의 부위별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잎·가지(Leaf), 수피(Bark), 목재(Wood), 뿌리(Root)로 분리하여 99.9 % 에탄올에 추출한 시료로 항산화, 미백효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항산화 평가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2 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확인하였다.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mushroom tyrosinase 저해 활성 평가, MTT assay를 통한 편백나무 추출물의 세포독성평가를 진행하였으며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과 melanin 생합성량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 결과 편백나무 부위 중 수피(Bark) 추출물이 가장 효능이 우수하였으며 B16F10 melanoma cell내 편백나무 수피(Bark)는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편백나무 수피 에탄올 추출물의 안전하고 우수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물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in order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using (Chamaecyparis obtusa) by part as a cosmetic material. Chamaecyparis obtusa was separated leaves, bark, wood, and root, and extracted with 99.9% ethanol, and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sample were co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편백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 활성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며 특히 미백효과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편백을 부위별로 에탄올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 부위별 가장 효능이 좋은 편백의 목재부위를 이용하여 마우스 유래 흑색종 세포 murine melanoma cell lines (B16F10)내 MTT assay를 통한 시료의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화장품 유효성 평가 가이드라인에 해당하는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melanin 생합성량 실험법을 통해 편백 목재추출물의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천연물질 소재로서의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의 부위별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잎·가지(Leaf), 수피 (Bark), 목재(Wood), 뿌리(Root)로 분리하여 99.9 %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미백 효능 실험을 진행하여 화장품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평가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 결과, 10 μg/mL에서 수피(Bark) (79.
  • 본 연구에서는 편백을 부위별로 에탄올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 부위별 가장 효능이 좋은 편백의 목재부위를 이용하여 마우스 유래 흑색종 세포 murine melanoma cell lines (B16F10)내 MTT assay를 통한 시료의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화장품 유효성 평가 가이드라인에 해당하는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melanin 생합성량 실험법을 통해 편백 목재추출물의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 Ando, Y. Niki, M. Ito, K. Akiyama, M. S. Matsui, D. B. Yarosh, M. Ichihashi, "Melanosomes Are Transferred from Melanocytes to Keratinocytes through the Processes of Packaging, Release, Uptake, and Dispersion",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Vol.132, No.4, pp. 1222-1229, (2012). 

  2. S. Y. Choi, Y. C. Kim, B. S. Chang, "Inhibitory Efficacy of Black Tea Water Extract on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and Its Action Mechanisms", Korean Journal of Microscopy, Vol.41, No.3, pp. 169-177, (2011). 

  3. S. Del bino, C. Duval, F. Bernerd, "Clin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Skin Pigmentation Diversity and Its Consequences on UV Impact",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Vol.19, No.9, pp. 2668-2712, (2018). 

  4. S. Parvez, M. Kang, H. S. Chung, C. W Cho, M. C. Hong, M. K. Shin, H. S Bae, "Survey and mechanism of skin depigmenting and lightening agents", Phytotherapy Research, Vol.20, No.11, pp. 921-934, (2006). 

  5. H. Ando, H. Kondoh, M. Ichihashi, V. Hearing, "Approaches to identify inhibitors of melanin biosynthesis via the quality control of tyrosinas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Vol.127, No.4, pp. 751-761, (2007). 

  6. J. P. Ebanks, R. R. Wickett, R. E. Boissy, "Mechanisms regulating skin pigmentation: the rise and fall of complexion colo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Vol.10, No.9, pp. 4066-4087, (2009). 

  7. Y. T. Jung, I. S. Lee, K. Whang, M. H. Yu, "Antioxidant effects of Picrasma quassioides and Chamaecyparis obtusa (S. et Z.) ENDL extracts",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Vol.22, No.3, pp. 354-9, (2012). 

  8. S. H. Kim, S. Y. Lee, C. Y. Hong, K. S. Gwak, H. M. Yeo, J. J. Lee, I. G. Choi,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39, No.4, pp. 291-302, (2011). 

  9. M. J. Park, W. S. Cheoi, B. C. Min, H. Y. Kim, H. Y. Kang, I. G. Choi,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Chamaecyparis obtus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36, No.6, pp. 159-167, (2008). 

  10. J. W. Kim, W. S. Choi, S. S. Lee, M. J. Park,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and Hydrodistillation from Chamaecyparis obtusa Leave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43, No.4, pp. 494-503, (2015). 

  11. C. U. Hong, C. S. Kim, N. G. Kim, Y. H. Kim,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the Leaves and the Fruits of Chamaecyparis obtusa and Chamaecyparis pisifera",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ol.44, No.2, pp. 116-121, (2001). 

  12. T. Hieda, M. Tazaki, Y. Morishita, T. Aoki, S. Nagahama, "Sesquiterpene alcohols from Chamaecyparis obtusa leaf oil", Phytochemistry, Vol.42, No.1, pp. 159-162, (1996). 

  13. K. Fujimori, A. Kaneko, Y. Kitamori, M. Aoki, M. Makita, N. Masuda, K. Ho kari, "Hinokitiol β-Thujaplicin) from the Essential Oil of Hinoki [Chamaecyparis obtusa (Sieb. et Zucc.) Endl.]", Journal of Essential Oil Research, Vol.10, No.6, pp. 711-712, (1998). 

  14. J. H. Kim, S. O. Lee, K. B. Do, W. D. Ji, S. G. Kim, Y. D. Back, K. J. Kim, " Analysis of the component and immunological efficacy of 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Vol.50, No.1, pp. 37-43, (2018). 

  15. Y. L. Cha, I. H. Lee, M. H. Jang, "The improving effects in skin of atopic infant by Chamaecyparis obtusa Endlicher",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Vol.13, No.3, pp. 75-87, (2012). 

  16. K. A. Seo, S. H. Li, "A Study on the Anti-bacterial Effect and Dandruff Scalp Emprovement of Malassezia furfur of Chamaecyparis obtusa",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Vol.13, No.3, pp. 285-293, (2015). 

  17. G. D. Lee, H. G. Chang, H. K. Kim,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29, No.3, pp. 432-436, (1997). 

  18. S. J. Jeong, K. H. Kim, H. S. Yook,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hot-air dried Allium hooker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44, No.6, pp. 832-839, (2015). 

  19. K. Jimbow, H. Chen, J. S. Park, P. D. Thomas, "Increased sensitivity of mela nocytes to oxidative stress and abnormal expression of tyrosinase­related protein in vitiligo",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Vol.144, No.1 pp. 55-65 (2001). 

  20. J. G. Park, B. S. Karmer, S. M. Steinberg, J. Carmichael, J. M. Collins, J. D. Minna, A. F. Gazdar,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using a tetrazolium-based colorimetric assay", Cancer research, Vol.47, No.22, pp. 5875-5879, (1987). 

  21. B. K. Kim, J. H. Kang, G. H. Oh, J. Y. Hwang, S. O. Jang, M. H. Kim, "Antiba 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amaecyparis obtusa Extracts",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Vol.29, No.7 pp. 785-791 (2019). 

  22. L. Z. Piao, H. R. Park, Y. K. Park, S. K. Lee, J. H. Park, M. K. Park. "Mushroom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ome chromones",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Vol.50, No.3 pp. 309-311 (2002). 

  23. A. Korner, J. Pawelek, "Mammalian tyrosinase catalyzes three reactions in the bio synthesis of melanin", Science, Vol.217, No.4565, pp. 1163-1165, (1982). 

  24. K. Maeda, T. Naitou, K. Umishio, T. Fukuhara, A. Motoyama, "A novel melanin inhibitor: hydroperoxy traxastanetype triterpene from flowers of Arnica montana",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Vol.30, No.5 pp. 873-879 (2007). 

  25. F. A. Badria, M. A. elGayyar, "A new type of tyrosinase inhibitors from natural products as potential treatments for hyperpigmentation", Bollettino Chimico Farmaceutico, Vol.140, No.4 pp. 267-271 (200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