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나무와 편백나무 정유의 미백 및 항산화 효능 평가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39 no.4, 2011년, pp.291 - 302  

김선홍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이수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홍창영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곽기섭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여환명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이전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최인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삼나무와 편백나무 정유의 tyrosinase 저해 활성과 DPPH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소거 활성, SOD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을 구명하여 정유의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삼나무와 편백나무 정유의 미백 및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 건조 중 발생하는 nVOCs의 부가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삼나무 및 편백나무 잎의 정유는 수증기 증류법으로 24시간 추출하였고, 목부는 고온 열처리기를 이용하여 80, 100, $120^{\circ}C$의 온도조건에서 열기 건조하여 건조 중 목부로부터 발생하는 부산물인 천연 휘발성 유기화합물(nVOCs, Natural Volatile Organic Compounds)을 응축액의 형태로 추출하였다. 삼나무 잎의 정유가 편백나무 잎의 정유 보다 미백 및 항산화 활성에서 모두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건조 시 발생한 nVOCs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미백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항산화 활성은 $120^{\circ}C$에서 발생한 삼나무 nVOCs에서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itening and antioxidation effects by determining the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nd superoxide dismutase like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uggest preli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2). 따라서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시킨다면 피부에 melanin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tyrosinase 저해 효과를 통해 미백 효과를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삼나무와 편백나무 잎 정유의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구명하여 화장품 산업에서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 건조 중 발생하는 nVOCs의 화장품 산업으로의 응용을 통한 부가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한다.
  • 따라서 삼나무와 편백나무 정유가 활성산소를 중화시키는 항산화 효소인 SOD와 같은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강력한 환원제인 pyrogallol을 이용하여 SOD 유사활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삼나무와 편백나무의 잎의 정유와 목부 건조 시 발생한 nVOCs의 terpenoids 화합물들의 미백 및 항산화 효과를 구명하였다. 편백나무 정유 또한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삼나무 정유가 편백나무보다 tyrosinase 저해활성, SOD 유사활성에서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또한 nVOCs는 건조 초기 1시간 동안 주로 발생한다(Englund & Nussbaum, 2000).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삼나무와 편백나무의 열기 건조 중 발생하는 nVOCs의 활용 방안 증대를 위해 실험실 규모의 열처리기에서 발생하는 nVOCs를 포집하여 미백 및 항산화능을 알아보고 nVOCs에 포함된 terpenoid 화합물의 부가적 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 , 1995). 정유의 성분이 radical을 뺏거나 수소 radical을 제공함으로써 또는 전자를 공여함으로써 DPPH의 free radical을 전자적으로 안정하게 만들어 free radical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기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Brand-Williams et al., 1995) 이를 바탕으로 free radical을 가지고 있는 활성산소의 피부노화를 방지할 가능성의 여부를 판단하여 삼나무와 편백나무 정유가 항산화 소재로 이용이 가능한 지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백나무는 무엇인가? , 2005; David & Minemura, 2000).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측백나무 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1970년대 산림녹화 사업으로 남부 지방에 식재되었으며 최근 측백나무로부터 발생한 피톤치드의 유용성이 알려지면서 휴양림 조성 등으로 인해 비교적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수목 자원이다. 이러한 삼나무와 편백나무의 정유에 대한 많은 이용 방안이 제시되었고, 그 중 항균, 항충 활성과 같은 생리활성에 높은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Cheng et al.
기존의 미백및 항산화제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 결과 피부 미백 및 항산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관련 화합물들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미백및 항산화제 성분은 비타민C, 비타민E, 카로티노이드(carotinoid),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셀레늄, 코엔자임Q 등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성분을 천연물에서 유래하여 개발하는 연구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합성 원료를 대체할 적절한 미백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탐색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삼나무와 편백나무의 정유에 대한 연구로 무엇이 진행되고 있는가? , 2006). 그러나 정유의 tyrosinase 억제 효과와 DPPH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소거활성, SOD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과 같은 미백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삼나무와 편백나무로부터 분리된 정유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정희석, 강호양, 박정환, 이남호, 이형우, 강춘원, 여환명. 2008. 새로 쓴 목재건조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7-8, 276-343. 

  2. 송호선, 문효진, 박병언, 최방실, 이동자, 이지윤, 김창종, 심상수. 2007. 대나무 추출액의 항산화 작용과 미백 작용. 약학회지 51(6): 500-507. 

  3. 이수연, 곽기섭, 김선홍, 이전제, 여환명, 최인규. 2010. 삼나무 건조 중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Terpenoids의 분석. 목재공학회지 38(3): 242-248. 

  4. 조민정, 박미정, 이흠숙. 2007. 쑥갓 스테롤배당체의 아질산염소거작용 및 SOD 유사활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9(1): 77-82. 

  5. Benhammou1, N., F. A. Bekkara, and T. K. Panovska.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Pistacia lentiscus and Pistacia atlantica extracts. African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2(2) : 022-028. 

  6.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7. Brand-Williams, W., M. E. Cuvelier, and C. Berset.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ence and Technology 28(1): 25-30. 

  8. Cheng, S., H. Chang, C. Wu, and S. Chang. 2007. Anti-termitic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coniferous trees against Coptotermes formosanus. Bioresource technology 98(2): 456-459. 

  9. Cheng, S., H. Lin, and S. Chang. 2005.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different tissues of Japanese cedar (Cryptomeria japonic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3(3): 614-619. 

  10. Cronn, D., S. Truitt, and M. Campbell. 1983.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lywood veneer dryer emissions. Atmospheric Environment 17(2): 201-211. 

  11. David, N. and N. Minemura. 2000. Color and Discoloration. Wood and cellulosic chemistry 385. 

  12. Englund, F. and R. Nussbaum. 2000. Monoterpenes in Scots pine and Norway spruce and their emission during kiln drying. Holzforschung 54(5): 449-456. 

  13. Fantone, J. and P. Ward. 1982. Role of oxygen-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107(3): 395. 

  14. Ingram Jr, L., F. Taylor, V. Punsavon, and M. Templeton. 1995. Identific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during the drying of southern pine in pilot and laboratory experiments. Measuring and controlling VOC and particulate emissions from wood processing operations and wood based products 35-40. 

  15. Kamal-Eldin, A. and L. Appelqvist. 1996. The chemist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Lipids 31(7): 671-701. 

  16. Kofujita, H., Y. Fujino, T. Sasaki, M. Hasebe, M. Ota, and K. Suzuki. 2001. Antifungal activity of the bark of Cryptomeria japonica and its relevant components. Journal-Japan Wood Research Society 47(6): 479-486. 

  17. Koleva, I., T. van Beek, J. Linssen, A. Groot, and L. Evstatieva. 2002. Screening of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a comparative study on three testing methods. Phytochemical analysis 13(1): 8-17. 

  18. Kooyers, T. and W. Westerhof. 2006. Toxicology and health risks of hydroquinone in skin lightening formulations.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20(7): 777-780. 

  19. Kordali, S., A. Cakir, A. Mavi, H. Kilic, and A. Yildirim. 2005. Screening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s from Three Turkish Artemisia Specie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3(5): 1408-1416. 

  20. Kulisic, T., A. Radonic, V. Katalinic, and M. Milos. 2004. Use of different methods for testing antioxidative activity of oregano essential oil. Food Chemistry 85(4): 633-640. 

  21. Lavery, M. and M. Milota. 2001. Measurement of VOC emissions from ponderosa pine lumber using commercial and laboratory kilns. Drying Technology 19(9): 2151-2173. 

  22. Marklund, S. and G. Marklund.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47(3): 469-474. 

  23. Matsushita, Y., Y. Hwang, K. Sugamoto, and T. Matsui.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heartwood components of sugi (Cryptomeria japonica) against several fungi and bacteria. Journal of Wood Science 52(6): 552-556. 

  24. McDonald, A., P. Dare, J. Gifford, D. Steward, and S. Riley. 2002. Assessment of air emissions from industrial kiln drying of Pinus radiata wood. European Journal of Wood and Wood Products 60(3): 181-190. 

  25. Park, S. 2003.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 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5(3): 510-518. 

  26. Piao, L., H. Park, Y. Park, S. Lee, J. Park, and M. Park. 2002. Mushroom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ome chromones.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50(3): 309-311. 

  27. Sies, H. 2003. Biochemistry of oxidative stress.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in English 25(12): 1058-1071. 

  28. Thirugnanasampandan, R., R. Jayakumar. V. Narmatha Bai, E. Martin, and K. J. Rajendra Prasad. 2008. Antiacetylcholinesterase and antioxidant ent-Kaurene diterpenoid, melissoidesin from Isodon wightii (Bentham) H. Hara. Natural Product Research 22(8): 681-688. 

  29. Yagi, A., T. Kanbara, and N. Morinobu. 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 a Medica 3981: 517-5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