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에서는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을 검토하였다. 편백나무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SOD 유사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편백나무 추출액의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hamaecyparis obtusa (C. obtuse) extracts by measuring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nd SOD-like activitie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maximum activities of 78% and 62% at an extract concentration of
#Antioxidant #antibacterial activity #Chamaecyparis obtuse #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e) |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e)는 무엇인가? |
노송나무라고도 불리는 열대나무종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e)는 노송나무라고도 불리는 열대나무종으로 일본이 원산지며, 우리나라의 제주도 및 남부지방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강한 향을 가져 살균, 탈취, 피부미용, 혈액순환, 감기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37]. 또한, 편백나무의 잎과 나뭇가지의 정유를 이용하여 항균, 항진균 및 항염증 효과에 대한 연구 보고가 있으며, 편백나무의 정유 중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물질로는 α-terpinyl acetate, β-phellandrene, β-myrcene, limonene, bornyl acetate, γ-terpinene, β-thujaplicin 및 monoterpenes으로 나타나 있다[14]. |
자몽종자 추출물 | 자몽종자 추출물의 효과는? |
항균, 항산화, 항염증 효과
또한, 편백나무의 잎과 나뭇가지의 정유를 이용하여 항균, 항진균 및 항염증 효과에 대한 연구 보고가 있으며, 편백나무의 정유 중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물질로는 α-terpinyl acetate, β-phellandrene, β-myrcene, limonene, bornyl acetate, γ-terpinene, β-thujaplicin 및 monoterpenes으로 나타나 있다[14]. 한편, 자몽종자 추출물은 항균, 항산화,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 성분이 부패성 및 병원성 미생물의 세포벽과 세포막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연구되어 있다[24, 40]. |
안전한 식품 생산을 위해 다양한 보존료를 개발하고 사용 | 안전한 식품 생산을 위해 다양한 보존료를 개발하고 사용하는 이유는? |
우리나라는 식생활 방식의 다양화 및 변화로 인하여 즉석식품, 간편편의식품 등과 같은 가공식품의 섭취가 증가하면서 유통 및 보존기간 중 식품의 부패 및 변질로 인한 다양한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식생활 방식의 다양화 및 변화로 인하여 즉석식품, 간편편의식품 등과 같은 가공식품의 섭취가 증가하면서 유통 및 보존기간 중 식품의 부패 및 변질로 인한 다양한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4, 6, 11]. 이러한 이유로 안전한 식품 생산을 위해 다양한 보존료를 개발하고 사용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도 대부분 화학적으로 합성된 보존료를 사용하고 있는 식품이 다수이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