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양가능한 피부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ulturable bacteria from human ski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6, 2020년, pp.1698 - 1705  

배영민 (창원대학교 생명보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나이가 20-25세인 남녀 성인들 20명(남성 5명, 여성 15명)의 엄지손가락 표면에 상재하는 세균을 채취하고 Luria-Bertani agar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균들의 16S rDNA를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하여 증폭하고, 그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염기서열을 genbank의 자료들과 비교하여 세균들을 동정한 결과, 총 14종의 세균들이 확인되었다. 개인별로는 평균 2.5종의 배양 가능한 세균들을 손의 피부에 보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확인된 세균 중에서는 Staphylococcus 종들이 가장 널리 존재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Micrococcus luteus이었다. Staphylococcus 종들의 경우에는 그 분포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적었으나, Micrococcus luteus의 경우에는 남자보다 여자에게서 훨씬 더 많이 분리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피부 질환에 대한 연구, 피부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 피부에 사용하는 화장품개발 등의 분야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teria were collected from the thumb surface of the twenty young adults that are 20 to 25 years old and cultured on the Luria-Bertani agar. The 16S rDNA of the cultured bacteria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nd DNA sequence of the PCR products analyzed. Total 14 different bacte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여러 다양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주거환경, 성별 또는 나이에 따라 분석해 보면 피부건강을 유지하거나 미용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자료들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남 창원지역에 거주하는 20대 초반의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호기적 조건하의 Luria-Bertani agar에서 배양 가능한 피부세균들을 분리하고 동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Lehtimaki, A. Karkman, T. Laatikainen, L. Paalanen, L. von Hertzen, T. Haahtela, I. Hanski, L. Ruokolainen, "Patterns in the skin microbiota differ in children and teenagers between rural and urban environments" Sci Rep, Vol.7, pp. 45651, (2017). 

  2. S. Ying, D. N. Zeng, L. Chi, Y. Tan, C. Galzote, C. Cardona, S. Lax, J. Gilbert, Z. X. Quan, "The Influence of Age and Gender on Skin-Associated Microbial Communities in Urban and Rural Human Populations", PLoS One, Vol.10, pp. e0141842, (2015). 

  3. A. Shami, S. Al-Mijalli, P. Pongchaikul, A. Al-Barrag, S. AbduRahim, "The prevalence of the culturable human skin aerobic bacteria in Riyadh, Saudi Arabia", BMC Microbiol, Vol.19, pp. 189, (2019). 

  4. S. Thijs, M. Op De Beeck, B. Beckers, S. Truyens, V. Stevens, J. D. Van Hamme, N. Weyens, J. Vangronsveld, "Comparative Evaluation of Four Bacteria-Specific Primer Pairs for 16S rRNA Gene Surveys", Front Microbiol, Vol.8, pp. 494, (2017). 

  5. W. G. Weisburg, S. M. Barns, D. A. Pelletier, D. J. Lane, "16S ribosomal DNA amplification for phylogenetic study", J Bacteriol, Vol.173, pp. 697-703, (1991). 

  6. M. Johnson, I. Zaretskaya, Y. Raytselis, Y. Merezhuk, S. McGinnis, T. L. Madden, "NCBI BLAST: a better web interface", Nucleic Acids Res, Vol.36, pp. W5-9, (2008). 

  7. M. J. Kim, "Differences in Skin Temperature and Perceived Thermal Comfort Based on Age, Sex and Clothing Weight of Participants in a Room at Recommended Room Temperatur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Vol.15, pp. 55-64, (2004). 

  8. Y. J. Oh, J. Y. Jang, S. K. Lim, M. S. Kwon, J. Lee, N. Kim, M. Y. Shin, H. K. Park, M. J. Seo, H. J. Choi, "Virgibacillus kimchii sp. nov., a halophilic bacterium isolated from kimchi", J Microbiol, Vol.55, pp. 933-938, (2017). 

  9. V. Vrbovska, V. Kovarovic, I. Maslanova, A. Indrakova, P. Petras, O. Sedo, P. Svec, L. Fisarova, M. Siborova, K. Mikulasek, I. Sedlacek, J. Doskai, R. Pantucek. "Staphylococcus petrasii diagnostics and its pathogenic potential enhanced by mobile genetic elements", Int J Med Microbiol, Vol.309, pp. Article 151355, (2019). 

  10. A. H. Van Craenenbroeck, K. Camps, P. Zachee, K. L. Wu, "Massilia timonae infection presenting as generalized lymphadenopathy in a man returning to Belgium from Nigeria", J Clin Microbiol, Vol.49, pp. 2763-2765, (2011). 

  11. N. J. Alkhatib, M. H. Younis, A. S. Alobaidi, N. M. Shaath, "An unusual osteomyelitis caused by Moraxella osloensis: A case report", Int J Surg Case Rep, Vol.41, pp. 146-149, (2017). 

  12. Y. Maruyama, T. Shigemura, K. Aoyama, N. Nagano, Y. Nakazawa, "Bacteremia due to Moraxella osloensis: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Braz J Infect Dis, Vol.22, pp. 60-62, (2018). 

  13. A. Yamada, K. Kasahara, Y. Ogawa, K. Samejima, M. Eriguchi, H. Yano, K. Mikasa, K. Tsuruya, "Peritonitis due to Moraxella osloensis: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J Infect Chemother, Vol.25, pp. 1050-1052, (2019). 

  14. I. A. Myles, N. J. Earland, E. D. Anderson, I. N. Moore, M. D. Kieh, K. W. Williams, A. Saleem, N. M. Fontecilla, P. A. Welch, D. A. Darnell, L. A. Barnhart, A. A. Sun, G. Uzel, S. K. Datta, "First-in-human topical microbiome transplantation with Roseomonas mucosa for atopic dermatitis", JCI Insight, Vol.3, pp. e120608, (2018). 

  15. N. Beucler, M. Meyer, A. Choucha, P. Seng, H. Dufour, "Peritonitis caused by Roseomonas mucosa after ventriculo-peritoneal shunt revision: a case report", Acta Neurochir (Wien), Vol.162, pp. 2459-2462, (2020). 

  16. M. Bhende, A. Karpe, S. Arunachalam, K. L. Therese, J. Biswas, "Endogenous endophthalmitis due to Roseomonas mucosa presenting as a subretinal abscess", J Ophthalmic Inflamm Infect, Vol.7, pp. 5, (2017). 

  17. K. Kimura, H. Hagiya, I. Nishi, H. Yoshida, K. Tomono, "Roseomonas mucosa bacteremia in a neutropenic child: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IDCases, Vol.14, pp. e00469, (2018). 

  18. S. Shao, X. Guo, P. Guo, Y. Cui, Y. Chen, "Roseomonas mucosa infective endocarditis in patient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BMC Infect Dis, Vol.19, pp. 140, (2019). 

  19. I. A. Myles, I. N. Moore, C. R. Castillo, S. K. Datta, "Differing Virulence of Healthy Skin Commensals in Mouse Models of Infection", Front Cell Infect Microbio, Vol.8, pp. 451, (2018). 

  20. G. Ianiro, G. Rizzatti, M. Plomer, L. Lopetuso, F. Scaldaferri, F. Franceschi, G. Cammarota, A. Gasbarrini, "Bacillus clausii for the Treatment of Acute Diarrhea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utrients, Vol.10, No.8, pp. 1074, (2018). 

  21. S. Joshi, S. Udani, S. Sen, S. Kirolikar, A. Shetty, "Bacillus Clausii Septicemia in a Pediatric Patient After Treatment With Probiotics", Pediatr Infect Dis J, Vol.38, pp. e228-e230, (2019). 

  22. Y. E. Chen, M. A. Fischbach, Y. Belkaid, "Skin microbiota-host interactions", Nature, Vol.553, pp. 427-436,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