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를 이용한 사상체질에 따른 식습관 평가: 대전시민건강코호트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Using a Nutrition Quotient: A Korean Medicine Daejeon Citizen Cohort Study 원문보기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32 no.4, 2020년, pp.86 - 95  

정경식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  박기현 (한국한의학연구원 임상의학부)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  황지윤 (상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영화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Meal and nutrition are important lifestyle factors that affect maintenance and promotion of health status and are also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s.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ietary behavi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asang constitution (SC) types is a key componen...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30-50대의 일반 성인의 체질별 식사의 질과 영양섭취상태를 평가하였으며, 연구 결과 체질별 고려해야 할 식습관 요소가 다름을 확인하였으므로 체질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식습관 관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 전체를 표본으로 조사하지는 않았으나, 대전 지역이 우리나라 전체의 일반 인구 집단의 특성과 유사하며, 대상자 모집 시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하여 표본 추출을 시행했다는 측면에서 어느 정도 일반 성인 집단의 특성이 반영하였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는 KDCC 코호트 대상자 1, 947명을 대상으로 확립된 영양지수 설문을 활용하여 식사의 질과 영양 섭취 상태를 평가하고, 체질에 따른 식습관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체질과 식습관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개별 식품과 영양소 섭취량 중심이거나, 단일 문항 의식 행동 특성을 살펴본 결과가 대부분이었는데, 본 연구는 구조화된 영양상태 평가 도구로 대규모의 30-50 대 성인의 체질별 식습관 특성을 살펴본 최초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성인 영양지수 설문지를 이용하여 30-50대 KDCC 코호트 대상자 1, 947명을 대상으로 식사의 질과 영양섭취상태를 평가하고 체질에 따른 식습관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영양지수 총점수와 세부 영역 모두에서 체질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보정한 후에도 체질별로 영양지수 총 점수와 ‘균형’, ‘다양’, ‘식행동’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성인 영양지수를 사용하여, 대전지역 성인의 사상체질에 따른 영양상태와 식사의 질을 평가하여 체질 특성을 고려한 건강 식습관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살펴보았다. 체질과 식습관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개별 식품과 영양소 섭취량 중심이거나, 단일 문항 의식 행동 특성을 살펴본 결과가 대부분이었는데, 본 연구는 구조화된 영양상태 평가 도구로 대규모의 30-50 대 성인의 체질별 식습관 특성을 살펴본 최초의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Nishida C, Uauy R, Kumanyika S, Shetty P. The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on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process, product and policy implications. Public health nutrition. 2004;7(1a):245-50. DOI: 10.1016/j.numecd.2018.04.0021. 

  2. Kweon SH, Oh KW. Food sources of nutrient intake i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12(32):1132-40. (korean) 

  3. Yoon SH, Kim JH, Oh KW. Dietary Habits of Korean Adults: Result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10(7):156-8. (korean)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CDC.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2019. (korean) 

  5. Yoo JS, Jeong JI, Park CG, Kang SW, Ahn JA. Impact of Life Style Characteristics on Prevalence Risk of Metabolic Syndrome. J Korean Acad Nurs. 2009;39(4):594-601. DOI: 10.4040/jkan.2009.39.4.594 

  6. Lee JS, Kim HY, Hwang JY, Kwon SH, Chung HR, Kwak TK, et al.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ults: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J Nutr Health. 2018;51(4):340-56. (korean). DOI: 10.4163/jnh.2018.51.4.340 

  7. Yoon SH, Oh KW. Development and status of Korean Healthy Eating Index for adult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11(52):1764-72. (korean) 

  8. Dubois L, Kyvik KO, Girard M, Tatone-Tokuda F, Perusse D, Hjelmborg J, et al.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tributions to weight, height, and BMI from birth to 19 years of age: an international study of over 12,000 twin pairs. PLOS one. 2012;7(2):e30153. DOI: 10.1371/journal.pone.0030153 

  9. Mehramiz M, Ghasemi F, Esmaily H, Tayefi M, Hassanian SM, Sadeghzade M, et al. Interaction between a variant of CDKN2A/B-gene with lifestyle factors in determining dyslipidemia and estimated cardiovascular risk: A step toward personalized nutrition. Clinical Nutrition. 2018;37(1):254-61. DOI: 10.1016/j.clnu.2016.12.018 

  10. Yu JS. The Preventive Thought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J Sasang Constitut Med. 2018;30(1):7-13. (korean). DOI: 10.7730/JSCM.2018.30.1.7 

  11. Park GS, Lee JH, Lee SK, Lee EJ, Kim DR, Song IB, et al. The Study on the Actual Nutrient Intake Based on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2007;19(3):188-205. (korean) 

  12. Baek TH, Park SS. A Correlation Research of Appetite and Dining Habit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JKM. 2004;25(2):77-86. (korean) 

  13. Jin YH, Son YJ, Kim EH, Lee WK.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by Sasang Constitution Types. Culi Sci & Hosy Res. 2009; 15(1):1-15. (korean) 

  14. Kim JY, Lee SW, Baek YH. Effects of Life Style on Metabolic Syndrome Stage according to the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2017;29(3):232-41. (korean) DOI: 10.7730/JSCM.2017.29.3.232 

  15. Jang ES, Kim YY, Baek YH, Lee SW. The Association between Seven Health Practices and Self Rated Health by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2018;30(1):32-42. (korean). DOI: 10.7730/JSCM.2018.30.1.32 

  16. Park GS, Kim HK. A Study on Eating Habits by Body Constitution Types of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32(2):302-6. (korean) 

  17. Ko WS, Kim KS, Ko BH, Lee EJ. The Study on Sasangin's Appearance and Eating Habi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Sasang Constitut Med. 2007;19(1):116-26. (korean) 

  18. Baek YH, Seo BN, Jeong KS, Yoo HR, Lee SW. Lifestyle, genomic types and non-communicable diseases in Korea: a protocol for the Korean Medicine Daejeon Citizen Cohort study (KDCC). BMJ open. 2020;10(4):e034499. DOI: 10.1136/bmjopen-2019-034499 

  19. Baek YH, Jang ES, Park KH, Yoo JH, Jin HJ, Lee SW.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KS-15 (Korea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tic Questionnaire) based on body shape, temperament and symptoms. J Sasang Constitut Med. 2015;27(2):211-21. (korean). DOI: 10.7730/JSCM.2015.27.2.211 

  20. Ham SW, Kim KH. Evaluation of the dietary quality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people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in Seoul. J Nutr Health. 2020;53(1):68-82. (korean). DOI: 10.4163/jnh.2020.53.1.68 

  21. Yook SM, Park SH, Moon HK, Kim KR, Shim JE, Hwang JY. Development of Korean Healthy Eating Index for adult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 Nutr Health. 2015;48(5):419-28. (korean). DOI: 10.4163/jnh.2015.48.5.419 

  22. Choe JS, Ji SM, Paik HY, Hong SM. A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Dietary Consciousness of Adults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3;32(7):1132-46. (korean) 

  23. Kim SH, Kim NY, Ya IS. A Study on the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State to Obesity Index ofAdults Living in Daejeon.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005;15(2):152-7. (korean) 

  24. Kim YY, Yoo JH, Park KH, Lee SW. The effects of constitutional food preference on health status of the twenties. J Sasang Constitut Med. 2012;24(2):31-8. (korean). DOI: 10.7730/JSCM.2012. 24.2.031 

  25. Jeong KS, Kim HS, Lee SW, Baek YH. Association between Dietary Habits and Self-rated Health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020;34(1):53-9. (korean). DOI: 10.15188/kjopp.2020.02.34.1.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