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through Lesson Plan Analysis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5 no.1, 2020년, pp.207 - 219  

Kim, Seong-Won (KAIST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  Yi, Soyul (Dept. of Computer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Lee, Youngjun (Dept. of Computer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TPACK 교육을 통해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예비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김성원과 이영준(2019)에서 개발한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수업 전문성 분석을 위하여 예비 교사가 작성한 수업 지도안을 분석 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차 수업 지도안에서 예비 교사는 테크놀로지 활용이 저조하며, 지식을 전달하거나 실험하는 수업을 설계하였다. 2차 수업 지도안에서는 테크놀로지 활용이 증가하였지만, 교육적 맥락에 따라 테크놀로지가 활용되지 않았다. 3차 수업 지도안에서 모든 예비 교사가 테크놀로지를 교육적 맥락에 따라 활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teaching expertise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PACK education. In this study, we applied a programming-based TPACK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Kim and Lee (2019) to 20 prospective teachers. To analyze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analyzed the...

Keyword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PACK이 기존의 교육 공학에서의 연구 접근방법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TPACK 프레임워크에서는 TK, CK, PK 가 같은 중요도를 가지며, 세 가지의 지식이 분리된 형태 가 아니라 교육적 맥락 안에서 지식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 여 통합된 형태의 지식을 제시하였다. TPACK은 기존의 교육 공학에서 이루어진 연구와 같이 교수-학습에 테크놀로지를 추가한 접근이 아니라 다양한 교육적 맥락 안에서 교수-학습, 교과 내용, 평가 등 다양한 교육적 특성에 맞추어 수업을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을 중시하는 접근이었다 [11][28].
TPACK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다섯 가지는 무엇인가? 선행 연구에서는 TPACK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 다섯 개로 유형화하였다. 첫 번째는 자기 보고식 설문지로, TPACK이나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활용 문항에 대하여 예비 교사가 직접 평가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TPACK 선행 연구에서는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는 문항을 많이 사용하였다. 두 번째는 개방형 질문으로, 경험이나 내용에 대하여 직접 서술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세 번째로 수행 평가는 수업 설계와 같이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TPACK 발달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네 번째로 인터뷰는 구조화된 면담 문항을 연구자가 사용하여 참여자들의 TPACK에 대한 인식이나 발달을 분석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관찰은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수업 행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다. 141개의 TPACK 논문에서는 TPACK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섯 가지 측정 방법을 비슷한 비율로 활용하고 있었다 [22].
TPACK이란 무엇인가? 교사의 PCK에서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함 에 따라 PCK와 TK가 통합된 프레임워크가 나타났다 [26][27]. Mishra and Koehler(2006)는 지식 간의 상호작용과 통합을 통하여 테크놀로지를 교과 내용에 따라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에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인 TPACK을 새롭게 정의하였다. TPACK 프레임워크에서는 TK, CK, PK 가 같은 중요도를 가지며, 세 가지의 지식이 분리된 형태 가 아니라 교육적 맥락 안에서 지식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 여 통합된 형태의 지식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urrency," 2017. 

  2. K. Facer, "Learning futures: Education,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Routledge, 2011. DOI: 10.4324/9780203817308 

  3. S. A. Becker, M. Brown, E. Dahlstrom, A. Davis, K. DePaul, V. Diaz, and J. Pomerantz, "NMC horizon report: 2018 higher education edition," Louisville, CO: EDUCAUSE, 2018. 

  4. M. Berson, R. Diem, D. Hicks, C. Mason, J. Lee, and T. Dralle, “Guidelines for using technology to prepare social studies teachers,” 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Vol. 1, No. 1, pp. 107-116, Nov. 2000. 

  5. C. Angeli, and N. Valanides,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for the conceptualization,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ICT-TPCK: Advances i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CK)," Computers & education, Vol. 52, No. 1, pp. 154-168, Jan. 2009. DOI: 10.1016/j.compedu.2008.07.006 

  6. R. E. Clark, “Reconsidering research on learning from media,”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 53, No. 4, pp. 445-459, Dec. 1983. DOI: 10.2307/1170217 

  7. R. Junco, and C. Clem, "Predicting course outcomes with digital textbook usage data,"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Vol. 27, pp. 54-63, Oct. 2005. DOI: 10.1016/j.iheduc.2015.06.001 

  8. J. Schacter, "The impact of education technology on student achievement: What the most current research has to say," 1999. 

  9. A. J. Rockinson-Szapkiw, J.Courduff, K. Carter, and D. Bennett, "Electronic versus traditional print textbooks: A comparison study o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Vol. 63, pp. 259-266, Apr. 2013. DOI: 10.1016/j.compedu.2012.11.022 

  10. M. L. Niess, "Investigating TPACK: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with technology,"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Vol. 44, No. 3, pp. 299-317. Jun. 2011. DOI 10.2190/ec.44.3.c 

  11. P. Mishra, and M. J. Koehler,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Vol. 108, No. 6, pp. 1017-1054. Jun. 2006. 

  12. L. S. Shulman,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Vol. 15, No. 2, pp. 4-14, Feb. 1986. DOI: 10.1177/002205741319300302 

  13. J. Voogt, P. Fisser, N. Pareja Roblin, J. Tondeur, and J. van Braak,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Vol. 29, No. 2, pp. 109-121, Mar. 2013. DOI: 10.1111/j.1365-2729.2012.00487.x 

  14. C. S. Chai, J. H. L. Koh, and C. C. Tsai, “A review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 16, No. 2, pp. 31-51, Apr. 2013. 

  15. Swkim & yjlee, “Development of TPACK-P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22, No. 7, pp. 141-152, Jul. 2017. DOI: 10.9708/jksci.2017.22.07.141 

  16. M. J. Koehler, P. Mishra, and W. Cain, “What i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Journal of Education, Vol. 193, No. 3, pp. 13-19, Mar, 2013. DOI: 10.4324/9781315771328 

  17. M. L. Niess, R. N. Ronau, K. G. Shafer, S. O. Driskell, S. R. Harper, C. Johnston, C. Browning, S. A. Ozgun-Koca, and G. Kersaint, "Mathematics teacher TPACK standards and development model," 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Vol. 9, No. 1, pp. 4-24, Mar. 2009. 

  18. Eschoi, Yjlee, and Shpaik, "The Effects of Programming-Based Lessons o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Related to TPAC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ol. 37, No. 4, pp. 693-703, Aug. 2017. DOI: 10.14697/JKASE.2017.37.4.693 

  19. Jwchi, Eklee, and Yjlee, "Extension of Technology in TPACK: Tools, Application Software, and Programming," Proceeding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23, No. 2, pp. 137-138, Jul. 2015. 

  20. Swkim & yjlee, “The Effects of Programming-based TPACK Educational Program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21, No. 5, pp. 49-59, Sep. 2018. DOI: 10.32431/kace.2018.21.5.005 

  21. Swkim & yjlee, “The Changes of Self-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Teachers for Technology Integration through Programming-based TPACK Educational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24, No. 4, pp. 185-193, Nov. 2019. DOI: 10.9708/JKSCI.2019.24.04.185 

  22. M. J. Koehler, T. S. Shin, and P. Mishra, "How do we measure TPACK? Let me count the ways," In Educational technology, teacher knowledge, and classroom impact: A research handbook on frameworks and approaches (pp. 16-31). IGI Global, 2012. DOI: 10.4018/978-1-60960-750-0.ch002 

  23. Dhkim, "TPACK as a Research Tool for Technology Integration into Classroom: A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Korea,"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Vol. 30, No. 4, pp. 1-22, Nov. 2017. 

  24. B. C. Bruce, and M. P. Hogan, "The disappearance of technology: Toward an ecological model of literacy," Routledge, 1998. 

  25. C. S. Chai, J. H. L. Koh, C. C. Tsai, and L. L. W. Tan, "Modeling prim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for meaningful learning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Computers & Education, Vol. 57, No. 1, pp. 1184-1193, Aug. 2011. DOI: 10.1016/j.compedu.2011.01.007 

  26. J. Hughes, “The role of teacher knowledge and learning experiences in forming technology-integrated pedagogy,”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Vol. 13, No. 2, pp. 277-302, Apr. 2005. 

  27. M. L. Niess, “Preparing teachers to teach science and mathematics with technology: Developing a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 21, No. 5, pp. 509-523, Jul. 2005. DOI: 10.1016/j.tate.2005.03.006 

  28. M. Koehler, and P. Mishra, “What i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Vol. 9, No. 1, pp. 60-70, Mar 2009. DOI: 10.4135/9781483346397.n318 

  29. J. T. Abbitt, “Measur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 review of current methods and instrument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Vol. 43, No. 4, pp. 281-300, Feb. 2011. DOI: 10.1080/15391523.2011.10782573 

  30. Khsung, and YdCho, “A Case Study on Social Studies Teacher's Development Process of TPACK,” Social studies education, Vol. 51, No. 2, pp. 41-60, Jun. 2012. 

  31. HmRim, and IsChoi,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designing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ASSURE model to mathematics teacher’s TPACK and teaching efficacy,”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ol. 22, No. 2, pp. 179-202, May 2012. 

  32. DhLee, and WhWhang, “Analysis of Teaching Practices of Mathematics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TPACK,”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Vol. 21, No. 4, pp. 303-326, Dec. 2018. 

  33. J. Harris, N. Grandgenett, and M. Hofer, M, "Testing a TPACK-based technology integration assessment rubric," In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pp. 3833-3840).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 (AACE), Mar. 2010. 

  34. Swkim & yjlee, "Development of Programming-based TPACK Education Program through Design-based Research," The Proceeding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23, No. 2, pp. 3-4, Aug. 2019.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