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캡스톤 디자인 간호연구 수업의 팀워크역량과 팀활동 경험
Teamwork Competency and Team Activity Experiences in Capstone Design Nursing Research Cours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 2020년, pp.705 - 716  

민혜영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김지영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간호연구 수업의 팀워크역량 효과와 팀활동 경험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혼합한 통합연구(Triangulation)이다. 연구대상자는 D대학교 캡스톤 디자인 간호연구를 수강한 간호대학생 99명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수업 전, 후의 팀워크역량을 비교하였으며, 팀별 성찰일지의 서술형 자료를 통해 캡스톤 디자인 간호연구 수업에서의 팀활동 경험을 질적내용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제수행역량이 수업 후 유의하게 높아 졌으며(t=-2.166 p=.033), 과제수행역량 중 목표실행능력이 수업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2.224, p=.028). 대인관계역량 중 리더십이 수업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2.085, p=.040). 팀활동 경험 내용은 '자원관리의 어려움', '개인의 노력과 역량 발휘의 중요성 인식', '효과적인 역할 분배를 위한 노력',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깨달음', '임상실무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함'의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캡스톤 디자인 간호연구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팀워크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개인의 노력과 역량 발휘, 효과적인 역할 분배와 의사소통을 통해 임상실무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팀활동 경험을 제공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팀워크역량 강화를 통해 간호연구역량 향상을 도모하는 캡스톤 디자인 간호연구 수업에 활용해야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riangulation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team competency effect of a capstone design nursing research course, and to appraise the content of team activity experiences. Subjects were 99 nursing students who were educated in the capstone design nursing research at D university. 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먼저,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졌으므로, 대조군 없이 단일집단에서 팀워크역량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대상자 수 산정 시 학습자 중심 수업의 연구설계에 따른 메타분석 연구[20]에서의 효과크기를 기준으로 산정하여, 효과를 확인하기에 적합한 대상자 수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통제집단 사전사후설계와 같이 보다 강력한 연구설계를 통해 팀워크역량의 효과를 확인해야할 것이다.
  • 캡스톤 디자인은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차원을 넘어 이를 통합하고 실천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방법이다. 본 연구는 간호연구에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하여, 팀워크역량, 팀활동 경험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팀워크역량을 파악하는 양적연구와 팀활동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연구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연구결과를 더욱 풍부하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한 간호연구 수업의 팀워크역량과 학습경험 내용을 분석하고자 단일군 사전 사후 설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를 이용한 유사실험설계의 양적연구와 질적내용분석의 질적연구를 혼합한 통합연구(Triangulation) 설계이다.
  •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간호연구 수업의 팀워크역량 효과와 팀활동 경험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수업 전ㆍ후의 팀워크역량을 비교한 결과, 과제수행역량이 수업 후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과제수행역량, 목표실행능력, 리더십이 수업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 이에 본 연구 목적은 간호연구 수업에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하여 팀기반 학습을 통한 팀워크역량 효과와 팀 활동 경험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결과를 제공하고자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혼합한 통합연구를 적용하였으며, 팀워크역량 강화를 통해 간호연구역량 향상을 도모하는 캡스톤 디자인 간호연구 수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연구에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하여, 팀워크역량, 팀활동 경험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팀워크역량을 파악하는 양적연구와 팀활동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연구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연구결과를 더욱 풍부하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연구를 수행한다’라는 프로그램 학습성과와 연계하고, 구체적인 수행준거로 ‘임상 현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연구 개념을 이해하고 간호연구를 기획한다’로 설정하였다. 상, 중, 하의 수행수준을 설정하고, 학생의 80%가 중급이상의 수행수준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또한 팀활동 후에는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운영 시 제출해야 하는 팀별 주간보고서, 회의록 외에 팀별 성찰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성찰일지를 통해 팀활동에서 수행한 것, 중요하게 생각되었던 것, 좀 더 알아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던 것 등을 자유롭게 팀별로 성찰하고 기술하도록 한 후, 다음 팀활동에 반영하여 팀워크역량 효과를 극대화 하고, 기존의 간호연구수업과 차별화하고자 하였다. 교수자는 팀별 성찰일지에 팀활동에서 참여한 담당을 조원 별로 구체적으로 작성하고, 모든 학생들이 팀활동에 참여한 후 충분히 토의하고 팀별 성찰에 관한 조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작성하도록 안내하였으며, 리더 등의 한 학생의 의견으로 작성되지 않도록 주의사항을 설명하였다.
  • 이에 본 연구 목적은 간호연구 수업에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하여 팀기반 학습을 통한 팀워크역량 효과와 팀 활동 경험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결과를 제공하고자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혼합한 통합연구를 적용하였으며, 팀워크역량 강화를 통해 간호연구역량 향상을 도모하는 캡스톤 디자인 간호연구 수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간호연구 수업의 팀워크역량 효과와 팀활동 경험 연구의 의의는 무엇인가? 본 연구 결과를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운영에 적극 반영하여 팀워크역량을 강화하는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연구는 캡스톤 디자인 간호교육에서의 팀워크역량과 팀 활동 경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뿐 아니라 향후 수업에서 고려해야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캡스톤 디자인은 어떤 교육과정인가? 최근 간호교육에서는 급변하는 임상실무현장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적 역량을 갖춘 학생을 배출하기 위해 다양한 학습방법이 시도되고 있다[1]. 기존의 전통적인 학습방법과 달리 캡스톤 디자인은 배운 지식을 종합하여 현장의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설계하는 교육과정을 의미하며[2], 연구논문, 시제품 등의 결과물을 제시하여 최종 평가하는 교육과정으로 개발되어 왔다[3].
캡스톤 디자인 수업이 간호학과, 치위생학과 등 의료보건 분야로 확대 진행되는 이유는? 캡스톤 디자인은 국내 대학에 도입된 이후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개설되어 교육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을 통합하여 결과물을 제시하고,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최종 평가하는 과정으로 개발되어 시행되었다[4].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서 학생들은 팀을 이루어 하나의 작품을 기획, 설계, 제작 등의 과정을 직접 수행하여 결과물을 산출하며, 산업현장 적응력, 실무능력을 높일 수 있는 창의적 종합설계 교육이라는 점에서 간호학과, 치위생학과 등 의료보건 분야로 확대 진행되고 있다[5,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S. E. Choi, E. A. Kim,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on application of learning portfolio in nursing management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6, No.1, pp.90-99, 2016. DOI: https://doi.org/10.4040/jkan.2016.46.1.90 

  2. S. K. Kim,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system for learning outcomes of capstone design cours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2, No.8, pp.3452-3457,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8.3452 

  3. T. S. Lee, Y. J. Jeon, D. W. Lee, B. C. Chang, "Present situation and student satisfaction of engineering capstone design course in engineering colleges of Korea",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12, No.2, pp.36-50, 2009. DOI: https://doi.org/10.18108/jeer.2009.12.2.36 

  4. J. H. Jung, "A study on the effect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based on capstone design in elementary",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Vol.25, No.4, pp.195-215, 2012. 

  5. E. H. Kim, Y. G. Ko, S. N. Kim, "Effects of a capstone nursing research cours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6, No.10, pp.473-492, 2016. DOI: https://doi.org/10.22251/jlcci.2016.16.10.473 

  6. K. J. Moon, "Capstone design trail in nursing education and its outcom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7, No.6, pp.194-202, 2017. DOI: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194 

  7. S. J. Kim, "Th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following a capstone design on oral health edu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7, No.8, pp.655-667, 2017. DOI: https://doi.org/10.14257/ajmahs.2017.08.78 

  8. I. Kim, "Developing a project-based capstone design course for English writing clas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7, No.15, pp.443-466, 2017. DOI: http://doi.org/10.22251/jlcci.2017.17.15.443 

  9. Y. H. Noh, "A study on the LIS capstone design curriculum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surve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6, No.3, pp.89-118, 2015. DOI: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89 

  10. Y. W. Sur, H. A. Si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global capstone design program for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Vol.17, No.2, pp. 185-196, 2016. 

  11. C. Doyle-Campbell, J. Ostroff, M. J. Mattison, S. Sun, "A comprehensive capstone course focusing on simulation in community, ambulatory, and acute care", Currents in Pharmacy Teaching and Learning, Vol.8, No.1, 69-76, 2016. DOI: https://doi.org/10.1016/j.cptl.2015.09.005 

  12. J. S. Kim, H. J. Choi, "Effects of capstone design program on creative leadership,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8, No.4, pp. 406-415, 2018. DOI: https://doi.org/10.5392/JKCA.2018.18.04.406 

  13. A. Thomas, "Assessment of nursing knowledge and wound documentation following a pressure ulcer educational program in a long-term care facility: A capstone project", Wound Practice and Research, Vol.20, No.3, pp. 142-158, 2012. 

  14. H. W. Lee, K. Park, S. H. Kim, J. Y. Kim,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program outcomes based on capstone design cours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13, No.6, pp.143-151, 2010. DOI: https://doi.org/10.18108/jeer.2010.13.6.143 

  15. Y. M. Jeon, "Effect analysis of learners' competence and class satisfaction by capstone desig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8, No.3, pp. 601-610, 2018. DOI: https://doi.org/10.5392/JKCA.2018.18.03.601 

  16. H. P. Whitley, E. Bell, M. Eng, D. G. Fuentes, K. L. Helms, D. Maki, "Practical team-based learning from planning to implementation",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Vol.79, No.10, pp. 1-12, 2015. DOI: https://doi.org/10.5688/ajpe7910149 

  17. J. I. Hwang, J. Ahn, "Teamwork and clinical error reporting among nurses in Korean hospitals", Asian Nursing Research, Vol.9, No.1, pp. 14-20, 2015. DOI: http://dx.doi.org/10.1016/j.anr.2014.09.002 

  18. S. Y. Kang, S. Y. Kang, H. K. Kwon, "Effects of nurses teamwork on job satisfaction at hospita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4, No.12, pp. 881-894, 2014. DOI: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881 

  19. R. Rezaee, N. Moadeb, N. Shokrpour, "Team-based learning: A new approach toward improving education", Acta Medica Iranica, Vol.54, No.10, pp. 679-683, 2016. 

  20. J. Lee, S. Yang, "The effects of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in nursing: A meta-analysis",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19, No.4, pp. 1049-1077, 2018. DOI: https://doi.org/10.15753/aje.2018.12.19.4.1049 

  21. Y. M. Choi,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llegiate teamwork competency test",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Vol.30, No.2, pp. 173-196, 2011. 

  22. M. Singh, K. R. Ramya, "Outcome based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3, No.2, pp. 87-91, 2011. 

  23. I. H. Jo, "Effects of role division, interaction, and shared mental model on individual learning and team performance in a university classroom",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26, No.3, pp. 1-20, 2010. DOI: https://doi.org/10.17232/kset.26.3.1 

  24. J. Kim, "A concept analysis of 'facilitator' in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4, No.1, pp. 39-29, 2018.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8.24.1.39 

  25. K. Baird, J. Gamble, M. Sidebotham, "Assessment of the quality and applicability of an e-portfolio capstone assessment item within a bachelor of midwifery program",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20, pp. 11-16, 2016. DOI: https://doi.org/10.1016/j.nepr.2016.06.007 

  26. M. N. Mofrad, M. Karami, "The effects of portfolio method on selfdirected learning (SDL) of nursing students", Biosciences Biotechnology Research Asia, Vol.10, No.2, pp. 817-821, 2013. DOI: http://dx.doi.org/10.13005/bbra/1201 

  27. E. Jones, "A professional practice portfolio for quality learning", Higher Education Quarterly, Vol.64, No.3, pp.292-312, 2010. DOI:http://dx.doi.org/10.1111/j.1468-2273.2010.00458.x 

  28. M. Bahreini, M. Moattari, S. Shahamat, S. Dobaradaran, M. Ravanipour, "Improvement of Iranian nurses' competence through professional portfolio: A quasi-experimental study", Nursing & Health Sciences, Vol.15, No.1, pp. 51-57, 2013. DOI: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2.00733.x 

  29. S. Elo, H. Kyngaa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2, No.1, pp. 107-115, 2008. DOI: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30. H. Y. Seo,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efficacy, teamwork competenc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8, No.1, pp. 421-438, 2018.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8.18.1.421 

  31. K. J. Kim, "Nurses' safety control according to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ceived teamwor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2, No.2, pp. 199-208, 2016.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2.199 

  32. J. Kim, "Experience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using same-age-tutoring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8, No.5, pp. 261-280, 2018. DOI: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5.261 

  33. S. E. Chung, S. Shin, "Learning experiences of essential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Focused on lab self-training",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Vol.18, No.1, pp. 105-113, 2017. DOI: https://doi.org/10.22284/qr.2017.18.1.105 

  34. S. E. Chung, S. H. Lee, "The experiences of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Vol.17, No.2, pp. 122-137, 2017. DOI: https://doi.org/10.22284/qr.2016.17.2.122 

  35. B. H. Jung, B. S. Lee, "Action research for building teamwork of nurses in an operating room",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19, No.2, pp. 1-15, 2015. 

  36. S. M. Shin, "A study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nursing research' curriculum applied outcome-based education",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5, No.1, pp.97-117, 2016. 

  37. N. Heo, H. J. Jeon, J. Kim, Y. H. Kang, "Learning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eam based high-fidelity simul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2, No.1, pp. 21-33, 2014. 

  38. S. Y. Kim, J. K. Kim, M. S. Jung, E. K. Kim, S. J. You, "A literature review of team effectiveness on hospital nursing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3, No.1, pp.18-31, 2017.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7.23.1.18 

  39. H. S. Lee, J. K. Kim,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6, No.4, pp.488-496, 2010.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4.488 

  40. B. J. Kalisch, K. H. Lee, "The impact of teamwork on missed nursing care", Nursing Outlook, Vol.58, No.5, pp.233-241, 2010. DOI: https://doi.org/10.1016/j.outlook.2010.06.004 

  41. B. J. Kalisch, H. Lee, E. Salas,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nursing teamwork survey", Nursing Research, Vol.59, No.1, pp.42-50, 2010. DOI: https://doi.org/10.1097/nnr.0b013e3181c3bd42 

  42. S. M. Peterson, S. Phillips, S. I. Bacon, Z. Machunda, "Teaching evidence-based practice at the BSW level: An effective capstone project",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7, No.3, pp. 509-524, 2011. DOI: https://doi.org/10.5175/jswe.2011.200900129 

  43. D. F. de Aguiar, K. G. Camacho, "The daily activity of the nurse in clinical research: An experience report", Revista-Escola De Enferma Gem Universidade De Sao Paulo, Vol.44, No.2 pp. 526-530, 2010. 

  44. S. Rye, Y. S. Kim, Y. H. Kim, "Factors influencing of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and evidence based practice readiness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2, No.5, pp. 448-460, 2016.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6.22.5.448 

  45. J. M. Park, C. S. Kim, J. H. Kim, J. Y. An, E. Y. Pyo, "Strategy for improving core nurs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1, No.3, pp. 426-439, 2015.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3.42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