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소엽에서 분리된 트리테르페노이드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효과
Anti-Amyloidogenic Effects of Triterpenoids Isolated from Perilla Leave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51 no.4, 2020년, pp.238 - 243  

여지윤 (단국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  이충현 (단국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  박소영 (단국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an annual plant primarily cultivated in China, Japan, and Korea,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inflammatory diseases, depression, and many anxiety-related disorders. Previously, we repor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n-hexane layer of P.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Th T(3µM)을 추가하고 30분 방치한 후 형광을 Emax precision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CA, USA)을 이용하여 excitation은 442 nm, emission은 485 nm에서 측정한다. DMSO만 처리한 베타-아밀로이드 그룹을 콘트롤그룹으로 사용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다. 다음으로, 이미 생성된 베타-아밀로이드를 해체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베타-아밀로이드(최종농도 20µM)만 37°C에서 24시간 방치하여 베타-아밀로이드가 응집하도록 한다.
  • 다음으로, 이미 생성된 베타-아밀로이드를 해체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베타-아밀로이드(최종농도 20µM)만 37°C에서 24시간 방치하여 베타-아밀로이드가 응집하도록 한다
  •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 효과가 뛰어난 자소엽 추출물의 디클로로 메탄층으로 부터 3개의 트리테르페노이드를 분리하였으며 ursolic acid, tormentic acid, corosolic acid로 구조 동정하였다. 이 3개의 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억제하였으며, 기응집된 베타-아밀로이드를 해체하는 효과도 보였다.

대상 데이터

  • frutescens var. acuta) 은 삼흥건재(Samhong medicinal herb market; Seoul, Korea) 에서 2019년에 구입하였으며, 약학대학 박소영 교수가 감정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고, 그 표본(2019-012-PF-DKU)은 단국대학교 약학대학생 약학 연구실에 보관하였다.
  • 베타-아밀로이드(1-42) (GL Biochem, Shanghai, China)은 DMSO에 1mg/mL의 농도로 녹여 보관하고, 시료도 DMSO에 녹여서 사용한다. 시료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베타-아밀로이드(최종농도 20µM)와 다양한 농도의 시료들을 함께 섞어 37°C 인큐베이더에 24시간 방치한다.

데이터처리

  • 통계의 유의성은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by Tukey post hoc text(SPSS version 17.0, Armonk, NY, USA)으로 확인하였으며 p<0.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판정하였다.

이론/모형

  • 또한, 화합물 1-3이 기응집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를 분해하는 효과가 있는지 Th T assay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Fig. 4).
  • 분리된 화합물 1-3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효과는 Th T assay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Fig.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ardy, J. A. and Higgins, G. A. (1992) Alzheimer's disease: the amyloid cascade hypothesis. Science 256: 184-185. 

  2. Lambert, M. P., Barlow, A. K., Chromy, B. A., Edwards, C., Freed, R., Iosatos, M., Morgan, T. E., Rozovsky, I., Trommer, B., Viola, K. L., Wals, P., Zhang, C., Finch, C. E., Krafft, G. A. and Klein, W. L. (1998) Diffusible, nonfribrillar ligands derived from Aβ1-42 are potent central nervous system neurotoxins. Proc. Natl. Acad. Sci. USA 95: 6448-6453. 

  3. Ward, R. V., Jennings, K. H., Jepras, R., Neville, W., Owen, D. E., Hawkins, J. and Howlett, D. R. (2000) Fraction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ligomeric, protofibrillar and fibrillar forms of beta-amyloid peptide. Biochemical. J. 348: 137-144. 

  4. 배기환 (2019) 천연약물도감 I·II, pp 141-142 (II). 교학사, 서울. 

  5. Zheng, J., Dong, Z. and Se, J. (1997) Modern stud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pp. 4354-4363. Xue Yuan Press, China. 

  6. Peng, Y., Ye, J. and Kong, J. (2005)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Perilla frutescens L.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J. Agric. Food Chem. 53: 8141-8147. 

  7. Seo, W. H. and Baek, H. H. (2009) Characteristic aromaactive compounds of Korean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on) leaf. J. Agric. Food Chem. 57: 11537-11542. 

  8. Kil, H. W., Rho, T. and Yoo, K. D. (2020) Phytochemical study of hot-water extract of Perillae Folium. Kor. J. Pharmacogn. 51: 55-64. 

  9. Kim, D.-J., Kim, M.-S., Kim, S., Hwang, K.-W. and Park, S.-Y. (2017) Anti­amyloidogenic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on beta­amyloid aggregation and disaggregation. J. Food Biochem. 41: e12393. 

  10. Lee, J.E., Kim, N., Yeo, J.Y., Seo, D.-G., Kim, S., Lee, J.-S., Hwang, K. W. and Park, S.-Y. (2019) Anti-Amyloidogenic effects of asarone derivatives from Perilla frutescens leaves against beta-amyloid agregation and nitric oxide production. Molecules 24: 4297. 

  11. Woo, K. W., Han, J. Y., Choi, S. U., Kim, K. H. and Lee, K. R. (2014) Triterpenes from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and their cytotoxic activity. Nat. Prod. Sci. 20: 71-75. 

  12. Seebacher, W., Simic, N., Weis, R., Saf, R. and Kunert, O. (2003) Spectral assignments and reference data. Magn. Reson. Chem. 41: 636-638. 

  13. Taniguchi, S., Imayoshi, Y., Kobayashi, E., Takamatsu, Y., Ito, H., Hatano, T., Sakagami, H., Tokuda, H., Nishino, H., Sugita, D., Shimura, S. and Yoshida, T. (2002) Production of bioactive triterpenes by Eriobotrya japonica Calli. Phytochemistry 59: 315-323. 

  14. Wen, X., Sun, H., Liu, J., Wu, G., Zhang, L., Wu, X. and Ni, P. (2005) Pentacyclic triterpenes. Part 1: the first examples of naturally occurring pentacyclic triterpenes as a new class of inhibitors of glycogen phosphorylases. Bioorg. Med. Chem. Lett. 15: 4944-4948. 

  15. Lee, J.-E., Kim, M.-S. and Park, S.-Y. (2017) Effect of natural antioxidants on the aggregation and disaggregation of betaamyloid. Trop. J. Pharmaceut. Res. 11: 2629-2635. 

  16. Mattson, M. P. (2004) Pathways towards and away from Alzheimer's disease. Nature 430: 631-639. 

  17. Butterfield, D. A., Drake, J., Pocernich, C. and Castegna, A. (2001) Evidence of oxidative damage in Alzheimer's disease brain: central role for amyloid beta-peptide. Trends Mol. Med. 7: 548-554. 

  18. Jimenez-Aliaga, K., Bermejo-Bescos, P., Benedi, J. and Martin-Aragon, S. (2011) Quercetin and rutin exhibit antiamyloidogenic and fibril-disaggregating effects in vitro an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in APPswe cells. Life Sci. 89: 939-945. 

  19. Sharoar, MG., Thapa, A., Shahnawaz, M., Ramasamy, VS., Woo, ER., Shin, SY. and Park, I-S. (2012) Kaempferol-3-O-rhamnoside abrogates amyloid beta toxicity by modulating monomers and remodeling oligomers and fibrils to non-toxic aggregates. J. Biomed. Sci. 19: 104. 

  20. Ono, K., Hasegawa, K., Naiki, H. and Yamada, M. (2004) Curcumin has potent anti-amyloidogenic effects for Alzheimer's beta-amyloid fibrils in vitro. J. Neurosci. Res. 75: 742-750. 

  21. Yamada, M., Ono, K., Hamaguchi, T. and Noguchi-Shinohara, M. (2015) Natural phenolic compounds as therapeutic and preventive agents for cerebral amyloidosis. Adv. Exp. Med. Biol. 863: 79-94. 

  22. Murakami, K., Yoshioka, T., Horii, S., Hanaki, M., Midorikawa, S., Taniwaki, S., Gunji, H., Akagi, K.-I., Kawase, T., Hirosed, K. and Irie, K. (2018) Role of the carboxy groups of triterpenoids in their inhibition of the nucleation of amyloid β42 required for forming toxic oligomers. Chem. Commmun. 54: 6272-6275. 

  23. Murakami, K. and Irie, K. (2019) Three structural features of functional food components and herbal medicine with amyloid β42 anti-aggregation properties. Molecules 24: 2125. 

  24. Liang, W., Zhao, X., Feng, J., Song, F. and Pan, Y. (2016) Ursolic acid attenuates beta-amyloid-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Arq. Neuropsiquiatr. 74: 482-488. 

  25. Cui, W., Sun, C., Ma, Y., Wang, S., Wang, X. and Zhang, Y. (2020) Neuroprotective effect of tormentic acid against memory impairment and neuro-inflammation in an Alzheimer's disease mouse model. Mol. Med. Rep. 22: 739-75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