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팔공산 산림소유역의 유출 특성 변화
Changes in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Forested Watershed of Mt. Palgong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9 no.4, 2020년, pp.429 - 437  

정유경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기환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최형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육성복원연구과) ,  이헌호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림 소유역에서 강우량에 대한 계류유출량의 장기적인 변화추이를 정량화하고, 임목의 생장이 산림소유역의 유출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했다. 연도별로 강우량과 유출량은 비례관계를 보였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유출량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강우량과 유출량은 7월과 8월에 가장 높았으며, 유출률은 8월과 9월에 높은 값을 보여 강우량과 유출량, 유출률 변화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 월별 변동계수(CV)는 강우량에 비해 유출량이 더 크게 나타났고, 강우량과 유출량 간의 편차는 점차 증가하였다. 강우량에 대한 총 유출량과 직접 유출량의 변화는 2011년~2017년의 추세선의 기울기가 더 낮아졌고, 기저유출량의 기울기는 증가하였다. 산림토양이 발달하면서 토양층의 수분보유력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보여지며, 기저유출량의 증가는 팔공산 산림소유역의 유출수량 증가와 함께 지하수위 상승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감수곡선의 기울기는 2003년~2010년에 비해 2011년~2017년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출량의 감소가 완화되고 유출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팔공산 산림소유역은 임목의 생장에 따라 지표류의 유출이 감소하고 기저유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산림의 수원함양기능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quantified the long-term change in discharge against precipitation in a forested watershed and investigated how the growth of forest trees influences these changes. We found a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discharge for each year, and discharge decreased gradua...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시하였다. 또한, 산림소유역에서 임목생장함에 따라 소유역의 강우-유출과 어떠한 연관을 가지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산림 소유역에서 강우량에 대한 계류 유출의 장기적인 변화추이를 정량화하고, 감수계수의 기울기에 따른 산림소유역의 유출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또한, 산림소유역에서 임목생장함에 따라 소유역의 강우-유출과 어떠한 연관을 가지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변동계수는 표본의 표준편차를 평균값으로 나눈 값으로 산포도를 평균에 대비해 나타내는 상대적 개념의 통계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량과 유출량 간 변동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변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관측기간동안의 강우에 대한 유출특성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직접유출량과 기저유출량을 분리하였다. 장기간의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있어 수문곡선분리의 간편성을 고려해 수평직선 분리법을 이용하였으며, 단기수문곡선의 유량분리는 상승기점으로부터 수평선을 그어 감수곡선과 만나는 교점을 구하여 직접유출량과 기저유출량을 분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팔공산 산림소유역의 장기 유출 특성을 파악하고, 임목의 생장이 유출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년 강우량과 유출량의 변화는 비례관계를 보이며 증감하고 있었으며, 유출량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i, G., Oswakd, C.J., Spence, C., Gammeraat, E.L.H., McGuire, K.J., Mexiner, T. and Reaney, S.M. 2013. Towards a unified threshold based hydrological theory: Necessary components and recurring challenges. Hydrological Processes 27(2): 313-318. 

  2. Alvarenga, L.A., Mello, C.R., Colombo, A., Cuart, L.A. and Bowling, L.C. 2016. Assessment of land cover change on the hydrology of a Brazilian headwater watershed using the Distributed Hydrology Soil Vegetation Model. Catena 143: 7-17. 

  3. Andre, D., Jackson, A.A., Adriano, D.C., Patricia, P. and Franciani, R.S. 2013. Water retention and availability in soils of the state of Santa catarina-Brazil: Effect of textural classes, soil classes and lithology. Revista Brasileira de Ciencia do Solo 37(6): 1535-1548. 

  4. Antoine, L.B. and David, J.S. 2006. Tree ring reconstructions of streamflow in the Churchill river basin, Northern Saskatchewan. Canadi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1(4): 249-262. 

  5. Casermeiro, M.A., Molina, J.A., Caranaca, M.T., Costa, J.H., Massanet, M.I.H. and Moreno, P.S. 2004. Influence of scrubs on runoff and sediment loss in soils of Mediterranean climate. Catena 57(1): 91-107. 

  6. Chung, I., Lee, J., Kim, J., Na, H. and Kim, N. 2011. Development of Threshold Runoff Simulation Method for Runoff Analysis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0(10): 1347-1355. 

  7. Coasta, F.R.C., Guillanmet, J.L., Lima, A. and Pereira, O. 2009. Gradients within gradients: The mesoscale distribution patterns of palms in a central Amazonian forest.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20(1): 69-78. 

  8. Drucker, D.P., Costa, F.R.C. and Magnusson, W.E. 2008. How wide is the riparian zone of small streams in tropical forest? A test with terrestrial herbs. Journal of Tropical Ecology 24(1): 65-74. 

  9. Eunice, M.A., Rafael, D.N.R., Helba, A.Q.P., Jose, B.B. and Jaques, C.R.F. 2017. Hydrological responses of a Watershed to vegetation changes in a tropical semiarid region. Revista Caatinga, Mossori 31(1): 161-170. 

  10. Farrick, K.K. and Brian, A.B. 2014. Soil water storage, rainfall and runoff relationships in a tropical dry forest catchment. Water Resources Research 50(12): 9236-9250. 

  11. Grace, J.M., Skaggs, R.M. and Cassel, D.K. 2006. Soil physical changes associated with forest harvesting operations on an organic soil.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70(2): 503-509. 

  12. Green, R.T., Ahuja, L.R. and Benjamin, J.G. 2003. Advances and challenges in predicting agricultural management effects on soil hydraulic properties. Geoderma 116(1): 3-27. 

  13. Halliwell, D.J., Barlow, K.W. and Nash, D.M. 2001. A review of the effects of wastewater sodium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irrigation systems. Australian Journal Soil Research 39(6): 1259-1267. 

  14. Hilker, T., Lyapustin, A.I., Tucker, C.J., Hall, F.G., Myneni, R.B., Wang, Y. and Sellers, P.J. 2014. Vegetation dynamics and rainfall sensitivity of the Amaz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1(45): 16041-16046. 

  15. Jenicek, M., Seibert, J., Zappa, M., Staudinger, M. and Jonas, T. 2015. Importance of maximum snow accumulation for summer low flows in humid catchment.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2: 7023-7056. 

  16. Jiao, Y., Lei, H., Yang, D., Huang, M., Liu, D. and Yuan, X. 2017. Impact of vegetation dynamics on hydrological processes in a semi-arid basin by using a land surfacehydrology coupled model. Journal of Hydrology 551: 116-131. 

  17. Jost, G., Schume, H., Hager, H., Markart, G. and Kohl, B. 2012. A hillslope scale comparison of tree species influence on soil moisture dynamics and runoff processes during intense rainfall. Journal of Hydrology 420(2): 112-124. 

  18. K-water. 2019. Water for the Future. Proceeding of the world water day 2019, Academic Press, Seoul pp. 457. 

  19. Lee, B., Choi, J., Choi, Y. and Bae, D. 2012. Validation of real-time river flow forecast using AWS rainfall dat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45(6): 607-616. 

  20. Liu, J., Gao, G., Wang, S., Jiao, L., Wu, X. and Fu, B. 2018. The effects of vegetation on runoff and soil loss: Multidimensional structure analysis and scale characteristics. Journal of Geographical Science 28(1): 59-78. 

  21. Liu, R., Wang, J., Shi, J., Chen, Y., Sun, C. and Shen, Z. 2014. Runoff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loss mechanism from plain farmland under simulated rainfall condition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68-(15): 1069-1077. 

  22. Loaiciga, H., Haston, L. and Michaelsen, J. 1993. Dendrohydrology and long term hydrologic phenomena. Reviews of Geophysics 31(2): 151-171. 

  23. Jenicek, M., Seibert, J., Zappa, M., Staudinger, M. and Jonas, T. 2015. Importance of maximum snow accumulation for summer low flows in humid catchment.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2: 7023-7056. 

  24. Magesan, G.N., Williamson, J.C., Sparling, G.P., Schipper, L.A. and Lloyd-Jones, A.R. 1999. Hydraulic conductivity in soils irrigated with wastewaters of differing strengths: field and laboratory studies. Australian Journal of Soil Research 37(2): 391-402. 

  25. Mamedov, A.I. 2002. Irrigation water quality, rain energy and soil texture effects on soil hydraulic properties and erosion. pp. 553-563. In: Rubio, J.L. Morgans, P.R.C. Asins, S. and Andred, V. Man and Soil at the Third Millennium. Geoforma Ediciones, Logrono, Spain. 

  26. Munoz, R.C., Reid, N., Tighe, M., Briggs, S.N. and Wilson, B. 2011. Soil hydrological and erosional responses in patches and inter-patches in vegetation states in semiarid Australia. Geoderma 160(3): 524-534. 

  27. Naiman, R.J., Henri, D. and Decamps, H. 1997. The ecology of interfaces: Riparian zone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8(1): 621-658. 

  28.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1. The research of hydrologic cycle on Forest watershed. pp. 393. 

  29. Penna, D., Tromp-van, M., Gobbi, A., Borga, M. and Fontana, G.D. 2011. The influence of soil moisture on threshold runoff generation process in an alpine headwater catchment.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 15(1): 689-702. 

  30. Shainberg, I., Levy, G.J. and Mamedov, A.I. 2002. Prewetting rate and sodicity effects on soil permeability and surface sealing. Acta Horticulture 573: 21-28. 

  31. Somorowaska, U. 2004. Inferring changes in dynamic groundwater storage from recession curve analysis of discharge data. Miscellanea Geographic 11(1): 161-168 

  32. Stoelzle, K., Stahl, K. and Weiler, M. 2013. Are streamflow recession characteristics really characteristic?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 17(1): 817-818. 

  33. Swank, W.T. Swift, L.W. and Douglass, J.E. 1988. Streamflow Changes Associated With Forest Cutting, Species Conversion, and Natural Disturbances. pp. 297-312. In: Forest Hydrology and Ecology at Coweeta. Ecological Studies, Swank, W.T. Crossley, D.A.(Ed.) Springer-Verlag,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