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2, 2015년, pp.294 - 299
신창섭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학과) , 연평식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학과) , 김영규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학과) , 엄재옥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학과) , 임영란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학과) , 윤수복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학과) , 박석희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학과) , 김인옥 (협동조합 숲이좋아) , 이상희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학과)
본 연구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와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A시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38명과 C도의 정신보건종사자 24명을 대상으로 1박2일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실시되었으며, 사전-사후의 설계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정신보건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기분상태 요소인 긴장-불안, 우울, 분노, 곤란, 피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활기는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므로 산림의 치유기능이 활용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 뿐만이 아니라 소진예방프로그램으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 forest healing program on the level of job stress and the profile of mood states (POMS). 38 public servants who were in charge of social welfare in A city as well as 24 metal health care workers in C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forest heali...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산림치유프로그램의 정신요법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 사회복지전담공무원 및 정신보건종사자의 직무스트레 스와 기분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의 특성은 산림의 다양한 요소를 이용해 심신의 건강을 증진시켜 자신에 대한 긍정적 수용과 자아탐색을 위한 몰입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삼림욕, 숲속산책, 명상, 숲치유 놀이 등 산림치유 6대 요법을 적용하였다. 정신요 법으로는 이름 짓기, 자연물로 나 소개하기, 타인이 보는 나 소개하기, 버리고 싶은 것을 찰흙으로 표현하기, 숲속 명상, 아로마 오일 마사지, 운동요법으로는 숲 속 맨발걷기, 밤 숲 산책하기, 숲 자연놀이 활동, 물요법으 로는 계곡의 음이온 느끼기, 기후요법으로는 숲 속 풍욕, 식물요법으로는 나무향기 맡기, 경관 바라보기, 식이요법으로는 자연재료를 활용한 간식과 식사로 구성되었다. | |
사회복지전담공무원 및 정신보건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기분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의 특성은? | 사회복지전담공무원 및 정신보건종사자의 직무스트레 스와 기분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의 특성은 산림의 다양한 요소를 이용해 심신의 건강을 증진시켜 자신에 대한 긍정적 수용과 자아탐색을 위한 몰입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삼림욕, 숲속산책, 명상, 숲치유 놀이 등 산림치유 6대 요법을 적용하였다. 정신요 법으로는 이름 짓기, 자연물로 나 소개하기, 타인이 보는 나 소개하기, 버리고 싶은 것을 찰흙으로 표현하기, 숲속 명상, 아로마 오일 마사지, 운동요법으로는 숲 속 맨발걷기, 밤 숲 산책하기, 숲 자연놀이 활동, 물요법으 로는 계곡의 음이온 느끼기, 기후요법으로는 숲 속 풍욕, 식물요법으로는 나무향기 맡기, 경관 바라보기, 식이요법으로는 자연재료를 활용한 간식과 식사로 구성되었다. | |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정신보건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산림치유프로그램을 실천하기 위해선 어떤 준비가 필요한가? | 그러므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의 해소뿐만이 아니라 소진예방프로그램으로서도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서는 이들이 숲에 더 자주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인식의 전환과 더불어 법적·제도적으로도 이들에 대한 배려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정신보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기분상태를 개선시킨다는 연구결과를 얻었지만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므로 보다 넒은 지역을 포괄하는 추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Bae, J.M.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o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elfare Officials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police and fire offici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Chang, S.J. 2004. Standardization of job stress measurement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pp. 193.
Jung, Y.S. 2007. A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Social Workers and Public Health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Kaplan, R. and Kaplan, S. 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Kwon, G.Y., Seo, J.H., and Hong, J.Y. 2003. The Study on the Level and Results of Job Stress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Mental Health & Social Work 16: 29-65.
Lee, H.K. 1997. Psychology of happiness. Beommunsa, Seoul, Korea. pp. 358.
Lee, Y.S.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Lim, H.J., Gang, M.H., and Oh, K.O. 2013. Nursing Activity,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Community Mental Health Facilitie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2): 507-513.
McNair, D.M. and Lorr, M. 1964. An analysis of mood in neurotic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9: 620-627.
Paine, W.S. 1982. Job stress and burnout: research, theory and intervention perspectives. Sage Publications. New Delhi, India. pp. 288.
Park, G.H. 2014.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Job Stress on the Intention to Introduction of EAP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Park, M.W., Cho, K.Y., and Baek, C.H. 2013.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Post-traumatic stress on Depressive Symptom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5(3): 1-29.
Shin, W.S. 2007.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forest. Korea Forest Service.
Shin, W.S., Kim, J.J., Kim, W.J., Yoo, R.H., and Lee, B.D. 2003. The Influence of Urban Forests on Job Satisfaction and Stres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2(1): 92-99.
Yoo, J.M. 2005. A Study on the Occupational Stress of Social Workers in Mental Health Service Sect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