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실험기구 교육을 위한 TEP 활동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EP Activity for the Education of Experimental Apparatus at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4 no.6, 2020년, pp.379 - 388  

전소연 (경북대학교) ,  박종석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실험기구 교육을 위한 TEP 활동(Trigger interest; 흥미 유발-Explore experimental apparatus; 실험기구 탐색-Practice experimental apparatus; 실천적 사용)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과학을 처음 접하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제시되어있는 실험기구 중 4가지(비커, 전자저울, 유리막대, 약숟가락)를 선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TEP 활동을 통해 단편적인 사용법이나 주의사항만을 알고 있던 학생들이 실험기구의 생김새에 따른 특징과 연관 지어 실험기구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실제로 사용해보는 활동을 통해 실험기구 사용 능력이 향상되었다. 평소 과학 수업에서의 모습을 관찰한 결과 실험기구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적절하게 사용하려는 학생들이 많아졌으며 반복적인 활동을 통해 그 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에서 처음 배우게 되는 실험기구에 대한 지식적 이해와 사용 능력은 초, 중, 고등학교를 지나 실험이 주로 이루어지게 되는 대학교까지 영향을 미친다. 잘못된 용도와 사용법으로 실험을 하게 된다면 실험 결과의 신뢰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확률 또한 높아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실험기구에 대한 교육을 초등 과학 교육과정에서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실제 교육을 해야 하는 교사들을 위해 다양한 교육 자료나 교수법이 개발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he TEP activity for learning experimental apparatus at elementary school and to test the effects of the TEP activity. This study consists of two step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experimental apparatus education develo...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간을 할애하여 평가를 진행한다면 학생들에게 ‘시험’이라는 인식을 주어 인위적인 행동을 보여줄 것이라 예상하였기때문이었다. TEP 활동의 목적은 일상적인 과학 수업에서학생들의 실험기구에 대한 인식과 사용 능력에 대한 긍정적 변화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평소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모습을 교사가 관찰하는 것으로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4가지 실험기구 중 사용 절차가 가장복잡한 전자저울을 활용한 활동과 4가지 실험기구를 모두 사용하는 활동을 선정하여 관찰하였다.
  • TEP 활동이란 흥미를 이끌어 내는 T단계(Trigger interest), 실험기구에 대해 알아보는 E단계(Explore experimental apparatus), 실험기구를 실제로 사용해봄으로써 사용 능력을 익히는 P단계(Practice experimental apparatus) 3단계로 구성되어있으며 지식적 이해와 더불어 실험기구를 실제 상황에서 사용하며 사용 능력을 체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학습활동이다. 개발된 활동은 예비적용 단계를 거쳐 수업 교사의 활동 진행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 및 학생들의반응, 결과가 기록된 활동지를 참고하여 수정·보완되었으며 이렇게 개발된 TEP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실험기구명칭, 용도, 사용법 및 주의사항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초등학생을 위한 실험기구 학습 활동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의 실험기구에 대한 지식적 이해와사용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았다. D광역시에소재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실험기구 사용 능력에 대한 TEP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실제 실험 활동을 직접 관찰하였다.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사용 능력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기위해 특정한 평가를 별도로 실시하지 않았다.
  • 1). 용도, 사용법, 주의사항을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학습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해당 질문들을순차적으로 제시하였다.28, 29

가설 설정

  • 첫째, 실험기구 사용 능력 평가 기준 개발이다.20, 21 이를 통해 실험에 필요한 실험기구를 탐구자가 바르게 사용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으며, 나아가 실험기구교육이 지식적 이해뿐만 아니라 실제로 사용하며 사용능력을 체득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Science-A Process Approach; Xenos Corp: Washington DC, 1967. 

  2. Derek, 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4, 36, 2534. 

  3. Mavis, H.; Bev, F.; Mike, F.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1, 27, 215. 

  4. Ministry of Educati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Ministry of Education Notification No. 2015-74. 

  5. Lee, S.; Kim, Y. The Korea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018, 30, 1622. 

  6. Jeong, J.; Kong, Y.; Kim, S. The Research of Science Education 2006, 29, 61. 

  7. Kwon, C.; Choi, E.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2009, 2, 13. 

  8. Lee, M. R. Recognition of safe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laboratory.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tion, 2002. 

  9. Kim, M. Y. A survey of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experiment safety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experiment clas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tion, 2009. 

  10. Yoon, H.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4, 23, 74. 

  11. Kakihara, S.; Takahara, Y. University of Okayama Schools of Education Research 2006, 133, 85. 

  12. Yang, J.; Park, 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2000, 1, 105. 

  13. Choi, C.; Lee, 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6, 60, 267. 

  14. Lee, S.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2006, 9, 75. 

  15. Miyata, 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1, 51, 1. 

  16. Kim, I.; Lee, I. New Physics: Sae Mulli 2016, 66, 340. 

  17. Park, J.; Kim, S.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996, 15, 263. 

  18. Jang, S.; Noh, 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5, 24, 435. 

  19. Kim, S.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013, 24, 129. 

  20. Choi, H.; Paik, S.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999, 18, 65. 

  21. Baek, C. 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standard of using common science laboratory tools at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5. 

  22. Kim, Y.; Lee, O.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4, 29, 207. 

  23. Yeo, S.; Lee, B.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4, 23, 44. 

  24. Lee, S.; Choi, H.; Lim, J.; Shin, S.; Yang, I.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1, 35, 80. 

  25. Park, J.; Moon, J.; Jo, U.; Hwang, S.; Lee, Y.; Sim, J.; Seong, J.; Kim, Y.; Park, J.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989, 9, 29. 

  26. Ko, M. A. Survey on capability for chemical apparatus handling of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tion, 2006. 

  27. Chen, S. Y. The study on the co-relation between Knowledge of experimental tools and the attitude towards science for middle school student. Master's Thesis, Sook-Myeong Woman University, 2008. 

  28. Sasajima, Y. Japan Society for Science Education 1981, 5, 29. 

  29. Okumura, T. Japan Society of Educational Information 1991, 7, 49. 

  30. Yamazaki, S. Society of Japan Science Teaching 2013, 63, 290. 

  31. Ministry of Education. 3rd and 4th grade Science Teachers Guidebook; Visang Education Co.: Seoul, 2018. 

  32. Ministry of Education. 5th and 6th grade Science Teachers Guidebook; Visang Education Co.: Seoul, 2019. 

  33. Jeong, E.; Hong, 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4, 23, 287. 

  34. Park, J.; Yoon, S.; Won, J.; Paik, 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7, 26, 161. 

  35. Chung, J.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1998, 2, 80. 

  36. Seels, B.; Richey, R.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 of the fiel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Washington DC, 1994. 

  37. Stolovitch, H.; Keeps, E. Handbook of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Jossey-Bass: San Francisco, 1992. 

  38. Endo, Y.; Taguchi, M. Japan Society for Science Education 2016, 31, 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