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팽이, 잎새버섯, 꽃송이버섯 가공방법별 생리활성 및 영양성분 변화
Changes of biological activity and nutritional content by processing methods of Flammulina velutipes, Grifola frondosa, and Sparassis crispa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8 no.4, 2020년, pp.403 - 409  

안기홍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한재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김옥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조재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버섯의 건조 및 로스팅 처리의 가공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성분과 영양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 성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DPPH 라디컬 소거능잎새버섯열풍건조 시료에서 가장 높았으며, 팽이와 꽃송이 버섯은 가공방법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꽃송이버섯의 로스팅 시료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팽이와 잎새버섯은 유의적 차이가 없거나 생시료에 비하여 낮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팽이와 꽃송이버섯 로스팅 시료가 생버섯(fresh) 시료에 비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분석결과, 잎새버섯은 로스팅 처리로 인하여 아미노산 성분들 중 단맛을 담당하는 세린(Ser), 알라닌(Ala)성분들이 증가함과 동시에 쓴맛을 나타내는 류신(Leu), 이소류신(Ile) 성분들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팽이와 꽃송이버섯은 필수 아미노산 성분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아미노산 성분 함량이 로스팅 처리로 인하여 생시료에 비하여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로스팅 처리가 버섯내의 영양성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biological activity and nutritional content of Flammulina velutipes, Grifola frondosa, and Sparassis crispa extracts after roasting treatment. Regarding biological activitie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the ex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버섯의 1차 가공방법인 건조 및 로스팅처리를 통하여 생산된 건조버섯 분말을 이용하여 커피, 차, 조미료, 고형 육수첨가물 등의 버섯 가공품 개발을 위하여 식용버섯의 가공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성분과 영양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팽이(Flammulina velutipes),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및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 의자실체는 각 버섯 재배 농가들에 문의하여 직접 구하였으며, 일부는 충북 음성군에 위치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의 버섯종합재배동에서 발생시킨 자실체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버섯의 건조 및 로스팅 처리의 가공 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성분과 영양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성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잎새버섯의 열풍건조 시료에서 가장 높았으며, 팽이와 꽃송이버섯은 가공방법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 GH, Han JG, Cho JH. 2020. Changes in biological activities and nutritional contents of edible mushrooms following roasting treatment. J Mushrooms 18: 63-71. 

  2. Barros L et al. 2007. Effects of fruiting body maturity stage on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arius sp. mushrooms. J Agric Food Chem. 55: 4781-4788. 

  3. Beluhan S, Ranogajec A. 2011. Chemical composition and non-volatile components of Croatian wild edible mushrooms. Food Chem 124: 1076-1082. 

  4. Benzie IF, Strain JJ. 1999.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 direct measure of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biological fluids and modified version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otal antioxidant power and ascorbic acid concentration. Methods Enzymol 299: 15-27. 

  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1-1200. 

  6. Chang HY. 2008. SWOT analysis for direction of Korean mushroom industry. J Mushrooms 6: 63-67. 

  7. Chang ST, Miles PG. 1989. Edible mushrooms and their cultivation. CRC Press, Inc. USA. 3-28. 

  8. Cho JH et al. 2014. Comparative analysis of anti-oxidant effects and polyphenol contents of the fruiting bodies in oyster mushrooms. J Mushrooms 12: 311-315. 

  9. Choi SJ et al.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edible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87-1096. 

  10. Do JH et al. 1989. Changes in color intensity and components during browning reaction of white ginseng water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480-485. 

  11.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test. Biometrics 11: 1-5. 

  12.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3.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14. Jo WS et al. 2009. 2008 The nation opinion research to mushroom industry. J. Mushrooms 7: 37-43. 

  15. Kim GW et al. 201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ngmaksan added with Liriope platyphylla roasted for different times. Korean J Food Preserv 25: 62-70. 

  16. Kim SB et al. 1990.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roasted-barley extracts according to process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48-752. 

  17. Kwon HN, Choi CB. 2018. Comparison of free amino acids, anserine, and carnosine contents of beef according to the country of origin and marbling sco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7: 357-362. 

  18. Lee DS, Kim KH, Yook HS. 2016.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Sparassis crispa depending on extraction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1617-1622. 

  19. Lee YS, Seo GS. 2005. Problems and improvement scheme for mushroom industry. J Mushroom Sci Prod. 3: 159-171. 

  20. Manzi P, Aguzzi A, Pizzoferrato L. 2001. Nutritional value of mushrooms widely consumed in Italy. Food Chem 73: 321-325. 

  21. Mau JL, Lin HC, Chen CC. 2001. Non-volatile components of several medicinal mushrooms. Food Res Int 34: 521-526. 

  22. Noh JG et al. 2009. A study of useful wild mushroom by segregation and identification native in middle area. J. Mushrooms 7: 49-52. 

  23.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Diet 44: 307-315. 

  24. Park MH et al. 1999. Studies on flavor components and organoleptic properties in roasted red ginseng marc. J Ginseng Res 23: 211-216. 

  25. Park YA et al. 2017. Comparative analysis of amino acid content of Lentinula edodes, a new variety of shiitake mushsroom, in 'Poongnyunko'. J Mushrooms 15: 31-37. 

  26. Qi Y et al. 2013.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55-662. 

  27. Redgwell RJ, Trovato V, Curti D. 2003. Cocoa bean carbohydrates: roasting-induced changes and polymer interactions. Food Chem 80: 511-516. 

  28. Saha AK et al. 2013. Screening of six ayurvedic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y. J Pharmacogn Phytochem 2: 181-188. 

  29. Song CH et al. 2012.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by stepwise steaming process. Korean J. Med Crop Sci. 20: 238-244. 

  30. Strydom DJ, Cohen SA. 1993. Sensitive analysis of cystine/cysteine using 6-aninoquinoquinoly-N-hydroxysuccinimidy carbamate (AQC) derivatives. Techniques in Protein Chemistry IV, Academic Press: 299-306. 

  31. Yang JH, Lin HC, Mau JL. 2001. Non-volatile taste components of several commercial mushrooms. Food Chem 72: 465-4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