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밤의 품종에 따른 Gallic acid 함량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Gallic Acid Content by Chestnut Variet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2, 2020년, pp.362 - 368  

전홍남 (공주시 농업기술센터 축산과) ,  박혜원 (호서대학교 안전환경기술융합학과) ,  김동현 (호서대학교 안전환경기술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밤의 품종(대보, 옥광, 축파, 삼조생)에 따른 Gallic acid 함량을 알아보았다. 밤나무 종류별로 알밤, 내피, 외피, 가지, 밤송이, 수꽃, 낙화수꽃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HPLC로 정량분석하였다. Gallic acid의 동정은 표준품인 Gallic acid를 물에 녹여 100, 200, 250, 500ppm의 농도 범위에서 3회씩 분석하였고, 각 농도에서 피크면적비로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기간은 2018년 5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진행했으며 밤 품종과 부위별 Gallic acid 함량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밤에서 Gallic acid 함량은 축파가 0.0863%로 가장 높았고, 대보, 옥광, 삼조생순이었다. 밤나무의 부위별 Gallic acid 평균 함량에서는 낙화 수꽃에서 1.2100%로 가장 높았으며, 밤나무 잎, 밤송이, 가지의 순이었다. 내피에서는 대보 품종이 0.7463%로 가장 높았고, 축파, 옥광, 삼조생 순이었다. 외피에서는 삼조생품종이 0.4918%로 가장 높았고, 축파, 대보, 옥광 순이었다. 밤송이에서는 삼조생 품종이 1.3035%로 가장 높았고 대보, 축파, 옥광 순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gallic acid content of various varieties of chestnuts (Daebo, Okgwang, Chukpa, Samjosaeng) was investigated during the period between May 2018 to July 2019. A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HPLC using extracts of chestnut, inner skin, outer skin, branches, chestnut, male f...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밤과 밤나무의 Gallic acid의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실험을 진행하기 전 밤의 외피와내피 중 어떤 부분에 더 많은 Gallic acid가 함유되어 있는지, 밤나무의 종류별로 확인했을 때 어떤 종류에서 더많은 Gallic acid가 함유되어있는지 본질적인 궁금증을결과를 확인하고 알 수 있었다.
  • 이러한 밤의 품종과 부위별 Gallic acid 성분 분석으로 밤의 기능성 식품과 사료 등의 재료로서의연구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Eun Ho Lee, Shin Hyub Hong, and Young Je Cho,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Okkwang(Castanea crenata) Chestnut Bur",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17. DOI : https://doi.org/10.3746/jkfn.2017.46.5.572 

  2. Jun DH. 2015. The study on verification of protection mechanisms of skin aging caused by UVB and major compounds purification from fermentation by Lactobacillus casei in chestnut (Castanea crenata) bur. PhD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Korea. p 1-9. 

  3. Yoon KY, Moon KD, Sohn TH. 1991. Polyphenol compounds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lyphenol oxidase in Chinese chestnut. Agric Res Bull Kyungpook NatlUniv 9: 51-59. 

  4. Jeong CH, Hur JY, Shim KH. 2002.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9: 234-239. 

  5. Cho YJ, Chun SS, Choi C. 1993. Inhibitory effect of condensed tannins isolated from Korean green tea against xanthine oxidase. J Korean Soc Food Nutr 22: 418-422. 

  6. Kim JK, Kong YT, Jo JM. 1987.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chestnut bur (1). Wood Sci & Tech 15: 59-63.. 

  7. Serrano A.Palcios C.Roy G.Cespon C.Vilar ML.Nocito M,Gonzalz-Porque P. Derivatives of gallic acid induce apoptsi in tumoralcelllinesand inhibitlymphocyteproliferation.Arch.Biochem.1998;35 0:49-54. DOI : https://doi.org/10.1006/abbi.1997.0474 

  8. YoshikaK, Katoka, HayashiT, HasegawaM, IhiY, HibasamiH. Induction of apoptsi by gallicacid in human stomachcancerKATO llandcolnadenocarciomaCOLO 205celllines. Oncol.Rep.2000;7:1221-1223. DOI : https://doi.org/10.3892/or.7.6.1221 

  9. SalucciM, Stval LA, MainiG, BugianesiR, VanniiV. Flavonoids uptake and theirefecton cellcycle of human coln adenocarcioma cels(Caco2. Br.J.Cancer.2002;86:1645-1651. DOI: https://doi.org/10.1038/sj/bjc/6600295 

  10. Farnesol and Geranylgeraniol Induce Actin Cytoskeleton Disorganization and Apoptosis in A549 Lung Adenocarcinoma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6;225:869-876. DOI : https://doi.org/10.1006/bbrc.1996.1265 

  11. IshiaraM.SakagamiH. Application of semiempirical method to estimate the cytotoxic activity of gallic acid and its related compounds. Anticancer Res.2003;23:2549-2552. 

  12. SalemA,HusheemM,HarkonenP,PihlajaK. Inhibition of cancer cell growth by crude extract and the phenolics of Terminalia chebula retz. fruit. J.Ethnopharmacol.2002;81:327-336. DOI : https://doi.org/10.1016/S0378-8741(02)00099-5 

  13. Geun Jeong Yug, "Effect of Powders of Chestnut and Acorn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thrombotic Capacity in rats",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1. 

  14. Hee Jeong Min, Min Sung Lee, Youg Kyoon Kim, Young Soo Bae.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on The Hydrolyzable Tannins of Katsura Tree. J.Korean Wood Sci. Technol. 2017,45(3): 250-257 DOI : https://doi.org/10.5658/WOOD.2017.45.3.250 

  15. Jung Bae Kim .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 mponent from Stem Bark of Rhus verniciflua. Korean J. Food&Nutr. 2003. Vol. 16. No.1, 60-65 

  16. Shin SE, Cha WS, Seo JJ, Kim JS. 1999. A study on the adsortion of heavy metals by chestnut shell. Korean J BiotechnolBioeng 14: 141-145. 

  17. Cha BC, Lee HW, Choi MY. 1998.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nut species. Kor J Phamacogn 29: 28-34. 

  18. Yook GJ, Lee HJ, Kim MK. 2002. Effect of chestnut and acone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thrombotic capacity in rats. J Nutr 35: 171-182. 

  19. Hyeon-Ju Lee, Mi Ja Chung, Jae Youl Cho, Seung-Shi Ham, and Myeon Choe, Antioxidative and Macrophage Phagocytic Activities and Functional Component, Analyses of Selected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 37(9), 1095-1100, 2008. DOI : https://doi.org/10.3746/jkfn.2008.37.9.1095 

  20. J. Y. Kim et al.,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n Chestnut, Chestnut Shell and Leaves of Castanea crenata Extrac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ol. 22, no. 1, pp. 8-16, Feb. 2014. DOI : https://doi.org/10.7783/KJMCS.2014.22.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