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의 영향 요인; 생명의료 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비판적사고 성향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the recognition of clinical nurses' code of ethics; Focusing o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moral sensitivity, and critical thinking deposi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2, 2020년, pp.660 - 671  

최영실 (경인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김상숙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비판적 사고성향 및 간호윤리강령인식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의 일반적·윤리적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고, 일반적·윤리적 특성에 따른 각 변수별 차이는 SAS 9.4를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이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된 변수는 Scheffé 사후 검정을 이용하여 다중 비교하였다. 각 변수의 점수는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 값과 최대 값을 이용하였고, 변수 별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또한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윤리적 특성과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비판적 사고성향(p<.001)이었고, 다음으로 생명의료 윤리의식(p<.001), 도덕적 민감성(p<.001) 순으로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27.4%이다. 따라서 임상간호사들에게 비판적 사고성향, 생명의료 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시킴으로써 임상간호사들이 확고한 윤리적 가치관을 가지고 실무에 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hat attempted to confirm clinical nurse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moral sensitivity, critical thinking deposition, and nursing ethics code of clinical nurses, as well 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cognition of the nursing code of 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환경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임상간호사는 무엇보다 생명의료 윤리의식에 대한 가치관의 정립과 함께 간호사 윤리강령에 대한 인식이 요구된다.[3]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비판적 사고성향 정도 및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생명을 다루는 전문인인 간호사로서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전문인으로 활동하고 있는 임상간호사의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생명의료 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비판적 사고성향 및 간호사 윤리강령의 인식의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사윤리강령 인식에 영향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을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영향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 생명의료 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영향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비판적사고 성향 및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의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영향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 S. Yoo, K. C. Shon,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me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Vol.12, No.2, pp.61-76, Jan. 2012 

  2. I. S. Kim, "Effects of Bioethics Education on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 of Freshman Nursing and health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Vol.14, No.1, pp.1-13, Jun. 2013. 

  3. M. S. Choi. "study on the design of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 training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Bioethics, Vol20, No2, pp.59-73, 2019. 

  4. Korea Nurses Association. Korea Nurse Ethics. [Internet]. Seoul: Korea Nurses Association; 2014 [cited 2019 Dec 10]. Available from: http://www.koreanurse.or.kr/board/board_read.php?board_idnotice&no66. 

  5. G. S. Jeong, "The Effect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Freshma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2, No.3, pp.376-386, Aug. 2016.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3.376 

  6. M. E. Cameron, "Value, be, do: guidelines for resolving ethical conflict", Journal of Nursing Law, Vol.6, No.4, pp.15-24, Feb. 2000. 

  7. P. S. Tompkins, "Rhetorical Listening and Moral Sensi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Listening, Vol.23, No.1, pp.60-79, Feb. 2009. DOI: https://doi.org/10.1080/10904010802591912 

  8. E. A. Kim, H. Park, S. E. Choi, "The Influence of Moral Sensitiv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17, No.2, pp.144-158, Aug. 2014. DOI: https://doi.org/10.35301/ksme.2014.17.2.144 

  9. M. S. Kim, "Influence of Moral Sensitivity and Ethical Values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1, No.3, pp.382-392, Aug. 2015.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3.382 

  10. M. H. Lee, "Effects of Moral Sensitiv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Perceived Ethical 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9, pp.610-618, Sep.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9.610 

  11. Y. Jin,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a School Applying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4, No.2, pp.159-166, Jun. 2008. 

  12. Korea Nurses Association. Korea Nurse Ethics. [Internet]. Seoul: Korea Nurses Association; 2014 [cited 2019 Dec 10]. Available from: http://www.koreanurse.or.kr/board/board_read.php?board_idnotice&no66. 

  13. H. S. Choo. A Study on Clinical Nurses' Professionalism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pp. 1-71, 2001. 

  14. Y. Lee, "Code of Ethics and Ethics Education as Means to Resolve Ethical Issues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in Korea",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Vol.22, No.2, pp.119-128, Jun. 2014. DOI: https://doi.org/10.17006/kjapa.2014.22.2.119 

  15. W. Tadd, A. Clarke, L. Lloyd, H. Leino-Kilpi, C. Strandell, et al., "The value of nurses' codes: European nurses' views", Nursing Ethics, Vol.13, No.4, pp.376-393, Jul. 2006. DOI: https://doi.org/10.1191/0969733006ne891oa 

  16. E. A. Ji, J. S. Kim. " Factor Influencing New Graduate Nurses'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Length of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4, No.1, pp.51-60, Jan. 2018.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1.51 

  17. K. S. Jang,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Docto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 6-54, 2000. 

  18. G. S. Jeong, "The influencing factor of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Moral Sensitiv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the Code of Nurses Ethics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11, pp.544-555, Nov.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11.544 

  19. S. J. Kwon.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the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pp. 1-78, 2003. 

  20. J. Yoon.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In Nursing, Docto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p. 1-64, 2004. 

  21. E. H. Kim, E. Lee, "A Comparison of First-Yea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Ethical Values and Understanding of Biomedical Ethic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15, No.1, pp.78-95, Apr. 2012. DOI: https://doi.org/10.35301/ksme.2012.15.1.78 

  22. S. W. Kang, E. J. Choi, "Awareness Towards Code of Ethics for Korean Nurse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2, pp.1101-1114, Apr. 2015. 

  23. M. S. Yoo, H. S. Park,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on Bioethics Awarenes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of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Vol.11, No.1, pp.51-60, Jun. 2010. 

  24. Y. Kwon, "Factors Affecting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th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23, No.2, pp.262-272, Sep. 2009. 

  25. H. S. Jeo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8, No.3, pp.401-410, Aug. 2011. 

  26. G. S. Lee.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Non Health Care Professionals,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pp.1-85, 2002. 

  27. J. Y. Ha, D. H. Kim, S. K. Hwang, "The Perception of Biomedical Ethics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5, No.2, pp.216-224, Dec. 2009. 

  28. W. Y. Choi, M. Y. Kim,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Regarding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Vol.16, No.1, pp.1-9, Feb. 2012. 

  29. S. S. Han, "The Moral Distress Experienced by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Vol.6, No.2, pp.31-47, Dec. 2005. 

  30. G. S. Jeong, "The Effect of Gender, Ethical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Biomedical Ethics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n Nursing Students in one Nursing colleg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4, No.11, pp.5672-5681, Nov. 2013. DOI: https://doi.org/10.5762/KAIS.2013.14.11.5672 

  31. K. H. Jo, Y. J. Kim, "The Impact of Nurses' Attitude toward Dignified Death and Moral Sensitivity on Their End-of-Life Care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6, No.4, pp.223-231, Dec. 2013. DOI: https://doi.org/10.14475/kjhpc.2013.16.4.223 

  32. D. Noh, S. Kim, S. Kim, "Moral Distress, Moral Sensitivity and Ethical Climate of Nurses Working in Psychiatric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22, No.4, pp.307-319, Dec. 2013.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3.22.4.307 

  33. H. R. Kim, S. H. Ahn, "Moral Sensitivity and Moral Distress among Korea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13, No.4, pp.321-336, Dec. 2010. DOI: https://doi.org/10.35301/ksme.2010.13.4.321 

  34. R. W. Comrie, "An analysi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 nurses' moral sensitivity", Nursing Ethics, Vol.19, No.1, pp.116-127, Jan. 2012. DOI: https://doi.org/10.1177/0969733011411399 

  35. J. A. Oulton, "ICN's Code of Ethics for Nurses: Serving nurses and nursing care world-wid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Vol.47, No.3, pp.137, 2000. DOI: https://doi.org/10.1046/j.1466-7657.2000.00031.x 

  36. O. J. Shim. A Study of Ethical Decision-making in a Nurse's Moral Dilemma Situation,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pp. 1-67, 2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