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사윤리강령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influencing factor of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Moral Sensitiv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the Code of Nurses Ethics of Nursing Stud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544 - 555  

정계선 (조선간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사윤리강령 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상관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개 대도시의 2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들 22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6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이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22.0 버전 컴퓨터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t 검정, 분산분석Scheffe's 검정, 다변량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자의 86.65%가 여성이었으며, 평균나이는 21.67살이었다. 간호사윤리강령에 대한 인식정도는 생명의료윤리 의식(p<.001), 도덕적 민감성(p<.001), 비판적 사고성향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학년(p=.017), 결혼상태(p=.012), 생명과학 발전에 따른 윤리적 문제 발생 가능성(p=.012)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사윤리 강령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학년(p=.013), 결혼상태(p=.030), 생명의료윤리 의식(p=.017), 도덕적 민감성(p<.001), 비판적 사고성향(p=.001)이며 설명력은 26.3%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학생의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moral sensitiv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de of Ethics of nurses among nursing students. A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간호교육 현장에서 간호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동안 학생들로 하여금 바람직한 간호행위에 대한 명확한 판별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졸업 후 간호사로서 근무하게 되는 의료환경에서 경험하게 될 어려가지 생명의료윤리 문제에 대한 대처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12, 2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들의 임상현장에 접하게 되는 생명윤리와 관련된 윤리적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고 생명윤리에 대한 간호교육의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고하며, 간호학생들의 간호사 윤리강령에 대한 인식,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비판적 사고성향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간호사 윤리강령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명의료윤리의식은 무엇이고 확고한 가치관 성립이 주는 이점은 무엇인가?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생명을 다루는 의료행위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에 대한 해결과정의 기반이 되며,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확고한 가치관을 정립하여 의료인들이 보건의료시스템에서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맞는 합리적 의사결정에 도움을 될 수 있다[7]. 이와 관련하여 간호 대학생들은 학교 교과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생명의료 윤리 교육을 통해 생명의료윤리의식을 높일 수 있다[6,8, 9].
간호의 근본이념은 무엇인가? 한국간호사 윤리강령에서는 간호의 근본이념을 ‘인간의 존엄성과 기본권을 존중하고 옹호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1]. 1972년에 대한간호협회에 의해 제정된 한국 간호사윤리강령은 1983년 1차 개정을 한 것을 시작으로 1995년, 2006년에 각각 2차 개정과 3차 개정이 시행되었으며, 현재는 2013년에 4차 개정된 것으로 적용하고 있다[1].
학년, 결혼상태가 간호사 윤리강령에 영향을 미친 이유는 무엇인가? 3%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가 간호학생들로써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교 수업이나 임상실습을 통한 경험들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결혼을 하면서 가족에 대한 의료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이 증가하게 되어 생명윤리에 대한 생각의 폭이 넓어지고 이로 인해 윤리의식이 증가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생명의료윤리의식이 간호사 윤리강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되므로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꾸준한 교육 필요한 것은 자명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Nurses Association. The Code Ethics of Nurses. 2014. Retrieved from http://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mn2#s1 

  2. Lee, Y. H., Code of ethics and ethics education as mean to resolve ethical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in Korea.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vol. 22, no. 2, pp. 119-128, 2014. DOI: https://doi.org/10.17006/kjapa.2014.22.2.119 

  3. Kang, S. W., Choi, E. J., Awareness towards code of Ethics for Korean nurse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2, pp. 1101-1114, 2015. 

  4. Kim, Y. S., Kang, S. W., Ahn, J. A., Moral sensitivity relat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code of ethics. Nursing Ethics, vol. 20, no 4, pp.470 -478, 2012. DOI: https://doi.org/10.1177/0969733012455563 

  5. Moon, M. Y., Jeon, M. K., & Jeong, A. W., relationship between nurs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vol. 14, no. 1, pp. 27-47, 2013. 

  6. Kim, M. A., Two teaching methods to improve nursing student's moral intelligences,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ement: Theatre of situation and pro-con debate.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16, no. 3, pp. 376-390, 2013. 

  7. Ahn, S. H., Quantitative analysis of ethics research within the Korean nursing community.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12, no. 3, pp. 261-274, 2009. 

  8. Yoo, M. S., Shon, K. C. Effect of nursing education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eme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vol. 12, no. 2, pp. 61-76, 2011. 

  9. Jeong, G. S., The effect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fresh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 no. 3, pp. 376-386, 2016.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3.376 

  10. Erosy, N., Gundomus, U. N., A study of the ethical sensitivity of physician in Turkey. Nursing Ethics, vol. 10, no. 5, pp. 472-484, 2003. DOI: https://doi.org/10.1191/0969733003ne6290a 

  11. Kim, H. S., Effects of the nursing process education program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th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1, pp. 561-574, 2015. 

  12. Kim, M. S. Influence of moral sensitivity and ethical values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vol. 21, no. 3, pp. 382-392, 2015.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3.382 

  13. Han, S. S., Kim, Y. S. Park, J. H., Ahn, S. H, Meng, K. H., Kim, J. H., A study of the moral sensitivity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vol. 10, no. 2, pp. 117-124, 2007. 

  14. Thompkins, P. S., Rhetorical listening and moral sensitivity. Journal of Listening, vol. 23, no. 2, pp. 60-79, 2009. DOI: https://doi.org/10.1080/10904010802591912 

  15. Kim, S. Y., Effects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using movies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7, pp. 281-290. 2014. DOI: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281 

  16. Kim, E. A., Park, H. Y., Choi, S. E., The influence of moral sensitiv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17, no. 2, pp. 1464-158, 2014. 

  17. Yoon, J.,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a school applying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4, no. 2, pp. 159-166, 2008. 

  18. Sung, K. S., The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Idea, vol. 24, no. 4, pp. 155-172, 2010. 

  19. Han S. S., Kim, Y. S., Park, S. H., Meng, K. H., A study of the moral sensitivity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Education, vol. 10, no. 2, pp. 117-124, 2007. 

  20. Jung, M., The ethical problems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in hospital setting.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4, no. 2, pp. 195-212, 2001. 

  21. Kim, E. H., Lee, E. J., A comparison of first-yea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ethical values and understanding of biomedical ethic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15, no. 1, pp. 78-95, 2012. 

  22. Faul, F., Erdfelder, E., Lang, A, 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39, pp. 175-191, 2007. DOI: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3. Kwon, S. J., Survey of the biomedical ethics value of the nursing student and medical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Keimyung University, Daegu. 2003. 

  24. Lutzen K., Nordin C., Conceptualization and instrumentation of moral sensitivity in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Methods Psychiatric Research, vol. 4, pp. 241-248, 1994. 

  25. Han, S. S., Kim, J. H., Kim, Y. S., Ahn, S. H.,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 Nursing Ethics, vol. 17. no. 9, pp. 99-105. 2010. DOI: https://doi.org/10.1177/0969733009349993 

  26. Yoon, J.,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Seoul. 2004. 

  27. Yoo, M. S., Park, H. S., Effect of nursing education on bioethics awarenes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of nurses. Journal of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vol. 11, no. 1, pp. 51-60, 2010. 

  28. Jeong, G. S., The effect of gender, ethical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biomedical ethics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n nursing students in one nursing colleg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1, pp. 5672-5681, 2013. DOI: https://doi.org/10.5762/KAIS.2013.14.11.5672 

  29. Jeong, G. S., Kim, K. A., Seong, J. A., The effect of learning styl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ommunication skil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19, no. 3, pp. 413-422, 2013.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3.413 

  30. Cho, M. J., Ethical dilemma of nurse; Ethics of organ transplantation, biomedical ethics and nursing. College of nursing science Ewha Woman university, pp. 20-37,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