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적응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Adaptation Research Trends of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2, 2020년, pp.371 - 381  

박병금 (서울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 적응 연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과제와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술지 논문 총 94편을 선정하여 연구현황, 연구방법, 연구대상, 그리고 연구내용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1편을 시작으로 논문이 꾸준히 나타나고 있으며, 2018년 이후 급증하였다. 학술지별 논문수를 살펴본 결과 총 50개로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술지 분야별로 볼 때 사회과학 분야에서 37개(74%)로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방법의 분석결과 전체 연구 중 조사연구가 68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양적연구 분석방법이 전체 74%를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직접 연구한 경우가 75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19편은 부모나 교사(실무자) 또는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다른 대상을 함께 연구하였다. 넷째, 연구내용에서는 적응의 유형 중 학교적응특성이 52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사회문화적응특성(37편)이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연구방향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adaptation research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seek future research tasks and direction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94 journal papers were selected and the research status,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 and r...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청소년은 일반적으로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인 발달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시기에 해당한다. 교육과학기술부의 정책대상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연령을 법률적 정의로 규정하기보다는 학교 급으로 나누어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연령층에 해당하는 집단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 나아가 각 연구들의 분석방법들을 살펴보았다. 양적연구의 다양한 분석 방법들을 기술통계, 경로분석,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종단분석, 메타분석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 적응 연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과제와 방향을 모색하는것이다. 이를 위해 학술지 논문 총 94편을 선정하여 연구현황, 연구방법, 연구대상, 그리고 연구내용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 적응 연구의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다문화가정 청소년 적응 연구의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분석 대상 논문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
  • 이러한 주요 분석 외 논문별로 연구에서 발견된 특이사항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범주에 들어가지 않지만 분석이 필요한 부분은 질적 분석으로 보완하여 분석의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북한이탈청소년과 중도입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연구와 함께 혼합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와 부모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병행한 경우이다. 실험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원예활동프로그램을 통해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프로그램개발연구와 실험연구는 3편만 나타나 연구방법의 불균형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 이러한 주요 분석 외 논문별로 연구에서 발견된 특이사항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범주에 들어가지 않지만 분석이 필요한 부분은 질적 분석으로 보완하여 분석의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이러한 측면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적응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적응연구의 동향 분석을 위해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과 향후 적응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도록 한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적응연구의 동향 분석을 위해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과 향후 적응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응이란 무엇이며 어떠한 과정인가? 청소년들은 이 과정에서 개인·가족·환경적 스트레스를 겪게 되며, 적응의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한편, 적응이란 개인과 환경 사이의 활발한 상호교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개인이 자신의 욕구에 적합하도록 환경을 변화시키고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나가는 과정이기도 하다[1]. 개인의 심리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작용하여 조화를 이룬 상태이며, 인간이 자발적으로 행동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환경을 이용하여 사회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개인과 환경과의 능동적 상호관계를 의미하기도 한다[2].
청소년기란? 청소년기는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발달에 큰 변화를 겪는 과도기이며, 자신의 가치관과 자아정체감을 형성해 가면서 미래의 삶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결정적 시기이다. 청소년들은 이 과정에서 개인·가족·환경적 스트레스를 겪게 되며, 적응의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다문화가정 청소년 적응 연구 동향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1편을 시작으로 논문이 꾸준히 나타나고 있으며, 2018년 이후 급증하였다. 학술지별 논문수를 살펴본 결과 총 50개로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술지 분야별로 볼 때 사회과학 분야에서 37개(74%)로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방법의 분석결과 전체 연구 중 조사연구가 68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양적연구 분석방법이 전체 74%를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직접 연구한 경우가 75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19편은 부모나 교사(실무자) 또는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다른 대상을 함께 연구하였다. 넷째, 연구내용에서는 적응의 유형 중 학교적응특성이 52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사회문화적응특성(37편)이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연구방향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C. H. Meyer, Clinical Social Work in the Eco-system Perspective, Columbia University, 1983. 

  2. 교육심리학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44579&cid41989&categoryId41989. 

  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기본통계, 2018. 

  4. 여성가족부, 2019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5. 최윤미, 임성택,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 상담평가연구, 제5권, 제5호, pp.15-26, 2012. 

  6. 이종우,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 한국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공주대학교 재외동포교육센터를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제5권, 제2호, pp.91-120, 2011. 

  7. 김혜련, "다문화 가정 중등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 교재개발 방향," 교육연구, 제56권, pp.8-26, 2013. 

  8. 김상운, 신재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가정 기능적 특성이 재산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195-202, 2014. 

  9. 한상철,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제9권, 제4호, pp.239-258, 2012. 

  10. 은선경,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33호, pp.37-74, 2010. 

  11. 이상균, 박현선, 노연희, 이채원,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변용스트레스 및 문화자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제38호, pp.235-264, 2012. 

  12. 전병주,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및 문화변용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0권, 제11호, pp.29-38, 2012. 

  13.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다문화가족 법 제도 개서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정책과, 2013. 

  14. 이정금, "미래사회 한국 다문화교육정책의 방향 탐색,"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1호, pp.549-567, 2018. 

  15. 김지나, 고려인 청소년의 학교생활을 통한 문화적응과정 경험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6. 류방란, 오성배, "중도입국 청소년의 교육 기회와 적응 실태," 다문화교육연구, 제5권, 제1호, pp.29-50, 2012. 

  17. 엄명용, "다문화가정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 사회 적응 영향 요인," 한국가족복지학, 제42호, pp.39-82, 2013. 

  18. 이병철, 송다영, "다문화가족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3권, 제4호, pp.131-154, 2011. 

  19. 김소라, "다문화청소년의 진로문제에 대한 인식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8호, pp.427-439, 2019. 

  20. 김주연,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623-633, 2019. 

  21. 김미진, 김경은, "국내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pp.1-27, 2018. 

  22. 이현정,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9호, pp.63-71, 2018. 

  23. 장은영, 이정아, "국내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3호, pp.501-522, 2018. 

  24. 차슬기, 변해원,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7호, pp.207-213, 2018. 

  25. 선곡유화, 민기연, 이영선, "다문화효능감에 관한 연구동향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pp.847-876, 2016. 

  26. 남성희, 권종설, "아동청소년 다문화 프로그램 연구에 대한 경향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3호, pp.129-158, 2013. 

  27. 이정우, "청소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4호, pp.293-314, 2012. 

  28. 장인실, 차경희, "한국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Bennett이론에 근거하여," 한국교육학연구, 제18권, 제1호, pp.283-302, 2012. 

  29. 전재영, "다문화교육 연구의 메타 분석적 접근," 초등도덕교육, 제35권, pp.29-54, 2011. 

  30. 권문화, "다문화영역 이중언어 교육 연구 동향분석," 제19권, 제5호, pp.931-959, 2019. 

  31. 엄윤재, 최소영,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중제관련 연구동향 분석: 국내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특수.영재교육저널, 제5권, 제2호, pp.37-65, 2019. 

  32. 이승숙, 권경숙,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관련 연구동향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7권, 제1호, pp.299-320, 2018. 

  33. 김윤주, "다문화배경 학생대상 한국어 교육 동향-한국어 교육 및 국어교육 전공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학술대회, 제2016권, 제11호, pp.76-87, 2016. 

  34. 전지아, 황해영, "국내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교육 연구동향-이주부모나라 언어교육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6권, 제10호, pp.107-120, 2016. 

  35. 김지연, 이윤희, "다문화청소년 진로발달 연구동향과 과제 :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2009- 2019.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19호, pp.1205-1230, 2019. 

  36. 조혜영, "다문화청소년 진로지원개선 방안 모색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7권, 제11호, pp.689-699, 2017. 

  37. 김의연, 김미순, 황해영, "다문화학생을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교육문화연구, 제21권, 제5호, pp.145-177, 2015. 

  38. 선혜연,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발달연구 동향," 초등교과교육연구, 제22권, pp.15-30, 2015. 

  39. 노일하, "다문화관련 교사인식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상담심리교육복지, 제5권, 제4호, pp.29-41, 2018. 

  40. 노성향, "보육교사 관련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현대사회와 다문화, 제7권, 제2호, pp.117-139, 2017. 

  41. 김종훈, "다문화교육 분야의 교사 관련 연구동향분석: 현황과 향후 과제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제7권, 제4호, pp.81-100, 2014. 

  42. 윤갑정, 손환희,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제13권, 제3호, pp.81-109, 2018. 

  43. 이신동, 서영화, "다문화가정 유아발달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제93권, pp.147-169, 2015. 

  44. 이상희, 이연우,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한중재실행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제16권, 제2호, pp.465-491, 2015. 

  45. 김용숙, 성영란, 유지은, "유아 다문화 연구동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403-422, 2015. 

  46. 최일선, "유아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다문화교육, 제1권, 제1호, pp.119-133, 2010. 

  47. 송윤선, 이미나,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상담관련 KCI연구동향-1993년부터 2017년까지 게재논문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제4호, pp.697-706, 2019. 

  48. 원상화, "다문화가족 심리지원을 위한 국내 예술심리치료 적용 연구 동향 분석," 예술심리지료연구, 제13권, 제3호, pp.1-20, 2017. 

  49. 오은경, 최미, 최한나, "국내 다문화 상담 연구동향: 학술지 및 학위논문분석(1993-2016.7)," 상담학연구, 제17권, 제5호, pp.223-242, 2016. 

  50. 김보미, 이정민, "탈북청소년 연구의 20년 동향분석 :1999년-2018년 연구 중심으로," 학습자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8호, pp.1265-1289, 2019. 

  51. 박언하,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적응 연구 동향 분석," 인문사회 21, 제10권, 제3호, pp.399-414, 2019. 

  52. 정하은,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적응 연구 동향 분석:학회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2001-2014)," 다문화가족연구, 제10권, pp.41-65, 2015. 

  53. 윤혜순, "탈북청소년의 연구 동향과 과제,"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1호, pp.125-149, 2014. 

  54. 김명선, 이동훈,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적응 특성에 관한 연구," 재활심리연구, 제20권, 제1호, pp.39-64, 2013. 

  55. 윤새은임, 유진이, "중도입국청소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제2권, 제1호, pp.57-93, 2017. 

  56. 박현숙, 김광웅, "다문화가정 자녀 연구 동향," 놀이치료연구, 제15권, 제4호, pp.459-485, 2012. 

  57. 백용매, 류윤정,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동향과 현황 분석," 인문과학연구, 제16권, pp.83-108, 2011. 

  58. 김광웅, 최명선, 유진아, 정유진, "아동상담 연구동향 ; 학회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1997-2005)," 놀이치료, 제12권, 제9호, pp.47-65, 2006. 

  59. O. R. Holti, Content Analysis. In Gardener Lindzey & Elliot Arnsos(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Second Edition. Reading, Massachusett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68. 

  60. 이영수, 손진희, 최윤진, "청소년관련학과 학위논문 연구동향," 미래청소년학회지, 제9권, 제3호, pp.19-35, 2012. 

  61. 송병국, "청소년연구방법론의 동향과 과제," 청소년학연구, 제6권, 제1호, pp.1-21, 1999. 

  62. 김범구,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4호, pp.315-337, 2012. 

  63. 김소라, "대응분석을 통한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문제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2호, pp.346-361,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