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 출신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분석
The Analysis of College Life Experie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2, 2020년, pp.649 - 657  

김희숙 (동남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채경숙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김옥심 (연세대학교 김모임 간호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이탈주민 출신 간호대학생의 대학 생활경험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2017년 9월부터 10월까지 자신의 대학 생활경험을 풍부하게 나타낼 수 있는 북한 이탈 간호대학생 8명을 표집하여 심층 면접하였다. Colaizzi의 현상학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4가지 주제 묶음과 5가지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는 대학입학 준비의 어려움을 겪었으며, 남한에 정착하면서 말투의 차이와 남한용어의 이해 부족으로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남북한 교육방법과 평가의 차이와 문화적 차이로 어려움에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대학에 입학하는 북한 이탈주민 출신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에 정착하여 학업을 중도에 포기하지 않도록 대학 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ollege life in North Korean defectors attending nursing school in South Korea, through a qualitative study method.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17, 8 nursing students of North Korean defectors background who can fully describe ...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참여 대상자가 경험하는 대학 생활에 대해 깊이 있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이들과 같은 북한 이탈주민 출신 간호사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내용은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구조화 된 질문 가이드를 기준으로 진행하고 연구자의 개인적 판단 개입을 중지하고자 노력하였다. 면담은 약 5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더 새로운 내용이 나오지 않는 포화 시점까지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북한 이탈주민 출신 간호대학생의 대학 생활경험을 조사하고 이들의 경험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대학 생활적응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4개의 주제 모음과 5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 연구결과 4개의 주제 모음과 5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심층 면접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 북한 이탈 간호의료인은 향후 남한 주민 사이에서의 교두보 역할과 통일 후 북한을 재건하는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북한 이탈주민 출신 간호대학생의 대학 생활경험을 심층 면담을 통해 파악하고 대학 생활적응 경험을 분석하여 이들이 대학 생활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정책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년제 대학 중도탈락 비율은 남한사람과 북한 사람 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남한 문화에 적응하는 면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화적 충격 시기에서 벗어나며 개선되는 양상을 보이지만, 학업 적응, 의사소통능력을 비롯한 또래와의 대인관계의 어려움, 심리적 위축감의 문제와 더불어 경제적 어려움 등에서는 여전히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다[7-9]. 특히 남한 대학생의 4년제 대학 중도탈락 비율이 전체 6.6%인 것에 비해 북한 이탈주민의 경우 약 20%가 휴학 중이거나 제적 중인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북한 이탈주민과 같이 문화적 적응이 필요한 외국인 유학생의 중도탈락률인 16.1%보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0][11].
청년층의 북한 이탈주민은 어떤 마음가짐으로 대학진학을 선택하는가? 청년층의 북한 이탈주민은 청소년기 탈북으로 인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했던 경험에 대한 보상심리와 대학교육으로 인해 더 나은 사회인으로서의 도약을 꿈꾸며 대학진학을 선택한다. 그러나 남한 사회의 정착과정에서 오는 문화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적응문제와 더불어 대학 생활적응이라는 이중의 어려움을 겪기 마련이다.
북한 학생들의 간호학과의 이수 과정에 대한 부적응으로 어떤 요인들이 있는가? 그러나 간호학과의 이수 과정은 남한 대학생들에게도 중도탈락률이 3.4%로 보고될 정도로 녹록한 과정이 아니며[11], 남한 대학생보다 영어나 생물학 등의 기초선행학습이 부족한 상황에서 마주하는 간호학과의 이수 과정은 북한 이탈 대학생의 학업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간호학과의 이수 과정에 대한 부적응으로 인해 학업을 마치지 못하고 중도에 포기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이들의 대학 생활적응을 도와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대안의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ttps://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NKDefectorsPolicy/status/lately/, 2019.11.10. 

  2. https://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statistics/, 2019.11.26. 

  3. 남북하나재단, 2016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조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7. 

  4. 남북하나재단, 2018 탈북 청소년 실태조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9. 

  5. https://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NKDefectorsPolicy/settlement/education/, 2019.11.26. 

  6. 통일부, 통일백서, 서울:GPO, 2015. 

  7. 박은미, 정태연, "탈북대학생의 대학 생활 및 남한 사회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37권, 제2호, pp.257-288, 2018. 

  8. 문희정, 손은령, "탈북 청소년의 대학 생활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혁신연구, 제29권, 제3호, pp.141-167, 2019. 

  9. 정성희, 조은식, "탈북대학생 학업 적응 곤란 요인 및 적응 지원 방안 연구,"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11호, pp.1257-1279, 2019. 

  10. 유시은, 배형준, 조명숙, 김경희, 최영실, 탈북대학생 중도탈락 원인 및 대안,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3. 

  11. https://www.academyinfo.go.kr/search/search.do, 2019.11.26. 

  12. 통일부와 하나원, 북한이탈주민 생애, 학생편, 2017. 

  13. 신영, 임미연, "간호사를 꿈꾸는 탈북 청소년들의 진로 탐색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제20권, 제1호, pp.59-97, 2017. 

  14. 박은영, 이은자, "북한이탈 주민 출신 간호대학생의 대학 생활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51-361, 2013. 

  15. P.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16. 조영아, 전우택, "북한 출신 대학생들의 대학 생활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6권, 제1호, pp.167-186, 2004. 

  17. 박약우, 김진철, 고경석, 박기화, 정국진, "남북한 중등학교 영어과 교과서 비교분석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제7권, 제2호, pp.163-194, 2000. 

  18. 최용기, "남북의 언어 차이와 동질성 회복 방안," 국학연구, 제10권, pp.199-228, 2007. 

  19. 차지영, 이경은, 권유림, 정향진, "새터민 대학생의 한국 간호학 교육적응 경험," 질적연구, 제17권, 제1호, pp.22-38, 2016. 

  20. 이은혜, "대안학교 출신 탈북대학생의 커뮤니티 경험과 문화적응," 질적탐구, 제2권, 제2호, pp. 259-291,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