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물류서비스업의 효율성 분석
Efficiency Analysis of Total Logistics Service Industr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 2020년, pp.25 - 30  

강다연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BK21플러스사업) ,  최영로 (가야대학교 항만물류학과)

초록

최근 종합물류서비스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정부에서 물류산업의 집중 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류체계 정비를 위한 제도적인 방안과 법적인 방안들에 대한 도입을 전문적인 종합물류서비스업을 위한 지원한도에 대한 확대와 인수 및 합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며, 물류 관련 설비 및 신기술, 개발 투자에 대한 확대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DEA를 활용하여 종합물류서비스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총 15개 종합물류서비스업을 대상으로 경영효율성을 재무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비효율적인 기업으로 나타난 경우 효율적인 기업의 운영을 위한 투사 값을 제시하였으며,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기업들을 참조집합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규모수익성을 감안한 기업의 운영방안도 생각해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s a way to revitalize the comprehensive logistics service industry, the government is trying to foster the concentration of the logistics industry. The introduction of institutional and legal measures for the maintenance of the logistics system will be expanded to the support limit for th...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토교통부의 물류산업 혁신방안에서도 나타나듯이 경제혁신 선도 중추 산업 육성에 기여하기 위한 물류산업 지원부문과 성장기반 확충지원에 대한 지원을 강조하고 있으며, 생활물류 부문과 관련된 택배와 배송대행업에 대해 법적 근거를 마련한 방침과 대폭적인 규제완화를 개선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첨단기술에 대한 투자를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정부는 낙후된 물류센터를 첨단화하고, 첨단기술·장비에 대한 민간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스마트 물류센터 인증제’를 도입, 고효율·안전성·친환경성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물류센터를 국가가 인증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하였다.
  • 또한 DEA-SBM을 이용한 국내 물류산업 전체를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12년간 11년간 업태 간, 규모 간 효율성을 비교분석한 연구도 있었다[10]. 본 연구는 2018년 인증우수물류기업으로 선정된 종합물류서비스업의 효율성을 정태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 그리고 AI, 빅데이터등 첨단기술 활용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물류산업의 핵심 육성전략이 확정된 만큼, 대책의 후속조치를 차질 없이 시행한다는 방침을 내놓았다[2]. 본 연구는 종합물류업의 성장과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과 방안에 맞추어 보다 발전적인 성장에 기여하는 종합물류업의 효율적인 기업을 분석하고자 하며,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기업으로 확인된 기업의 벤치마킹 방안을 재무적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략적 협업이 더욱 가속화되어지고 있는 배경은?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이 종합물류업의 중개플랫폼과 물류 기능을 결합한 서비스업종의 결합 상품들이 출시되기 시작하면서 선도적인 위치의 자리매김을 할 수 있는 종합물류기업의 경영운영이 중요하며 장기적인 안목의 시급함을 거론한다. 정부의 종합물류 성장의 가능성과 법적 제도적인 종합물류경영을 위한 관리와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전략적 협업은 더욱더 가속화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BCC 효율성이 1인 기업은? 종합물류서비스업의 DMU는 총 15개 기업이었으며,BCC 효율성이 1인 기업은 선관, 동부익스프레스, 현대글로비스, 판토스, 한솔로지스틱스, 동원산업, 한익스프레스, 하나로티앤에스, 로지스올주식회사 총 9개기업, CCR효율성이 1인 기업은 선광, 동부익스프레스, 현대글로비스, 판토스, 한솔로지스틱스, 동원산업, 한익스프레스이며 총 7개 기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CC, CCR 효율성이 모두 1로 나타난 기업은 총 7개 DMU로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물류업의 효율적인 기업을 분석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은?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무데이터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이외의 재무적인 변수의 선정과 비재무적인 변수들을 반영하여 급변하는 종합물류서비스업의 특성상 분기별 경영효율성을 분석하여 운영적인 효율성을 비교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당기순이익 15위 이하의 종합물류서비스업을 대상으로 국한하여 분석한 한계점이 있었기에 추후연구에서는 보다 발전적인 종합물류서비스업의 DMU의 선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지속적인 성장 방향성과 관계된 세부적인 경영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서 연구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효율적인 기업과 비효율적으로 나타난 기업들을 비교ㆍ분석하는 연구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ttp://www.gyotongn.com/news/articleView.html?idxno304313 

  2. http://www.gyotongn.com/news/articleView.html?idxno304313 

  3. 김승욱,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라스트 마일 물류 개발," e-비즈니스연구, 제20권, 제4호, pp.241-254, 2019. 

  4. 이현수, 최동현, 최준재, 최수희, "대-중소 물류기업 간 얼라이언스 기반 해외진출 전략," 로지스틱스연구, 제26권, 제4호, pp.69-87, 2018. 

  5. 박선율, 김상열, 이민규, "해양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해운물류연구, 제103권, pp.223-243, 2019. 

  6. 박주홍, 이기봉, 최구용, 정인준, "계층분석과정 기법을 활용한 군 물류체계 개선 사용자요구사항 도출 및 우선순위와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제45권, 제4호, pp.361-375, 2019. 

  7. 길종구, 김정효, "물류기업 공급사슬 파트너깁 동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제29권, 제3호, pp.43-57, 2019. 

  8. 최수호, 최정일, "물류관련 기업들의 주가 상승률과 변동성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2호, pp.135-144, 2017. 

  9. 박정현, 오재균, 김동명, 여기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스마트 유통물류센터 구축방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7권, 제2호, pp.59-71, 2019. 

  10. 박차미, 김태승, "DEA-SBM을 이용한 국내 물류산업의 효율성 분석," 로지스틱연구, 제22권, 제4호, pp.27-46, 2014. 

  11. 최경숙, "중국 물류단지의 현황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제82권, pp.75-100, 2019. 

  12. 이수현, 김재윤, "DEA/Entropy 모형을 이용한 국내물류기업의 효율성 평가," 한국생산관리학회지, 제30권, 제3호, pp.289-306, 2019. 

  13. Bai Xue, 조혁수, Fan Rong, "Malmquist지수 활용 한.중 해운기업 생산성 변화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102권, pp.1-19, 2019. 

  14. https://celc.koti.re.kr/ 

  15. http://dart.fss.or.kr/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