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메이커 교육 인식에 기초한 교사 교육과정 구성 방향
The Composition of Teacher Curriculum based on Maker Education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 2020년, pp.605 - 616  

이영미 (백석대학교 사범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의 메이커 교육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사 교육 과정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메이커 교육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 결과 메이커 교육에 대한 개념 및 의미와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난 반면 메이커 교육의 효과, 중요성, 가치, 지속적 적용과 발전가능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메이커 교사교육과 교육환경 구성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조사결과를 기초로 교사 교육과정 구성안은 크게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으로 분류하였다. 기본과정에는 메이커 교육과 메이커 스페이스의 개념 및 의미 등에 대한 기반 내용을 포함시켜 인식과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심화과정에서는 다양한 도구, 재료 및 디지털 매체 활용방법과 메이커 교육 수행 방법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메이커 교육활용 능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메이커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 구성안은 향후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사들의 디지털 수업역량을 강화하는데 기본방향을 제안해 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perception of maker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r maker education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maker educ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연구에서는 첫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정도를 조사하여 이를 분석해보고 둘째, 메이커 교육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메이커교사 교육 실시를 위한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구성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특히, 유아교육에서 메이커 교육의 가치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메이커 교육을 직접 수행해야 하는 유아교사들의 메이커 교육 수행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메이커 교육수행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이커란? 메이커(Maker)란 무엇인가를 만드는 사람으로 특별한 것을 발명하는 사람(inventor)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고 필요한 것을 만들어내는 모든 사람을 지칭하는 의미이며 DIY(Do-it-Yourself)라고도 불리는 메이커 운동은 사회적 필요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스스로 필요로 하는 물건을 만들어 내고 그 과정과 결과물을 타인들과 공유하고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현상을 말한다[3-6]. 이러한 메이커 문화의 특성들이 교육현장에서 스스로 창조해내는 인간을 양성하고자 메이커 교육으로 재정립되고 있다.
메이커 교육환경이 가져오는 장점은? 기존 스마트 교육 연구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교육 효과들[28-31]은 다양한 스마트 매체로 구성된 메이커 교육환경 즉,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 필요성에 대한 기초를 제공해 주며 이를 적극 활용하게 함으로써 메이커 정신의 중점 가치인 공유, 협업, 개방과 더불어 자기주도성, 문제해결력, 창의성 등의 능력양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메이커 교육에 관련된 여러 연구들에서 메이커 교육활동은 목표로 하는 물건을 만들어내는 과정뿐만 아니라 결과에 대한 공유를 통해서 다양한 사람들과의 협력과 소통을 중요시하므로 자기 주도적이며 협력적인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실생활과 연계성이 강하여 필요로 인한 동기유발이 강하고 학문적 교과목적 한계를 뛰어넘어 융합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게 한다는 것을 강점으로 제시하고 있다[32].
DIY(Do-it-Yourself)라고도 불리는 메이커 운동이란? 메이커(Maker)란 무엇인가를 만드는 사람으로 특별한 것을 발명하는 사람(inventor)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고 필요한 것을 만들어내는 모든 사람을 지칭하는 의미이며 DIY(Do-it-Yourself)라고도 불리는 메이커 운동은 사회적 필요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스스로 필요로 하는 물건을 만들어 내고 그 과정과 결과물을 타인들과 공유하고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현상을 말한다[3-6]. 이러한 메이커 문화의 특성들이 교육현장에서 스스로 창조해내는 인간을 양성하고자 메이커 교육으로 재정립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http://www3.weforum.org/docs/WEF_Future_of_Jobs_2018.pdf 

  2. 교육부,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 2016. 

  3. 강인애, 김홍순,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메이커 정신(Maker mindset)의 가치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250-267, 2017. 

  4. 이연승, 조경미, "유아과학교육에서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의 의미고찰,"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5권, 제4호, pp.217-241, 2016. 

  5. D. Dougherty, "The maker movement," Innovations, Vol.7, No.3, pp.11-14, 2012. 

  6. E. R. Halverson and K. Sheridan, "The maker movement in educ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Vol.84, No.4, pp.495-504, 2014. 

  7. T. Mingije, Y. Yongqu, and Y. Ping, "The influence of the maker movement on engineering and technology education," World Transactions on Engineering and Technology Education, Vol.14, No.1, pp.89-94, 2016. 

  8. 김종두, "메이커 교육의 발전과 학습효과 탐색,"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73-75, 2019. 

  9.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메이커(maker) 교육," 사학, Vol.148, pp.16-18, 2017. 

  10. 한성호, "중국 제조업 풀뿌리 혁신 '메이커 스페이스'가 이끈다," 포스코경영연구원 친디아 플러스, Vol.188, pp.54-55, 2016. 

  11.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80338 

  12. 김지윤, 이태욱, "국내 메이커 교육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발표대회논문집, 제23권, 제2호, pp.29-32, 2019. 

  13. 이승철, 전용주, 김태영, "메이커 운동의 해외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메이커 교육 도입 방향 제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발표논문집, 제21권, 제1호, pp.41-43, 2017. 

  14. 김소영, 정유진, 황연숙, "메이커 스페이스 구성 및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8권, 제1호, pp.203-206, 2016. 

  15. 강인애, 김명기, "메이커 활동의 초등학교 수업 적용 가능성 및 교육적 가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14호, pp.487-515, 2017. 

  16. 김용익, "메이커 교육 이론의 초등실과 적용 가능성 탐색," 실과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pp.39-57, 2018. 

  17. 이승철, 김태영,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2권, 제1호, pp.111-114, 2018. 

  18. 남기원, 이수연, "메이커스페이스 탐색을 통한 유아메이커 교육 고찰," 유아교육학연구, 제21권, 제6호, pp.205-228, 2017. 

  19. 조경미,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에 기반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0. J. R. Miller, Effect of makerspac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y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or perceptions of integrating technologies with ST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orth Texas, Denton, 2016. 

  21. 성은영, 최승연, "예비 유아교사 대상 메이커교육 적용이 협동학습역량과 폐기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pp.289-305, 2019. 

  22. 정순이, 김민정, "메이커교육(Maker Education)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7권, 제2호, pp.187-210, 2019. 

  23. 최진령, 이연승,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유아기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탐구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제37권, 제1호, pp.153-178, 2017. 

  24. 김지윤, 이태욱, "국내 메이커 교육의 효과성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4권, 제9호, pp.161-169, 2019. 

  25. P. Blikstein, Digital fabrication and "making" in education: The democratization of invention. In J. Walter-Herman, & C. Buching(Eds.), FabLabs: Of machines, makers, and inventors, Bielefeld, Germany: Transcript, 2013. 

  26. E. R. Halverson and K. Sheridan, "The maker movement in educ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Vol.84, No.4, pp.495-504, 2014. 

  27. M. Doorman, R. Bos, D. de Haan, V. Jonker, A. Moi, and M. Wijers, "Making and implementing a mathematics day challenges as a makerspace for teams of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Vol.17, pp.149-165, 2019. 

  28. 이홍재, 김보현, 최양미, "스마트 교육 수용 영향요인 연구-유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01-120, 2018. 

  29. 강승지, 이연선,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스마트미디어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pp.45-72, 2017. 

  30. 임명숙, 이경화,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이 창의성(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 변화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pp.67-86, 2018. 

  31. 김민경, 이정순, 유구종, "스마트기기 활용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서의 사회적 행동 및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pp.263-289, 2016. 

  32. 송기봉, 김상균, 메이커 혁명, 교육을 통합하다, 서울: 홍릉과학출판사, 2015. 

  33. I. Verenikina and J. Herrington, "Computer Play, Young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of Higher Order Thinking: Exploring the Possibilities," Transformational Tools for the 21st Century Conference, Rockhampton, pp.22-27, 2006. 

  34. K. Nikolopoulou and V. Gialamas, "ICT and play in preschool: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confid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pp.1-17, 2015. 

  35. http://www.etnews.com/20160325000167 

  36.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2011년 업무보고, 2011. 

  37. 교육과학기술부, STEAM교육 정책 설명, STEAM 리더스쿨 교사연구회 발대식 자료집, 2012. 

  38.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751926602904696&mediaCodeNo257&OutLnkChkY 

  39. 교육부,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 2016. 

  40. A. Conner, S. Karmokar, and C. Whittington, "From STEM to STEAM: Strategies for enhancing engineering & technology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Pedagogy, Vol.5, No.2, pp.37-47, 2015. 

  41. 김형자, 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2. 김민아, 김승희,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성화 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3권, 제5호, pp.65-91, 2017. 

  43. 장현지, 융합교육(steam)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조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4. 지성애, 김보라, "STEAM 교육과 누리과정 연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제20권, 제3호, pp.5-33, 2016. 

  45. T. Roffey, C. Sverko, and J. Therien, The making of Makerspace: Pedagogical and Physical Transforma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16. 

  46. 김진옥, 메이커기반 STEAM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47. 전용주, 새로운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 창의력 문제해결(CT-CPS) 수업모형의 개발 및 적용, 한국교육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8. 정유진,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방향제안," 인문사회21, 제9권, 제3호, pp.533-541, 2018. 

  49. 조향숙, 김훈, 허준영,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제2호, pp.1-43, 20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