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대면 환경에서의 메이커교육 수업 설계를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Developing A Checklist for 'Contactless Maker Education Program' Desig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5, 2021년, pp.295 - 309  

이수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강인애 (경희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정다애 (경희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급변하는 교육환경에서 메이커교육은 하나의 대안으로 논의되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하에 다양한 메이커교육이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 그러다 갑작스럽게 등장한 COVID-19로 인하여 메이커교육 역시 비대면 환경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면서 비대면 환경에서도 메이커 정신을 목표로 하는 메이커 교육으로서의 방향성을 유지하기 위한 도전이 주어지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비대면 환경에서의 메이커교육 수업설계'에 필요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함으로써, 이러한 도전에 대한 하나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비대면 학습 환경의 특징과 메이커교육의 특징을 정리하여 체크리스트의 초안을 만들고, 이를 현재 현장에서 비대면 메이커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5인의 강사들의 피드백을 받아, 체크리스트의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도 당분간 비대면 환경에서 메이커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상황에서, 메이커 정신에 입각한 메이커교육수업의 특성과 목표는 유지하면서도 비대면 학습 환경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학습 환경 및 전략 요소를 갖춘 수업으로 개발, 진행되어 메이커교육의 지속적인 진행과 확장적 적용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ker education has recently been actively practiced under strong governmental support as a nation-wide policy for innovative education, which now had to confront the unexpected challenge and crisis of 'contactless educational environments' due to COVID-19 pandemic.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메이커 정신에 입각한 메이커교육의 특성과 목표를 유지하면서도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끌어낼 수 있는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의 메이커교육 수업설계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교수 설계자가 체계적인 비대면 환경 수업 설계 및 개발된 수업을 점검할 수 있는 도구로서, 메이커 정신에 입각한 메이커교육의 목표와 특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비대면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메이커교육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우선 기존의 메이커교육 모형을 비대면 환경에 맞게 재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 비대면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필요한 체크리스트를 개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임종헌, 유경훈, 김병찬, "4 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KEDI]한국교육, Vol.44, No.3, 2017. 

  2. 윤혜진, 강인애, 강은성, "메이커교육 아웃리치 프로그램 사례: 메이커 정신 함양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Vol.35, No.2, pp.365-393, 2019. 

  3. 윤혜진, 디자인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모형 개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4. P. Blikstein, "Digital fabrication and 'making'in education: The democratization of invention," FabLabs: Of machines, makers and inventors, Vol.4, No.1, pp.1-21, 2013. 

  5. 강인애, 윤혜진,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 평가틀(Evaluation Framework)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pp.541-553, 2017. 

  6. 강인애, "DIY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환경으로서의 메이커 교육," 미디어와 교육, Vol.8, No.1, pp.6-22, 2018. 

  7. M. Hatch, The maker movement manifesto,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2014. 

  8. 안종배, "4차 산업혁명에서의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미디어와 교육, Vol.7, No.1, pp.21-34, 2017. 

  9. S. L. Martinez and G. Stager, Invent to learn. Making, Tinkering, and Engineering in the Classroom, Torrance, Canada: Construting Modern Knowledge, 2013. 

  10. 황중원, 강인애, 김홍순, "메이커 페다고지 (Maker Pedagogy) 로서 TMSI 모형의 가능성 탐색: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2, pp.166-176, 2016. 

  11. D. Dougherty, "The Maker Mindset," In M. Honey & D. E. Kanter (Eds.), Design, make, play: Growing the next generation of STEM innovators (pp.7-11), New York, NY: Routledge, 2013. 

  12. 강은성, 메이커 교육 아웃리치(outreach)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적 효과: 자유학기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3. 강인애, 최성경, "도서관 메이커 활동(Maker Activity)을 통한 메이커 정신: 사회관계성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Vol.17, No.19, pp.407-430, 2017. 

  14. P. Blikstein, S. L. Martinez, and H. A. Pang, (Eds.), "Meaningful Making: Projects and Inspirations for Fab Labs+ Makerspaces," Constructing Modern Knowledge Press, 2016. 

  15. OECD, Education Responses to Covid-19: Embracing Digital Learning and Online Collaboration, 2020. 

  16. 강인애, 김양수, 윤혜진, "메이커 교육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 대학교 사례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7, pp.253-264, 2017. 

  17. 정순원, "초중등학교의 원격수업에 관한 법령 현황 및 개선 방안, 한국교육, Vol.47, No.2, pp.53-82, 2020. 

  18. 최형미, 이동국, "COVID-19 에 따른 중등 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pp.1047-1071, 2020. 

  19. 교육부, 2020 원격수업 운영사례집, 세종: 교육부, 2020. 

  20.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pp.153-173, 2020. 

  21. 배선아,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3D 프린터 활용 발명.메이커 교육프로그램 개발 : 온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0, No.2, pp.83-100, 2020. 

  22. D. Dougherty, "The maker movement. Innovation: Technology," Governance, Globalization, Vol.7, No.3, pp.11-14, 2012. 

  23. L. Martin, "The promise of the maker movement for education," Journal of Pre-College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J-PEER), Vol.5, No.1, p.4, 2015. 

  24. P. Blikstein, "Maker movement in education: History and prospects," Handbook of Technology Education, pp.419-437, 2018. 

  25. 박예림, 강인애, 정다애, "메이커교육에 의한 참여적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사례 개발과 적용," 조형교육, Vol.74, pp.107-134, 2020. 

  26. L. A. Alea, M. F. Fabrea, R. D. A. Roldan, and A. Z. Farooqi, "Teachers' Covid-19 awareness, distance learning educati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owards institutional readiness and challe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Teaching and Educational Research, Vol.19, No.6, pp.127-144, 2020. 

  27. S. Dhawan, "Online learning: A panacea in the time of COVID-19 crisi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s, Vol.49, No.1, pp.5-22, 2020. 

  28. 최진, "개별화 교육개념의 확장적 의미 탐색," 열린교육연구, Vol.28, pp.139-161, 2020. 

  29. 계보경, 백송이, 김민송, 고동완, 김기범, COVID-19 개학 연기에 따른 초.중.고 원격학습 실태 사전조사,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30. S. Hrastinski,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e-learning," Educause Quarterly, Vol.31, No.4, pp.51-55, 2008. 

  31. 이보경,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Vol.14, pp.97-112, 2020. 

  32. 이영희, 박윤정, 윤정현, "COVID-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탐색," 열린교육연구, Vol.28, pp.211-234, 2020. 

  33. M. Dominic, S. Francis, and A. Pilomenraj, "E-learning in web 3.0," International Journal of Modern Education and Computer Science, Vol.6, No.2, p.8, 2014. 

  34. C. Hodges, S. Moore, B. Lockee, T. Trust, and A. Bond, "The difference between emergency remote teaching and online learning," Educause Review, Vol.27, 2020. 

  35. 권영애, 송영은, "학습 만족도 중심의 실시간 원격 화상교육 개선 방안 연구-한국디자인의 역사'와 '한국어 강의사례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1, pp.93-108, 2017. 

  36. H. Baber, "Determinants of Students' Perceived Learning Outcome and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during the Pandemic of COVID-19," Journal of Education and e-Learning Research, Vol.7, No.3, pp.285-292, 2020. 

  37. 남창우, 이영태, "포스트 코로나 공학교육에 대한 소고 (小考) 포스트 코로나 교육의 대전환을 위한 공학교육의 중단기적 계획," Ingenium, Vol.27, No.2, pp.31-33, 2020. 

  38. 이의재, 제성준, 윤현수, "코로나 19 펜데믹 (pandemic) 상황에서 고등학교 경력 체육 교사가 겪는 온라인 수업 실천의 어려움과 극복 전략 탐색,"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Vol.20, pp.339-362, 2020. 

  39. 홍혜주, 강인애, 이소현, "디지털 박물관 활용을 통한 학교 학습공간의 변혁적 확장," 조형교육, Vol.69, pp.123-150, 2019. 

  40. 송해덕, "미래학습을 위한 U-러닝 교수학습모델 개발," 열린교육연구, Vol.16, No.1, pp.39-56, 2008. 

  41. 방선희, "통섭의 관점에서 바라본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과 교육공학의 역할," 학습과학연구, Vol.3, No.2, pp.69-92, 2009. 

  42. 신하영, 이은화, "디지털시대 교육불평등 해소에 기반을 둔 열린교육자원 (OER) 발전방향과 가능성 탐색,"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pp.273-283, 2017. 

  43. 김진숙,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요해진 역량,' 디지털시민성," 월간 공공정책, Vol.176, pp.22-25, 2020. 

  44. A. Singh, G. Mangalaraj, and A. Taneja, "Bolstering teaching through online tools,"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Vol.21, No.3, p.299,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