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K-CBS 기반의 편측무시 정량적 평가 방법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of Unilateral Neglect based on K-CBS using Virtual Reality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20 no.1, 2020년, pp.141 - 148  

문호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정성택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뇌혈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학적 질환인 뇌졸중과 관련이 있는 편측무시(Unilateral neglect)대뇌반구의 반대측 자극에 대하여 인지 또는 반응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주로 우측 대뇌반구 손상에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편측무시에 대한 행동적 평가 척도로 사용되고 있는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Korean Catherine Bergego Scale)의 10가지 문항과 내용을 기반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이용한 콘텐츠를 구현하였다. 구현된 콘텐츠는 편측무시 환자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신체 무시, 운동성 무시, 시각 및 공간 무시, 청각 주의 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반응하는 동안의 시간과 머리 회전각을 측정함으로써 질환의 진행 정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편리한 편측무시 진단과 이를 응용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재활 훈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ilateral neglect is associated with stroke, a neurological disorder caused by cerebrovascular injury, and is a symptom of not recognizing or responding to the opposite stimulus of the cerebral hemisphere, mainly in the right cerebral hemisphere injury.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contents using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VR 콘텐츠의 장점을 활용하여 행동적 편측무시 평가도구인 K-CBS의 문항을 기반으로 기존 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및 낙상과 같은 위험을 줄이고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를 VR 콘텐츠로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한 콘텐츠들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정상인을 대상으로 HMD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시각적 정보를 좌측 시각에 대한 정보가 1/3 차단된 정도를 경도, 2/3를 중등도, 3/3을 고도로 실험군을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K-CBS의 10개 문항을 기반으로 VR 콘텐츠를 구현하여 편측 무시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먼저, 편측 무시에 대한 실험을 위해 HMD의 디스플레이에 출력은 그림 3과 같이 좌·우로 구분하여 보여주는데, 좌측의 1/3 이 가려진 정도를 경도, 2/3의 지점까지를 중등도, 3/3의 지점까지를 고도로 설정하여 평가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편측무시 환자의 수행능력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방법으로 K-CBS의 문항 기반의 HMD(HeadMounted Display; HMD)를 활용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하여, 기존 검사 시간을 좀 더 줄이고 객관적 평가를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가상현실 콘텐츠의 유용성 검증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디스플레이의 좌측에 대한 시각 정보를 실험군마다 각기 다른 정도로 제한하였을 때 이에 대한 반응속도와 수행능력이 머리 회전각과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 7번 문항은 청각 자극에 대한 편측 정도를 평가하는것으로 횡단보도 위에서 차량의 경적소리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콘텐츠이다. 사용자가 바라보는 전방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차량으로부터 울리는 경적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경적소리의 방향과 일치하는 팔을 머리 위로 들면 0점, 좌측 작은 소리에 반응하지 못할 경우 1점, 좌측 중간 소리에 반응하지 못할 경우 2점, 좌측 큰 소리에 반응하지 못할 경우 3점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측무시 평가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이와 같은 편측무시 평가 방법으로는 지필검사와 행동적 평가가 있다. 지필검사에는 선나누기, 별 지우기, 그리기, 모방하기 검사 등이 있고, 행동적 평가에는 행동적 부주의 평가(Behavioural Inattention Test; BIT), 캐서린 버지고 척도(Catherine Bergego Scale; CBS) 등이 있다.
편측무시 평가 방법으로는 지필검사와 행동적 평가가 있는데 세부 항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와 같은 편측무시 평가 방법으로는 지필검사와 행동적 평가가 있다. 지필검사에는 선나누기, 별 지우기, 그리기, 모방하기 검사 등이 있고, 행동적 평가에는 행동적 부주의 평가(Behavioural Inattention Test; BIT), 캐서린 버지고 척도(Catherine Bergego Scale; CBS) 등이 있다.
편측무시란? 편측무시(Unilateral neglect)란 감각이나 운동 능력에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손상된 대뇌반구의 반대편으로부터 주어지는 의미 있는 자극을 인지하거나 반응하는 능력에 결손을 보이는 증상으로 뇌졸중 후 자주 발생하는 인지장애로 알려져 있다[1]. 이것은 촉각, 청각, 시각과 같은 자극을 주었을 때 이것을 감지 못하거나 여기에 대한 반응이 없는 감각성 무시(sensory neglect), 팔에 마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팔(우반구 병변 경우 오른 팔)이 좌측 공간으로 향하는 운동 능력이 떨어지는 운동성 무시(motor neglect), 관찰자 중심의 조망에서 표상의 반을 생략하는 표상성 무시(representationalneglect), 자신의 팔이 자기에게 속한 것임을 인지 못하는 신체 무시(personal neglect), 병변의 반대쪽에 있는 공간을 무시하는 편측 공간 무시(unilateral spatialneglect) 등과 위에서의 여러 가지가 복합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 Philippe, J. C. Sophie & L. Jacques, "Rehabilitation of unilateral neglect: Evidence-based medicine", Annals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Vol. 60, Issue. 3, pp. 191-197, June, 2017. DOI: https://doi.org/10.1016/j.rehab.2016.10.006 

  2. Woo-Kyoung Yoo, "Subtypes of Spatial Neglect and Assessment", Brain & NeuroRehabilitation, Vol. 2, No. 1, pp. 46-50, March, 2009. DOI: 10.12786/bn.2009.2.1.46 

  3. J. H. Choi, S. W. Shin, H. S. Moon, S. J. Goo, & S. T. Chung, "Development of Measurement Method and Contents for Unilateral Neglect using Eye-tracking Techniqu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pp. Vol. 18, No. 5, pp. 187-195, 2018.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8.18.5.187 

  4. P. Cipresso, et al., "Assessment of Unilateral Spatial Neglect using a free mobile application for Italian clinicians", Frontiers in psychology 9, Vol. 9, pp. 1-11, Nov, 2018. DOI: 10.3389/fpsyg.2018.02241 

  5. A. Hartman-Maeir & N. Katz, "Validity of the Behavioral Inattention Test (BIT): relationships with functional task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49, Issue. 6, pp. 507-516, June, 1995. DOI: 10.5014/ajot.49.6.507 

  6. P. Chen, K. Hreha, P. Fortis, K. M. Goedert & A. M. Barrett, "Functional assessment of spatial neglect: a review of the Catherine Bergego Scale and an introduction of the Kessler Foundation Neglect Assessment Process",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Vol. 19, Issue. 5, pp. 423-435, Sep, 2012. DOI: 10.1310/tsr1905-423 

  7. Eun-Young Heo, Hyuk-Cheol Kwon & Ki-Cheol Hwang, "The Comparison Between CBS and Pencil and Paper Test in Patients With Unilateral Neglect"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Vol. 2, No. 1, pp. 48-56, 2013. 

  8. C. L. S. Marques, et al., "Validation of the Catherine Bergego Scale in patients with unilateral spatial neglect after stroke", Dementia & neuropsychologia, Vol. 13, No. 1, pp. 82-88, 2019. DOI: 10.1590/1980-57642018dn13-010009 

  9. B. Y. Lee, H. Y. Choi & S. J. Ha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Catherine Bergego Scale for Evaluation of Unilateral Neglect in Stroke Patients",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3, No. 2, No. 4-6, pp. 45-56, 2015. DOI: 10.14519/jksot.2015.23.2.04 

  10. P. Azouvi, P. Bartolomeo, J. M. Beis, D. Perennou, P. Pradat-Diehl & M. Rousseaux, "A battery of tests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unilateral neglect",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Vol. 24, pp. 273-285, June, 2006. 

  11. J. H. Kim, et al., "Virtual Environment Training System for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with Unilateral Neglect: Crossing the Virtual Street", Cyber Psychology, Vol. 10, No. 1, pp. 7-15, 2007. DOI: 10.1089/cpb.2006.9998 

  12. Y. M. Kim, M. H. Chun, G. J. Yun, Y. J. Song & H. E. Young,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training on unilateral spatial neglect in stroke patients",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35, No. 3, pp. 309-315, 2011. DOI: 10.5535/arm.2011.35.3.309 

  13. T. Ogourtsova, P. S. Archambault & A. Lamontagne, "Post-stroke unilateral spatial neglect: virtual reality-based navigation and detection tasks reveal lateralized and non-lateralized deficits in tasks of varying perceptual and cognitive demands",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Vol. 15, No. 34, 2018. DOI: 10.1186/s12984-018-0374-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