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 폄근 진동 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균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eck Extensor Vibration Stimulation on Neglect and Balance of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1, 2020년, pp.303 - 309  

김지훈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목 폄근 진동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 선정 기준에 맞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통적인 작업치료와 목 폄근 진동자극을 중재한 실험군 10명, 전통적인 작업치료와 편측무시 치료를 중재한 대조군 10명으로 나누어 30분씩, 주 5회, 총 8주에 걸쳐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편측무시와 균형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본 결과를 통하여 목 폄근 진동자극은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균형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재활치료에서 유용하게 적용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ck extensor vibration stimulation on neglect and balance of stroke patients. Patients diagnosed with stroke were selected according to select the study target, 10 patients with experimental group with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neck ext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편측무시는 뇌 병변 반대측 공간으로의 지각과 표상에 문제가 나타나는 증상으로 뇌졸중의 환자의 기능적 예후에, 편마비 증상보다 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치료가 중요하다[23]. 따라서 본 연구는 편측무시 감소를 위한 중재 중 하나인 목 폄근 진동 자극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 근육이나 건의 진동자극은 감각신경 경로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근방추를 자극하여 근수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17]. 본 연구에도 진동자극을 통하여 공간 탐색능력과 함께 효율적인 근수축으로 인하여 균형 능력이 향상되었으리라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편측무시 정도가 감소되었고, 균형 점수가 향상되었다.
  • 방법은 20x26cm 크기의 평가용지에 1 inch 길이의 선 40개의 모든 선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이때 무시한 선의 개수가 많을수록 편측무시가 심각함을 뜻한다. 왼쪽에 2열, 가운데에 2열, 오른쪽에 2열에서 무시한 선의 개수를 각각 파악함으로써 편측무시를 파악할 수 있으며[6],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를 평가하기 위하여, 전체 40개의 선 중 무시한 선의 개수를 결과 값으로 측정하였다.
  • 하지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목 폄근 진동자극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며, 더욱이 목 폄근 진동 자극이 균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목 폄근 진동 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균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목 폄근 진동을 중재한 실험군은 전통적인 편측무시 치료를 중재한 대조군보다 균형이 향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 V. Radomski & C. A. Trombly (2014).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7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2. K. M. Heilman, E. Valenstein & R. T. Watson (2000). Neglect and related disorders. Seminars in Neurology, 20(4), 463-470. DOI:10.1055/s-2000-13179 

  3. J. H. Park (2015). Effect of robot-assisted left hand training on unilateral neglect in patients with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2), 117-127. DOI: 10.14519/jksot.2015.23.2.10 

  4. J. H. Kim, H. C. Kwon, H. Kim & Y. N. Cho (2013). Effects of contralesional neck extensor muscle vibration on neglect and ability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2(2), 341-358. 

  5. G. Rode, C. Tiliket & D. Boisson (1997). Predominance of postural imbalance in left hemiparetic patients.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9(1), 11-16. 

  6. T. W. Kang & D. W. Oh (2018). Effect of dynamic trunk equilibrium exercise on neglect, bal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with hemi-spatial neglect. Physical Therapy Korea. 25(2), 30-43. DOI: 10.12674/ptk.2018.25.2.030 

  7. J. Marshall & I. Robertson (2013). Unilateral neglect: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Ease Sessex. Lawrence Erlbaum Associates Ltd. 

  8. R. Dickstein, M. Nissan, T. Pillar & D. Scheer (1984). Foot-ground pressure pattern of standing hemiplegic patients. Major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improvement. Physical Therapy, 64(1), 19-23. DOI: 10.1093/ptj/64.1.19 

  9. D. J. Lee & W. H. Lee (2009). The effects of visual feedback training on balance and visual perception in stroke 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9(2), 154-160. 

  10. G. Kerkhoff (1998). Rehabilitation of visuospatial cognition and visual exploration in neglect: a cross-over study.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12(1), 27-40. 

  11. P. W. Rossi, S. Kheyfects & M. J. Reading (1990). Fresnel prisms improve visual perception in stroke patients with homonymous hemianoppia or unilateral visual neglect. Neurology, 40(10), 1597-1599. DOI: 10.1212/wnl.40.10.1597 

  12. M. H. M. Tsang, K. H. Sze & K. N. K. Fong (2009). Occupational therapy treatment with right half-field eye-patching for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nd unilateral neglec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1(8), 630-637. DOI:10.1080/09638280802240621 

  13. J. S. Webster, P. T. Mcfarland, L. J. Rapport, B. Morrill, L. A. Roades & P. S. Abadee (2001). Computer-assisted training for improving wheelchair mobility in unilateral neglect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2(6), 769-775. DOI:10.1053/apmr.2001.23201 

  14. I. H. Robertson & N. T. North (1993). Active and passive activation of left limbs: influence on visual and sensory neglect. Neuropsychologia, 31(3), 293-300. DOI:10.1016/0028-3932(93)90093-f 

  15. L. Bollea, G. D. Rosa, A. Gisondi, P. Guidi, M. Pertrarca, P. Giannarelli & E. Castelli (2007). Recovery from hemiparesis and unilateral spatial neglect after neonatal stroke: Case report and rehabilitation of an infant. Brain Injury, 21(1), 81-91. DOI:10.1080/02699050601148882 

  16. H. O. Karnath, K. Christ & W. Hartje (1993). Decrease of contralateral neglect by neck muscle vibration and spatial orientation of trunk midline. Brain, 116(2), 383-396. DOI:10.1093/brain/116.2.383 

  17. J. H. Park & J. H. Park (2016). The effects of vibration stimulation on unilateral neglect in patients after a stroke: a single-subject desig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1), 15-25. DOI: 10.14519/jksot.2016.24.1.02 

  18. L. Johannsen, H. Ackermann & H. O. Karnath (2003). Lasting amelioration of spatial neglect by treatment with neck muscle vibration even without concurrent training.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5(6), 249-253. DOI:10.1080/16501970310009972 

  19. K. Kamada, M. Shimodozono, H. Hamada & K. Kawahira (2011). Effects of 5 minutes of neck-muscle vibration immediately before occupational therapy on unilateral neglect.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3,(23-24), 2322-2328. DOI:10.3109/09638288.2011.570411 

  20. I. Schindler, G. Kerkhoff, H. Karnath, I. Keller & G. Goldenberg (2002). Neck muscle vibration induces lasting recovery in spatial neglect.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73(4), 412-419. DOI:10.1136/jnnp.73.4.412 

  21. J. H. Kim (2019). The effects of art and craft activities on anxiety and stress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1), 251-258. DOI: 10.14400/JDC.2019.17.11.251 

  22. D. J. Lee, S. Y. Kim & C. H. Song (2009).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balance test, functional movement, visual perception test and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1(1), 39-45. 

  23. E. H. Jung, B. R. Kim & J. M. Lee (2016). Relationship between comorbid cognitive impairment and functional outcomes in stroke patients with spatial neglect. Brain & NeuroRehabilitation, 9(1), 37-47. DOI:10.12786/bn.2016.9.1.37 

  24. S. H. Jeon (2018). Effects of vibration stimulation therapy on neglect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2(2), 87-95. 

  25. C. H. Na, S. M. Jung & W. H. Choi (2019). The effects of repeated vibration stimulation on wrist and elbow flexor muscle on hand dexterity, grip strength and activity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Neurotherapy, 23(2), 27-33. DOI: 10.17817/2019.06.05.111415 

  26. H. O. Karnath, E. Reich, C. Rorden, M. Fetter & J. Driver (2002). The perception of body orientation after neck-proprioceptive stimulation. Experimental brain redearch, 143(3), 350-358. DOI: 10.1007/s00221-001-0996-2 

  27. M. A. Lebedev & A. V. Polyakov (1992). Analysis of surface EMG of human soleus muscle subjected to vibration.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2(1), 26-35. 

  28. B. J. Beck (2015). The effects on strength, balance and mobility when combing whole body vibration and traditional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Windsor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9. K. Y. Choi, H. Y. Jeong & G. C. Maeng (2017). The effect of the PNF pattern combined with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strength,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stroke hemiplegia. PNF and Movement, 15(2), 185-194. DOI: 10.21598/JKPNFA.2017.15.2.18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