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서 메타인지, 학습몰입, 문제해결력 관계
The Relations of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Online Classes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13 no.6, 2020년, pp.597 - 604  

전은주 (Department of Nursing, Kangwon Tourism College) ,  김수은 (Department of Nursing, Andong Science Colleg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학습몰입,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G시 소재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2, 3학년 재학생 8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분석방법은 SPSS version WIN 23.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몰입과 문제해결력의 차이는 학습이후 간호사에 대한 인식과 간호학과 입학동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력은 메타인지와 학습몰입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메타인지와 학습몰입이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론은 간호교육에서 온라인 수업으로의 변화 속에 문제해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학습몰입과 메타인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메타인지와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교육방법의 변화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본 연구가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narra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on the subje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class, an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problem solving ability, 88 students enrolled in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학습몰입, 문제해결력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서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온라인 수업을 하고 있는 일 지역 간 호대학생의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서 메타인지와 학습몰입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G시 소재 대학의 간호대학생 2, 3학년 88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개학과 함께 시작된 온라인 수업에서 일 지역 간호대학생들의 메타인지, 학습몰입,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Covid-19 이후 사회 전반에 걸친 패러다임의 큰 전환 속에서 특히, 간호교육에서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 방법과 전략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WHO, Corona 19 global 'pandemic' declaration[Internet]. Health Chosun; 2020 [2020 년 3월 12 일 Quotation]. Available from: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12/2020031201240.html 

  2. H. J. Park,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online classes in the non-face - to-face era", KISO journal, Vol. 40, pp. 35-38, 2010. Available from: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446009. 

  3. S. H. Ahn, "A Study of Limitation to College Music Education Due to COVID-19 and a Proposal for UNTACT Learning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Korean Society of Culture Industry, Vol. 20, no. 3, pp. 105-115, 2020. 

  4. C. Y. Kim, K. H. Lee, "The effects of online creativity class on improving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13, no. 3, pp. 1-31, 2015. 

  5. N. Y. Kim, "Effects of Online Blended Learning-based Nursing Diagnosis Course in Under graduate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8, no. 5, pp. 2,843-2,855, 2016. 

  6. M. H. Kang, Y. H. Song, S. H. Park, "Relationships among Metacognition, Flow, Interaction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Web-based Problem Base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Vol. 12, no. 2, pp. 293-315, 2008. 

  7. S. Jeong,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Metacognition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2007. 

  8. C. J. Kim, Y. H. Ahn, M. W. Kim, Y. O. Jeong, J. H. Lee, "Development of Standards and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a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Program:Reflections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Nursing Profession", J Korean Acad Nurs, Vol. 36. no. 6, pp. 1002-1011, 2006. 

  9. H. J. Park, H. J. Kwean,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on, flow, and mathematic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ol 13, (2), pp. 205-224, 2010. 

  10. Y. J. Oh and H. Y. Kang,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imulation Learning," Kibon Kanho Hakhoe Chi, vol. 20, no. 3, pp. 239-247, 2013. 

  11. Pintrich, P. R., Smith, D. A., Garcia, T. & McKeachie, W. J., A manue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SLQ). The Regent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1991. 

  12. W. M. Yi, "Effect of metacognition and flow level in learning through educational computer game on problem solving ability." Master's Thesi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2004. 

  13. I. B. Suk, E. C. Kang,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earning Flow Scal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3, no. 3, pp. 121-154, 2007. 

  14. J. H. Lee,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metacogn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and school achievement", Doctoral Thesis, Chungbuk University, 2009. 

  15. Heppner, P. P., Petersen, C. H., "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29, no. 1, pp. 66-75, 1982. 

  16. I. S. Jung, "A Convergence Study on Aware ness of Pediatric Nurses and Nursing Prospects among Nursing Students after Pediatric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9, no. 6, pp. 26-34, 2019. 

  17. Y. L. Chung, S. O. Kim, "Analysis of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in Science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vol. 16, no. 1, pp. 125-144, 2012. 

  18. S. O. Lee, M. H. Suh, "A Study on Interaction Pattern, Learning Attitude, Task Performance by Meta-cognitive Level in Web-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2, pp. 323-331, 2012. 

  19. S. E. Jang, S. Y. Kim, N. H. Park, "Factors Influencing Metacogni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 ol. 25, no. 4, pp. 448-458, 2019. 

  20. P. W. Stewart, S. S. Cooper, L. R. Moulding, "Metacognitive development in professional educators." The Researcher vol. 21, no. 1, pp. 32-40, 2007. 

  21. Y. H. Song, "Identifying Predicting Variables of the learning flow and the procrastination in University e-Learning,"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vol. 8, no. 1, pp. 113-135, 2012. 

  22. Y. J. Son, Y. A. Song, "Effects of Simulation and Problem-Based Learning Courses on Student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1, pp. 43-52, 2012. 

  23. W. S. Lee, K. C. Cho, S. H. Yang, S. Y. Roh, G. Y. Le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6, no. 1, pp. 64, 2009. 

  24. A. K. Chung, M. J. Maeng, S. H. Yi, N. Y. Kim, "The effects of meta-cognition, problem-solving ability, learning flow of the college engineering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 47, no. 2, pp. 73-81, 2010. 

  25. H. Y. Kim, M. S. Kim, H. C. Jeong, "Effect of Smart PBL on Meta-cogni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Practice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Taki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and Applying Flipped Learning PDF ico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 8, no. 1, pp. 57-67, 2020. 

  26. R. Kum, I. S. Seo, T. H. Kim, S. W. Han, M. S. Kim, "The effects of creative teaching technique applied to nursing major curriculum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elf leadership",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10, no. 3, pp. 373-382, 2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