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토노각플러스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및 항미생물 효능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Hoangtonogak Plus Extrac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2, 2020년, pp.183 - 190  

조준희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용예술학과) ,  이지안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용예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황토노각플러스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를 통해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황토노각 플러스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DPPH/ABTS 라디컬 소거능 활성 및 FRAP 분석, 세포 생존율은 MTT assay, 항염증 효과는 nitric oxide(NO) 생성억제 및 iNOS 단백질 발현 수준, 항균 효과는 총 3종 균주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한천 확산법을 측정하였다. 메탄올추출물(MN)과 열수추출물(WN)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92±0.01 mgGAE/g, 1.67±0.02 mgGAE/g로 나타났다. MN 추출물의 DPPH, ABTSFRAP 값은 모든 농도에서 WN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RAW264.7 세포에 대한 두 추출물의 세포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더욱이 1 mg/mL농도에서 MN과 WN 추출물의 NO 생성량은 11.69 μM과 20.4 μM로 측정되었으며, MN 추출물의 iNOS 단백질 발현 수준은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또한 MN 추출물은 S. epidermidis 균주에서만 항균효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황토노각플러스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 항균효능을 지닌 천연물질 후보로써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Hoangtonogak Plus extracts as a bioactive ingredients for cosmetic products. Methanol(MN) and hot-water(WN) extracts were analysed by DPPH/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AP value for anti-oxidant activity, MTT assay for cell viability, inhibition of NO pr...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에서는 건조된 황토노각플러스의 껍질과 과육을 실험소재로 하여 다양한 성분의 추출이 가능하고, 추출 후 분리 정제 가용이 하여 식물체의 생리활성 물질 추출에 유기용매로써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메탄올과 추출 시 유기용매와 달리 독성 잔존 가능성이 없는 정제수, 두 가지 용매를 사용하여 각 황토노각플러스 추출물의 항산화, 세포 안전성, 항염, 항균 등을 포함한 생리활성을 비교·평가하였다. 또한 이러한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의 분리 및 규명을 통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미용제품 개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황토노각플러스는 국립종자원에 등록된 (등록번호 5288) 신품종을 이용하여 천연 화장품 원료로서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메탄올 또는 정제수두 가지 용매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세포 안전성, 항염,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 Gao, M. S. Islam, J. Tian, V. w Y. Lui & D. Xiao. (2014). Inactivation of ATP citrate lyase by cucurbitacin B: A bioactive compound from cucumber, inhibits prostate cancer growth. Cancer Letters, 349(1), 15-25. DOI : 10.1016/j.canlet.2014.03.015 

  2. J. W. Kim, E. S. Park & S. Yoon, (1985). Characteristics of ascorbic acid oxidase in cucumber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18(4), 312-317. 

  3. J. Tang, X. Meng, H. Liu, J. Zhao, L. Zhou, M. Qiu, X. Zhang, Z. Yu & F. Yang. (2010). Antimicrobial activity of sphingolipids isolated from the stems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Molecules, 15, 9288-9297. DOI : 10.3390/molecules15129288 

  4. D. Kumar, S. Kumar, J. Singh, Narender, Rashmi, B. D. Vashistha, N. Singh. (2010).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algesic activities of Cucumis sativus L. fruit extract. Journal of Young Pharmacists, 2(4), 365-368. DOI : 10.4103/0975-1483.71627 

  5. H. Kai, J. Baba & T. Okuyama. (2008). Inhibitory effect of cucumis sativus on melanin production in melanoma B16 cells by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expression. Planta Medica, 74, 1785-1788. DOI : 10.1055/s-0028-1088338 

  6. N. K. Nema, N. Maity & B. Sarkar. (2011). Cucumis sativus fruit-potential antioxidant, anti-hyaluronidase, and anti-elastase agent. Archives Dermatological Research. 303, 277-252. DOI : 10.1007/s00403-010-1103-y 

  7. N. S. gill, M. Garg, R. Bansal, S. Sood, a. Muthuraman, M. Bali and P. D. Sharma. (2009).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ulcer potential of Cucumis sativum L. seed extract in rats. Asi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3), 131-138. DOI: 10.3923/ajcn.2009.131.138 

  8. N. muruganantham, S. Solomon & M. M. senthamilselvi. (2016).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ucumis sativus(cucumber) flower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and Research, 7(4), 1740-1745. DOI: 10.13040/IJPSR.0975-8232.7(4).1740-45 

  9. J. H. Kim, J. J. Kim, H. K. Oh, M. J. Chang & S. H. Kim. (2007). Seasonal variation of mineral nutrients in korean common fruits and vegetables.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7(6), 860-875 

  10. S. W. Par, J. W. Lee, Y. C. Kim, K. Y. Kim, J. H. Hong, M. R. Lee & S. J. Hong. (2004). Relationship between physicochemical quality attributes and sensory evaluation during fruit maturation of cucumber.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2(2), 177-182. 

  11. S. A. Kim, S. S. Chun & J. H. Lee. (2015). Physicochemical analyses and korean consumers' acceptability of environment-friendly and conventionally grown cucumber.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8(6), 1071-1081. DOI : 10.9799/ksfan.2015.28.6.1071 

  12. S. Y. Yang, H. G. Kim, S. J. Lee, W. M. Cha, C. H. Ahn & H. O. Boo. (2013). Comparison of the antioxidative abilities of greenhouse-grown cucumber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th stage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6(5), 548-556. DOI : 10.7732/kjpr.2013.26.5.548 

  13. H. Kim & H. Chung. (2017). Comparison of nutrient content and retention rate among bhaichung cucumber, white dadagi cucumber, and yellowish overripe cucumber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6(11), 1350-1357. DOI : 10.3746/jkfn.2017.46.11.1350 

  14. M. S. Blois. (1958, April).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5. N. Fellegrini, R. Ke, M. Yang & C. R. Evans. (1999).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nthylenebenzothiazoline-6-sulfo 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s in Enzymology, 299, 379-389. DOI : 10.1016/S0076-6879(99)99037-7 

  16. I. F. Benzie & J. J. Strain.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FRAP) as measurement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ytical Biochemistry, 239, 70-6. DOI : 10.1006/abio.1996.0292 

  17.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3 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pp. 376-384). Washington D.C, USA. 

  18. A. Murakami, M. Nakashima, T. Koshiba, T. Maoka, H. Nishino, M. Yano, T. Sumida, O. K. Kim, K. Koshimizu & J. Ohigashi. (2000). Modifying effects of carotenoids on superoxide and nitric oxide generation from stimulated leukocytes. Cancer Letters, 149, 115-123. DOI : 10.1016/s0304-3835(99)00351-1 

  19. Y. Wang, E. S. Kim & J. A. Lee. (2018). The study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otoginseng root(NGR) hot water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5), 1014-1020. 

  20. E. A. Shalaby & S. M. M. Shanab. (2013). Comparison of DPPH and ABTS assays of determining antioxidant potential of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Spirulina platensis. Indian Journal of Geo-Marine Sciences, 42(5), 556-564. 

  21. C. Kaur & H. C. Kapoor. (2002).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some asian vegetables.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7, 153-161. DOI : 10.1046/j.1365-2621.2002.00552.x 

  22. P. Shah & H. A. Modi. (2015). Comparative study of DPPH, ABTS and FRAP assays for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International Journal for Research in Applied Science & Engineering Technology (IJRASET), 3(VI), 636-641. 

  23. I. M. Abu-Reidah, d. Arraez-Roman, R. Quirantes-Pine, S. Fernandez-Arroyo, a. Segura-Carretero & A. Fernandez-Guiterrez. (2012). HPLC-ESI-Q-TOF-MS for a comprehensive characterization of bioactive phenolic compounds in cucumber whole fruit extract. Food Research International, 46(1), 108-117. DOI : 10.1016/j.foodres.2011.11.026 

  24. U. M-M Agatemor, O. F. C. Nwodo & C. A. Anosike. (2015).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ucumis sativus L. British Journal of Pharmaceutical Research, 8(2), 1-8. DOI : 10.5352/JLS.2008.18.4.467 

  25. S. H. Chumg & S. H. Moon. (2001). Antimutagenic and antimicrobial effect of cucumber (Cucumis sativus)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0(6), 1164-1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