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 실패상황에서 서비스종업원지원인식과 고객침묵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ervice Employee Support and Customer Silence in Failure Situatio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2, 2020년, pp.256 - 265  

김상희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실패상황에서 서비스종업원지원인식이 고객의 부정적 침묵인 방어적 침묵체념적 침묵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러한 부정적 침묵이 고객의 관계유지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자 한다. 조사대상은 일반소비자로 하였으며 최종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220부이다.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실패상황에서 서비스종업원의지원은 고객의 방어적 침묵과 체념적 침묵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체념적 침묵은 관계유지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방어적 침묵은 관계 유지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념적 침묵은 방어적 침묵보다 관계유지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체념적 침묵이 방어적 침묵보다 더 좋지 못한 침묵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객의 말이 아닌 고객의 침묵을 통해 침묵속에 다양한 동기가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고객침묵으로 인해 나타나는 부정적 결과, 그리고 이러한 침묵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고객의 침묵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erceived service employee support on customer's negative silence, defensive silence and acquiescent silence, and the effects of such negative silence on relationship retention intention.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negative effects of customer's neg...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진행되었다. 가장 최근에 실패한 경험을 떠올리게 한 후 그 상황을 간략히 기록하게 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패경험을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 첫째, 고객의 종업원지원인식과 고객침묵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고객침묵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소로 종업원지원인식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고객침묵의 감소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둘째, 고객침묵과 관계유지의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둘째, 고객침묵과 관계유지의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고객침묵이 단순히 침묵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기업과의 관계유지의도에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셋째, 부정적 고객침묵인 방어적, 체념적 침묵이 관계유지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고객침묵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소로 종업원지원인식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고객침묵의 감소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둘째, 고객침묵과 관계유지의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고객침묵이 단순히 침묵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기업과의 관계유지의도에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 침묵관련연구들은 침묵의 유형 중에서 방어적, 체념적 침묵이 친사회적 침묵보다 더 기업에 더 큰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였다[22, 25]. 따라서 본 연구는 부정적 영향의 정도가 큰 방어적 침묵과 체념적 침묵을 중심으로 이를감소시킬 수 있는 요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지금까지 고객의 침묵에 대한 연구는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침묵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찰은 간과되어 왔다. 본 연구는 고객침묵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며 고객침묵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소로서 종업원지원인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인사조직연구에서 상사지원인식은 상사가 조직구성원들에게 가치 있는 도움과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는 인식을 의미한다[4, 5].
  •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상황에서 서비스종업원지원인식과 방어적, 체념적 침묵, 그리고 관계유지의도의 관계를 검토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서비스 실패상황에서 서비스종업원지원인식은방어적 침묵과 체념을 침묵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로 인해 서비스접점에서 서비스제공자가 고객에게 관심을 보이는지, 고객의의견을 잘 경청하는지와 같은 지원에 대한 고객인식은실패상황에서 고객으로 하여금 침묵할 가능성을 낮추게 된다. 본 연구는 서비스접점에서 서비스종업원의 역할은 어떠한 상황에서든 중요하며 학문적, 그리고 실무적 관점에서 이들이 가지는 영향력을 재검증할 수 있는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넷째, 서비스접점에서 종업원의 역할의 중요성은 다양한 관련연구들에서 제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서비스접점에서 서비스종업원지원과 고객침묵의 관계를 통해서비스종업원의 중요성을 재검토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서비스접점에서 종업원은 기업의 최일선에서 기업을 대표하여 고객과 접촉하며 이들의 서비스질은 고객만족과 구매의도를 결정하며, 차후의 재방문의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 고객침묵이 단순히 침묵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기업과의 관계유지의도에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셋째, 부정적 고객침묵인 방어적, 체념적 침묵이 관계유지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어떠한 침묵이 더 부정적이며 더 관리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셋째, 부정적 고객침묵인 방어적, 체념적 침묵이 관계유지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어떠한 침묵이 더 부정적이며 더 관리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의 종업원지원인식과 고객침묵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고객침묵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소로 종업원지원인식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고객침묵의 감소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상황에서 고객의 부정적침묵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고객침묵을 이해할 수 있는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그동안 마케팅은 침묵보다 고객의 말에 더 중점을 두어왔다.

가설 설정

  • 고객의 경우 실패상황에서 방어적 침묵을 선택하는 이유는 표현으로 인해 겪게 될 체면손상, 불이익, 입장난처, 타인의 좋지 않은 시선들로부터 고객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둘째, 체념적 침묵 (acquiescent silence)이다. 비관적 동기에 의한 침묵으로 비록 자신이 의견을 제시한다하더라도 어떠한 변화도 없을 것이라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 고객의 경우 실패상황에서 의견을 제시한다하더라도 자신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며, 더 나아지리라고 기대하지 않고, 개선될 가능성이 낮다는데에 따른 침묵이다. 셋째, 친사회적 침묵(prosocial silence)이다. 이타적이며 협력적동기에 의한 침묵이다.
  • [22]. 첫째, 방어적 침묵(defensive silence)이다. 자기보호적 침묵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했을 경우 받게 될부정적 결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침묵이다 [23-2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V. Mittal, J. W. Huppertz & A. Khare. (2008). Customer Complaining: The Role of Tie Strength and Information Control. Journal of Retailing, 84(2), 195-204. DOI : 10.1016/j.jretai.2008.01.006 

  2. F. J. Milliken & E. W. Morrison. (2003). Shades of Silence: Emerging Theme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on Silence in Organization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0(6), 1563-1568. 

  3. H. S. Chung, H. K. Ha, & D. G. Park. (2010).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Silence on Turnover Intention: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rough Organizational Cynicism.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3(1), 89-104. DOI : 10.1111/1467-6486..00391 

  4. T. W. Ng & K. L. Sorensen, (2008). Toward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s of Support and Work Attitudes: A Meta-Analysis.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33(3), 243-268. DOI : 10.1177/1059601107313307 

  5. S. M. Conchie, S. M., P. J. Taylor, & I. J. Donald. (2012). Promoting Safety Voice with Safety-Specif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Mediating Role of Two Dimensions of Trust.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7(1), 105-115. DOI: 10.1037/a0025101 

  6. S. M. Conchie, S. M., P. J. Taylor, & I. J. Donald. (2012). Promoting Safety Voice with Safety-Specif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Mediating Role of Two Dimensions of Trust.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7(1), 105-115. DOI: 10.1037/a0025101 

  7. T. M. Probst, L. Petitta, C. Barbaranelli & C. Austin. (2020). Safety-Related Moral Disengagement in Response to Job Insecurity: Counterintuitiv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and Supervisor Support. Journal of Business Ethics, 62(2), 343-358 

  8. R. P. Settoon, N. Bennett & R. C. Liden. (1996). Social Exchange in Organization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Leader-Member Exchange, and Employee Reciproc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3), 219-227. DOI : 10.1037/0021-9010.81.3.219 

  9. S. Y. Chou & T. Chang. (2020). Employee Silence and Silence Antecedents: A Theoretical Classif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57(3), 401-426. DOI : 10.1177/2329488417703301 

  10. A. K. Jain. (2015). An Interpersonal Perspective to Study Silence in Indian Organizations: Investigation of Dimensionality and Development of Measures. Personnel Review, 44(6), 1010-1036. DOI : 10.1108/PR-12-2013-0220 

  11. A. R. Jo & T. Y. Yo. (2014). The Mediating Effect of Silence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Employe Silence Behavior,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and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7(2), 291-315. 

  12. H. S. Chung, H. K. Ha & D. G. Park. (2010).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Silence on Turnover Intention: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rough Organizational Cynicism.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3(1), 89-104. 

  13. J. R. Detert & A. C. Edmondson. (2011). Implicit Voice Theories: Taken-for-Granted Rules of Self-Censorship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4(3), 461-488. DOI : 10.5465/AMJ.2011.61967925 

  14. J. J. Kish-Gephart, J. R. Detert, L. K. Trevino, & A. C. Edmondson. (2009). Silenced by Fear: The Nature, Sources, and Consequences of Fear at Work.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29(August), 163-193. DOI : 10.1016/j.riob.2009.07.002 

  15. C. T. Brinsfield. (2013). Employee Silence Motives: Investigation of Dimensionality and Development of Measur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4(5), 671-697. DOI : 10.1002/job.1829 

  16. M. N. Aeen, R. Zarei, & H. Z. Matin. (2014). Do the Organizational Rumors Emphasiz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Silence over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Social Issues & Humanites, 2(1), 8-93. 

  17. D. Y. Go, J. S. Kang, & G. G. Kim. (2015). A Study on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ilenc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24(1), 223-261. 

  18. M. Vakola & D. Bouradas. (2005).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Silence: An Empirical Investigation. Employee Relations, 27(5), 441-458. DOI: 10.1108/01425450510611997 

  19. J. J. Brown & P. H. Reingen (1987). Social Ties and Word-of-Mouth Referral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3), 350-362. DOI:10.1086/209118 

  20. N. J. Fast., E. R. Burris, & C. A. Bartel. (2014). Managing to Stay in The Dark: Managerial Self-Efficacy, Ego Defensiveness, and The Aversion to Employee Voi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7(4), 1013-1034. DOI:10.5465/amj.2012.0393 

  21. F. J. Milliken, E. W. Morrison & P. F. Hewlin. (2003). An Exploratory Study of Employee Silence: Issues that Employee Don't Communication Upward and Why.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0(6), 1453-1476. DOI:10.1111/1467-6486.00387 

  22. L. Van Dyne, S. Ang & I. C. Botero. (2003). Conceptualizing Employee Silence and Employee Voice as Multidimensional Construct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0(6), 1359-1392. DOI:10.1111/1467-6486.00384 

  23. S. J. Ashford & L. L.. Cumming. (1983). Feedback as An Individual Resource: Personal Strategies of Creating Inform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3) 370-398. DOI:10.1016/0030-5073(83)90156-3 

  24. E. W. Morrison & F. J. Milliken. (2000). Organizational Silence: A Barrier to Change and Development in Pluralistic World.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4), 706-725. DOI:10.5465/amr.2000.3707697 

  25. C. C. Pinder & K. P. Harlos. (2001). Employee Silence: Quiescence and Acquiescence as Responses to Perceived Injustice, Greenwich, CT: JAI Press. DOI:10.1016/S0742-7301(01)20007-3 

  26. B. R. Schlenker & M. F. Weigold. (1989). Self-Identification and Accountability, Impression Management in the Organization, Hillsdale, 21-43. 

  27. H. Levinson. (1965). Recipro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9(4), 370-390. DOI:10.2307/2391032 

  28. H. S. Chung. (2013). Discrimination between Silence and Voice Behavior in Measurement and the Incremental Validity.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9(1), 1-17. 

  29. J. B. DeConinck & J. T. Johnson. (2009). The Effects of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Turnover among Salespeople. Journal of Personal Selling and Sales Management, 29(4), 333-351. DOI:10.2753/PSS0885-3134290403 

  30. K. T. Dirks & D. L. Ferrin. (2002). Trust in Leadership: Meta-Analytic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4), 611-628. DOI:10.1037/0021-9010.87.4.611 

  31. S. Y. Jung & J. Y. Yoo. (2018).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Employee Silence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an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31(2), 433-457. 

  32. J. B. Mayson, M. L. Mayer, & H. F. Ezell (1988), Retailing, Plano, TX : Business Publications Inc. 

  33. P. Holland, B. Cooper & C. Sheehan. (2017). Employee Voice, Supervisor Support, and Engagement: The Mediating Role of Trust. Human Resource Management, 56(6), 915-929. DOI:10.1002/hrm.21809 

  34. S. Tangirala & R. Ramanujam. (2012). Ask and You Shall Hear (But not Alway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 Consultation and Employee Voice. Personnel Psychology, 65(2), 251-282. DOI : 10.1111/j.1744-6570.2012.01248.x 

  35. R. Eisenberger, R. Huntington, S. Hutchinson & D. Sowa. (198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3), 500-507. 

  36. J. M. Thompson. (1995). Silencing The Self: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Close Relationship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19(3), 337-353. 

  37. C. T. Brinsfield, M. Edwards & J. Greenberg. (2009). Voice and Silence in Organizations: Historical Review and Current Conceptualizations. in Voice and Silence in Organizations, J. Greenberg and M. Edwards, eds., UK: Emerald Group Publishing, 3-33. 

  38. A. T. Dedahanov & J. Rhee. (2015).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rust, Sil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anagement Decision, 53(3), 1843-1857. DOI : 10.1108/MD-02-2015-0041 

  39. H. P. Madrid, M. G. Patterson & P. I. Leiva. (2015). Negative Core Affect and Employee Silence: How Differences in Activation, Cognitive Rumination, and Problem-Solving Demands Matt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00(6), 1887-1898. 

  40. E. W. Morrison. (2014). Employee Voice and Silence. Annual Review of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Organizational Behavior, 1(1), 173-197. DOI : 10.1146/annurev-orgpsych-031413-091328 

  41. M. Knoll & R. van Dick (2013). Do I Hear the Whistle? A First Attempt to Measure Four Forms of Employee Silence and Their Correlates. Journal of Business Ethics, 113(2), 349-362. DOI : 10.1007/s10551-012-1308-4 

  42. R. Eisenberger, J. Cummings, S. Armeli & P. Lynch. (1997).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iscretionary Treatment,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2(5), 812-820. DOI : 10.1037/0021-9010.82.5.812 

  43. R. Peccei & P. Rosenthal. (1997). The Antecedents of Employee Commitment to Customer Service: Evidence from a UK.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8(1), 66-86. DOI:10.1080/09585199700000041 

  44. A. R. Yu & S. H. Kim (2016). The Effects of Interdependence between Salespersons and Customers on Relationship: Focus on the Discussion of Measuring Methods of Interdependence.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21(3), 101-132. 

  45. E. Garbarino & M. S. Johnson. (1999). The Different Roles of Satisfaction, Trust, and Commitment in Custom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63(2), 70-87. DOI : 10.2307/1251946 

  46. J. K. Burgoon.(1991). Relational Message Interpretations of Touch, Conversational Distance and Posture.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15(4), 233-259. DOI : 10.1007/BF0098692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