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체장애인의 보행 보조기 사용
The utility of walking assistive devices among people with mobility disabled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2, 2020년, pp.451 - 456  

송영신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이미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복수경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보행 보조 기구의 사용 능력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의 사용과 일상생활 수행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2014년 한국복지패널 표본에서 추출하였다. 전체 435,947 자료를 교차분석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독립적으로 보행 보조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들이 장애정도가 더 심하고 일상생활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참여 수준과 여가활동 수준도 역시 비교그룹에 비해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그룹에서 현저히 낮았다. 보행보조기는 장애인의 보행보조기 사용에 있어 장애인의 독립성 수준에 따라 맞춤형으로 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utility of walking aids, and activities of daily life depending on the ability of people with mobility disabilities to use walking aids.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in 2014. Data of 435,947 individuals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and t-tests. Th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people who used walking aids independently and dependently. Some devices such as a wheelchair may help with mobility or movement within a building or where there is a level change.
  • This survey is conducted regularly every three years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o assess the overall status of the disabled and reflect them in government policies [7].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 S. Ock, J. H. Ahn, S. J. Yoon & M. W. Jo. (2016). Estimation of Disability Weights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Using a Paired Comparison. PLOS ONE, 11(9), e0162478. DOI: 10.1371/journal.pone.0162478 

  2. D. C. You & S. K. Hwang. (2018). Achievements of and challenges facing the Korean Disabled People's Movement. Disability & Society, 33(8), 1259-1279, DOI: 10.1080/09687599.2018.1488676 

  3. S. F. Tyson & L. Rogerson. (2009). Assistive walking devices in nonambulant 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after stroke: the effects on functional mobility, walking impairments, and patients' opin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0(3), 475-479. DOI : 10.1016/j.apmr.2008.09.563 

  4. M. A. Gignac, C. Cott & E. M. Badley. (2000). Adaptation to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and it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independence and dependenc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5, 362-372. 10.1093/geronb/55.6.P362 

  5. M. Kylberg, C. Lofqvist, J. Phillips & S. Iwarsson. (2013). Three very old men's experiences of mobility device use over time.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5), 397-405. 

  6. R. Gooberman-Hill & S. Ebrahim. (2007). Making decisions about simple interventions: older people's use of walking aids. Age and Aging, 36(5), 569-573. 

  7. S. Kim, Y. Lee & J. Hwang, et al. (2014). Report on Disability Survey 2014.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8. K .Bertrand, M. H. Raymond, W. C. Miller, K. A. Ginis & L. Demers. (2017). Walking aids for enabling activity and participation: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96(12), 894-903. 

  9. A. Acerbi, J. P. Graffigna, G. Polimeni & H. H. Fernandez. (2007). Mobility aid for blind figure skaters.. Journal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90 (1), 012098. DOI : 10.1088/1742-6596/90/1/012098 

  10. A. Gramstad, S. L. Storli & T. Hamran. (2013). Do I need it? Do I really need it? Elderly peoples experiences of unmet assistive technology device need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8(4), 287-293. 

  11. B. Neelam, I. Aboli & N. Nagarkar. (2019). Lived experiences of people with mobility-related disability using assistive device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1-5. 

  12. C. Marta, G. M. Lena, K. Staffan & A. Susann. (2020). Welfare technology, ethics and well-being a qualitative study about the implementation of welfare technology within areas of social services in a Swedish municip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on Health and Well-being 15:sup1. 

  13. E. S. Reza & G. G. Dos Santos. (2020). The impact of connected health technologies on the quality of service delivered by home care companies: Focus on trust and social presence. Health Marketing Quarterly, 1-10. 

  14. A. Gallagher, G. Cleary, A. Clifford, J. McKee, K. O'Farrell & R. J. Gowran. (2020). "Unknown world of wheelchairs" A mixed methods study exploring experiences of wheelchair and seating assistive technology provision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in an Irish context.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1-13. 

  15. R. J. Gowran, A. Clifford, A. Gallagher, J. McKee, B. O'Regan & E. A. McKay. (2020). Wheelchair and seating assistive technology provision: a gateway to freedom.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1-12. 

  16. C. Barnett, R. Davis, C. Mitchell, & S. Tyson. (2020). The vicious cycle of functional neurological disorders: a synthesi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views on working with patients with functional neurological disorder.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