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혈압과 당뇨병 건강 문제를 가진 성인의 치매 예방 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of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in Adult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1 no.4, 2020년, pp.481 - 490  

서영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제남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of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in adult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Methods: A total of 113 community-dwelling adult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치매의 최상의 치료책은 국가 차원에서 다양한 매체와 인력을 동원하여 치매 위험에 대해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치매 증상의 출현이나 악화를 현저히 지연시킬 수 있다[6, 7]. 따라서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의 치매 예방 행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접근 방법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HBM 구성요인과 주관적 규범을 적용하여 치매 예방 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본 연구는 의의가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혈압과 당뇨병 건강문제를 가진 성인의 치매 예방을 도모하기 위하여 HBM 구성요인(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행동 단서, 자기효능감), 주관적 규범, 치매 예방 행위 의도를 파악하고 HBM 구성요인과 주관적 규범을 포괄하여 치매 예방 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매 고위험군인 고혈압과 당뇨병 건강문제를 가진 성인의 치매 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치매 예방 및 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고혈압과 당뇨병 건강 문제를 가진 성인의 효과적인 치매 예방 전략을 마련하기 위하여 HBM 구성요인과 주관적 규범을 적용하여 주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치매 예방 행위 의도는 7점 만점에 평균 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혈압과 당뇨병 건강문제를 가진 성인의 치매 예방을 위하여 치매 예방 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치매 예방을 위하여 치매 취약 집단인 고혈압과 당뇨병을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치매 예방 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건강신념모형의 구성 요인과 주관적 규범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행동 단서가 고혈압과 당뇨병 건강 문제를 가진 성인의 치매 예방 행위 의도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고혈압과 당뇨병 건강문제를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치매 예방 행위 의도를 파악하고 HBM 구성요인(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행동 단서,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규범이 치매 예방 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eong HG, Han C.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mentia in primary car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3;56(12):1104-1112. https://doi.org/10.5124/jkma.2013.56.12.1104 

  2. Henskens M, Nauta IM, Vrijkotte S, Drost KT, Milders MV, Scherder EJA. Mood and behavioral problems are important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of nursing home residents with moderate to severe dementia: A cross-sectional study. Public Library of Science One. 2019;14(12):e0223704.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23704 

  3. Parrotta I, de Mauleon A, Abdeljalil AB, de Souto Barreto P, Lethin C, Veerbek H, et al. Depression in people with dementia and caregiver outcomes: Results from the European right time place care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20;21(6):872-878. https://doi.org/10.1016/j.jamda.2020.02.023 

  4. Lee J, Kang M, Nam H, Kim Y, Lee O, Kim G. Korean dementia observatory 2019. Research Report. Seoul: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20 Feburary. Report No.: NIDR-1902-0028. 

  5. Lee O, Kim Y, Kim E, Kim B, Kim B, Bae J, et al. Global trends of dementia policy 2019. Research Report. Seongnam: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9 December. Report No.: NIDR-1901-0027. 

  6. Livingston G, Sommerlad A, Orgeta V, Costafreda SG, Huntley J, Ames D, et al. Dementia prevention, intervention, and care. The Lancet. 2017;390(10113):2673-2734. https://doi.org/10.1016/S0140-6736(17)31363-6 

  7. Winblad B, Amouyel P, Andrieu S, Ballard C, Brayne C, Brodaty H, et al. Defeating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A priority for European science and society. The Lancet. Neurology. 2016;15(5):455-532. https://doi.org/10.1016/S1474-4422(16)00062-4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Dementia prevention guide 3.3.3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4 [cited 2020 February 11]. Available from: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116 

  9. Harada K, Lee S, Shimada H, Lee S, Bae S, Anan Y, et al.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articipation in screening for cognitive impairment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2017;17(8):1197-1204. https://doi.org/10.1111/ggi.12841 

  10. Cho I. Lifestyle behaviors for the prevention of Alzheimer's disease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019;10(2):455-468. https://doi.org/10.22143/HSS21.10.2.33 

  11. Liang X, Shan Y, Ding D, Zhao Q, Guo Q, Zheng L, et al. Hypertension and high blood pressure are associated with dementia among Chinese dwelling elderly: The Shanghai aging study. Frontiers in Neurology. 2018;9:664. https://doi.org/10.3389/fneur.2018.00664 

  12. Huang CC, Chung CM, Leu HB, Lin LY, Chiu CC, Hsu CY, et al. Diabetes mellitus and the risk of Alzheimer's disease: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Public Library of Science One. 2014;9(1):e87095.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87095 

  13. Ninomiya T. Diabetes mellitus and dementia. Current Diabetes Reports. 2014;14(5):487. https://doi.org/10.1007/s11892-014-0487-z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I-3).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December. Report No.: 11-1351159-000027-10. 

  15. Champion VL, Skinner CS. The health belief model. In: Glanz K, Rimer BK, Viswanath K, editor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asearch, and practice. 4th ed. San Francisco: Jossey-Bass; 2008. p. 45-65. 

  16. Rosenstock IM. Historical origins of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Monographs. 1974;2(4):328-335. https://doi.org/10.1177/109019817400200403 

  17. Kim J, Cha C. The influence of health belief on fall prevention behavior among patients who experienced abdominal surger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8;25(3):155-164. https://doi.org/10.7739/jkafn.2018.25.3.155 

  18. Jang HJ, Ahn S. An equation model development and test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regarding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among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6):624-633. https://doi.org/10.7475/kjan.2015.27.6.624 

  19. Choi WH, Seo YM, Kim BR. Factors influencing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9;25(2):139-147. https://doi.org/10.14370/jewnr.2019.25.2.139 

  20. Lee BK, Sohn YK, Lee SL, Yoon MY, Kim MH, Kim CR. An efficacy of social cognitive theory to predict health behavior a meta-analysis on the health belief model studies in Korea. Journal of Public Relations. 2014;18(2):163-206. https://doi.org/10.15814/jpr.2014.18.2.163 

  21. Carpenter CJ. A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health belief model variables in predicting behavior. Health Communication. 2010;25(8):661-669. https://doi.org/10.1080/10410236.2010.521906 

  22. Devoy S, Simpson EEA. Help-seeking intentions for early dementia diagnosis in a sample of Irish adults. Aging & Mental Health. 2017;21(8):870-878. https://doi.org/10.1080/13607863.2016.1179262 

  23. Sohn Y, Lee B. An efficacy of social cognitive behavior model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12; 56(6):127-161. 

  24.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991;50(2):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25. Kim S, Sargent-Cox K, Cherbuin N, Anstey KJ. Development of the motivation to change lifestyle and health behaviours for dementia risk reduction scale.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Extra. 2014;4(2):172-183. https://doi.org/10.1159/000362228 

  26. Ajzen I. Constructing a TPB questionnair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Internet].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2002[cited 2020 January 21]. Available from: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userFS6qgIwAAAAJ&hlen 

  27. Werner P.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s to seek a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A study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Inter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3;18(9):787-794. https://doi.org/10.1002/gps.921 

  28. Yoo R, Kim GS.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dementia screening test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7;31(3):464-477. https://doi.org/10.5932/JKPHN.2017.31.3.464 

  29. Jo HS, Kim CB, Lee HW, Jeong HJ. A meta-analysis of health related behavior study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in Korea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4;9(1):6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