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HP 분석에 의한 무인타워크레인 사고 요인의 중요도 순위
Importance Ranking of Accident Factors of Remote Control Tower Crane by AHP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20 no.6, 2020년, pp.497 - 504  

김주용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  정영철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  김광희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건설 현장 타워크레인의 사용량 증가에 따른 재해 감소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무인타워크레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워크레인 유형별 사고 요인의 중요도 순위를 AHP 분석을 통해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무인타워크레인에서 인양 작업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요도가 높은 요인을 우선적으로 관리하여 타워크레인 사고 저감을 위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construction industry,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reduce the disasters related tower crane due to the increase of tower crane's usage and accidents continuously. Although the usage amount of remote control tower crane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the research on remote-control tower...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3ton 미만의 무인타워크레인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사고발생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무인타워크레인의 재해위험 요인과 각 요인별 중요도를 도출하여 재해예방에 활용함으로서 타워크레인 관련 재해를 예방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무인타워크레인의 경우 인양물의 관리 및 주변 통제 불량, 운전원의 자재 중량 및 양중 제원 확인 불가, 그리고 안전수칙 및 작업지침 미준수 등이 상위 순위로 분석되었다.
  • 선행연구들에서 중대형 유인타워크레인에 대해 분석하여 재해를 예방하여는 노력이 많았지만 최근 건설현장에서 사용이 증가하는 무인타워크레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무인타워크레인의 재해위험 요인을 선정하고, 요인의 중요도를 산정하여 중요도 순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무인타워크레인 재해예방을 위한 계획이나 안전관리 활동 시 우선 고려항목을 파악하는데 활용한다면 궁극적으로 건설재해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결과는 현장관리자, 건설사업관리자, 안전관리자, 그리고 타워크레인 기사 등을 대상으로 AHP 설문 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과이다. 그렇지만 타워크레인을 직접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관련분야 10년 이상 경력을 소유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설문을 진행하였으나 타워크레인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재해 저감을 위한 노력을 해 본 전문가인지에 대한 검증이 없으므로 이 부분은 본 연구의 한계에 해당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최근 건설현장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소형 무인타워크레인의 위험요인별 중요도 순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무인타워크레인 재해요인별 중요도 도출을 위해 AHP 분석을 사용하였는데 그 이유는 건설현장 관련 분야별 전문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이다, AHP분석을 위한 설문은 건설현장관리 또는 타워크레인 관련 경력 10년 이상 현장 시공관리자, 건설사업관리자, 안전관리자, 타워크레인 기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 진행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연구 진행이 미비한 무인 타워크레인의 안전사고 요인 중요도를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설문을 통해 평가하였다. 건설현장에서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타워크레인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무인타워크레인에 대한 재해요인 별로 관련 전문가들이 중요도가 높은 순위를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ternet]. Seoul (Korea):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0-[cited 2020 Jul 27]. Available from: http://kosis.kr 

  2. Choi CH. A study on the risk analysis and measures of reduction through tower crane accidents cases [master's thesis]. [Seoul (Korea)]: Hanyang University; 2017. 57 p. 

  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ternet]. Seoul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0-[cited 2020Jul 27]. Available from:http://www.molit.go.kr 

  4. Kim YU. Problems and improvement schemes for unmanned tower crane accident through case analysis at construction site [master's thesis]. [Seoul (Korea)]: Chung-Ang University; 2018. 124 p. 

  5. Aneziris ON, Papazoglou IA, Mud ML, Damen M, Kuiper J, Baksteen H, Ale BJ, Bellamy LJ, Hale AR, Bloemhoff A, Post JG, Oh J. Towards risk assessment for crane activities. Safety Science. 2008 Jun;46(6):872-84. https://doi.org/10.1016/j.ssci.2007.11.012 

  6. Kwon OM. Deduction of accident cause for tower-crane using fmea method [master's thesis]. [Seoul (Korea)]: Hanyang University; 2015. 60 p. 

  7. Neitzel RL, Seixas NS, Ren KK. A review of crane safe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pplied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01 Nov;16(12):1106-17. 

  8. Shapira A, Simcha M. AHP-based weighting of factors affecting safety on construction sites with tower crane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9 Apr;135(4):307-18.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9)135:4(307) 

  9. Cho YR. Importance evaluation of the safety accident factors of tower crane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ster's thesis]. [Suwon (Korea)]: Kyonggi University; 2017. 95 p. 

  10. Song PY. A study on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through analysis of tower crane disaster at construction site [master's thesis]. [Busan (Korea)]: Pukyong University; 2018. 104 p. 

  11. Chi HL, Chen YC, Kang SC, Hsieh SH. Development of user interface for tele-operated cranes.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2012 Nov;26(3):641-52. https://doi.org/10.1016/j.aei.2012.05.001 

  12. Kim JY, Kim GH. Importance ranking of accident factors of construction tower crane by AHP technique. Journal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Planning Research. 2020 Dec;8(4):237-44. https://doi.org/10.4236/jbcpr.2020.84015 

  13. Cho GT, Cho YG, Kang H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Seoul (Korea): Donghun; 2003. 311 p. 

  14. Kim YG. Importance rankings of prospective owners' selection factors on the each room's finishing for minus option of apartment by ahp [master's thesis]. [Suwon (Korea)]: Kyonggi University; 2020. 69 p. 

  15.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Technical guidelines for the installation, assembly and dismantling of tower cranes. Ulsan (Korea):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1. p. 1-19. 

  16.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Internet]. Ulsan (Korea):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20-[cited 2020 Jul 27]. Available from: http://www.kosha.or.kr/kosha/data/construction.do 

  17.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Safety work guide to prevent death of construction machinery and equipment. Ulsan (Korea):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8. p. 1-97. 

  18. Lee HC. Collective decision making. Seoul (Korea): Sejong; 2000. 186 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