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노인의 미충족치과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 독거여부에 따른 비교연구
Socio-economic factors affecting unmet dental care in the elderly: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atus of living alone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20 no.6, 2020년, pp.809 - 817  

김영실 (경복대학교 치위생과) ,  서혜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the unmet dental care needs of the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family elderly groups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their influence. Methods: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Study of 2016 were used to analyz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6년도 한국의료패널자료를 활용하여 노인의 미충족치과의료 경험을 다인가구와 독거 가구로 구분하여 비교함으로써 사회경제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경제적 요인과 미충족치과의료 경험의 관계를 독거가구와 다인가구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다인가구 4, 008명과 독거가구 979명 총 4, 98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분석함으로써 그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노인이 보다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사회경제적 요인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미충족치과의료 경험의 관계를 독거가구와 다인가구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노인이 보다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사회경제적 요인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사회경제적 문제로 인하여 미충족치과의료가 발생되면 대상자는 상대적으로 사회적 고립감과 우울감이 높아져 박탈감을 유발할 수 있다[15]. 즉, 고령이거나 낮은 사회경제적 위치에 있는 취약계층 집단일수록 미충치과의료가 많을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인의 미충족치과의료 경험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i Y. Economic and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08;24(4):103-23.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tatistics in elderly 2018.[cited 2018 Sept 27].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ip/8/3/1/4/index.board?bmoderead&bSeq&aSeq360118&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3. Moon JW, Kang MA. The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unmet medical needs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Korea: an application of the behavioral model for vulnerable population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6;36(2):480-510. https://doi.org/10.15709/hswr.2016.36.2.480 

  4.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tatistics in elderly 2019.[cited 2019 Aug 31].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12701 

  5. Jung KH. Current status of living alone in old age and policy response strateg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Health . Welfare Issue & Focus 2015;300:1-8. 

  6. Lee JK, Kim JH. A study on the need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2013;14(3):191-211. 

  7. Ayanian JZ, Zaslavsky AM, Guadagnoli E, Fuchs CS, Yost KJ, Creech CM, et al. Patients' perceptions of quality of care for colorectal cancer by race, ethnicity, and language. J Clinical Oncology 2005;23(27):6576-86. https://doi.org/10.1200/jco.2005.06.102 

  8. Shin YS. Status of unmet medical service and policy tasks.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5;12(4):71-7. 

  9. Davidson PL, Andersen RM. Determinants of dental care utilization for diverse ethnic and age groups. Adv Dent Res 1997;11(2):254-62. https://doi.org/10.1177/08959374970110020801 

  10. Ahn YH, Kim NH, Kim CB, Ham OK. Factors affecting unmet healthcare needs of older people in Korea. Int Nurs Rev 2013;60(4):510-9. https://doi.org/10.1111/inr.12055 

  11. Kim YS, Lee J, Moon Y, Kim KJ, Lee K, Choi J, et al. Unmet healthcare needs of elderly people in Korea. BMC Geriatr 2018;18(1):98. https://doi.org/10.1186/s12877-018-0786-3 

  12. Nemet GF, Bailey AJ. Distance and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the rural elderly. Social Science & Medicine 2000;50(9):1197-208. https://doi.org/10.1016/s0277-9536(99)00365-2 

  13. Lee HS, Kim CM. Effects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person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2;23(3):338-46. 

  14. Lee EM. Analysis of the elderly dental care and related characterization[Master's thesis]. Seoul: Univ. of Catholic, 2013. https://doi.org/10.12799/jkachn.2012.23.3.338 

  15. Kim TH. The challenge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the health and medical service sector : Focusing on Relationship between unmet health services needs and social isolation. J Korean Soc Welfare Education 2014;25:123-46. 

  16. Jung ES. Research on health and oral health status of elderly living alone compared to elderly living with their families based on the data (2014) from the 6th two-year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Korean Soc Dent Hyg 2017;17(1):99-110.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1.99 

  17. Jeong SS, Kim JS.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level between elder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a spouse. Global Health Nurs 2014;4(1):27-36. 

  18. Kim YJ. Comparison of health habit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by gender between elder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9;16(3):333-44. 

  19. Jung EJ.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with family. J Korean Soc Dent Hyg 2019;19(4):577-89. https://doi.org/10.13065/jksdh.20190040 

  20. Jeon CH, Kwak JW, Kwak MH, Kim JH, Yong, Park YS.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healthcare needs of the older Korean population: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 J Korean Health Promot 2019;19(2):84-90. https://doi.org/10.15384/kjhp.2019.19.2.84 

  21. Ahn GS, Jung ES.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lderly and unmet dental care needs. J Korean Soc Dent Hyg 2018;18(6):911-20. https://doi.org/10.13065/jksdh.2018007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