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납과 비소에 대한 환경매체별 생태위해성평가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Lead and Arsenic by Environmental Medi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6 no.1, 2020년, pp.1 - 10  

이병우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위해성평가연구과) ,  이병천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위해성평가연구과) ,  김필제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위해성평가연구과) ,  윤효정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위해성평가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evaluate the ecological risk of lead (Pb), arsenic (As), and their compounds according to the 2010 action plan on inventory and management for national priority chemicals and provide calculations of risks to the environment. By doing so, we aim to inform risk manag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화학물질과 관련한 환경정책은 사후관리 중심적인 관점이 아닌 사전예방을 중심으로 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였으며, 또한 화학물질 관리에 있어서 국민건강 보호와 생태계 보전이라는 가치에 중심에 두고 있다.36) 캐나다, 네덜란드 등 선진외국에서 생태 위해도와 위해성평가를 환경기준설정에 활용하고 관리하고 있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캐나다의 환경 관리 기준(EQG, Environmental quality guidelines)은 대기, 수계, 토양 생태계의 질을 관리하기 위하여 과학적 기준을 바탕으로 전국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 납과 비소에 대한 이차독성은 실측자료가 없기 때문에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다. 납과 비소에 관한 문헌을 확인한 결과 납은 조(鳥)류 및 포유류에 이차 독성을 가지며, 비소는 조류에 대한 이차독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본 연구는 2010년 국가우선관리대상 물질목록 마련 및 관리방안 추진계획에 따라 선정된 화합물질의 납과 비소를 대상으로 수용체 중심의 생태 위해성을 평가하고, 나아가 환경에 미치는 실질적인 위해도를 산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즉 전국규모의 환경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납(Pb)과 비소(As)에 대해 환경 매체별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농도인 예측무영향농도(PNEC,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값을 산출하였다.
  • 즉 전국규모의 환경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납(Pb)과 비소(As)에 대해 환경 매체별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농도인 예측무영향농도(PNEC,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값을 산출하였다. 또한 실제 환경 중 존재하는 유해물질의 예측환경농도(PEC, Predicted exposure concentration) 값을 산출함으로써, 환경위해도를 도출하고 노출수준의 예측 및 평가를 통해 상세위해성평가를 위한 초기 위해성평가로서의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 활용되어진 납과 비소는 국가우선관리 대상 물질목록 마련 및 관리방안 추진계획에 따라 수용체 중심의 생태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환경위해도를 도출하고 노출수준의 예측 및 평가를 통해 상세위해성평가를 위한 초기 위해성평가로서의 그 목적이 있다.
  • 위해성평가는 발생원 중심의 환경오염 관리에서 수용체 중심의 환경오염 관리로의 개념적 변환이 이루어지는데 있어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된다4). 즉 인체와 생태계에 화학물질로 인한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관련노출 및 독성정보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환경문제는 최종적으로 인체영향과 연결되기 때문에 과학적 기초 자료를 바탕으로 특정한 환경문제와 인체영향과의 상관관계를 합리적으로 규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위해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환경매체별 산출된 PNEC 값과 PEC 값을 비교하여 납과 비소가 생태계 환경에 어느 정도의 유해지수를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화학물질 배출량 정보를 이용한 초기 위해성평가 해설서’에 따르면 환경위해도는 용량-반응 평가의 결과 값과 노출평가에서 추정한 노출량(농도)을 비교 평가하여, 추정된 노출량(농도)이 용량-반응 평가 기준치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도출한 후, 이를 통해 인체건강과 환경에서의 위해성이 우려되는지를 결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SD 평가를 위한 최소의 요건은 무엇인가? 수집된 생태독성자료는 앞서 수집방법에 언급한 바와 같이 원문자료 확인 후 불확실성 자료를 제외한 결과, 납에서는 5개 분류군 5종, 비소에서는 4개 분류군 6종으로 정리되었다. ‘위해성평가의 대상물질 선정기준, 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한 지침’에는 SSD 평가를 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건은 생태독성 자료가 최소 4개 분류군 이상, 총 5종 이상의 자료가 충족되어져야 한다고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지침을 근거로 납과 비소의 분류군 및 종에 대해서 SSD 평가에 최소요건을 갖춘 것으로 판단하여 실행하였다(Table 1).
납과 비소의 인체 축적 방식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활용되어진 납과 비소는 중금속 물질로 미국 환경청(US EPA)의 IRIS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나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의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는 인체 발암 가능성 물질로 분류하고 있다.5-7) 일반적으로 두 물질은 공기흡입이나 먼지 등 다매체를 통해 피부 접촉, 식품섭취 및 음용수 등 다양한 노출경로를 통해 인체에 축적되고, 많은 국가에서는 수질 및 토양에 대한 환경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8-9) 화학물질등록평가법에 따라 납(CAS 7439-92-1)은 제한물질로 지정되어 있으며, 비소(CAS 7440-38-2)는 유독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SSD 평가에 의해 산출된 HC5 값의 정규성 검증 결과는 무엇인가? SSD 평가에 의해 산출된 HC5 값이 정규분포를 따르는 모집단에서 취해졌는지에 대해 Anderson-Daring test를 통해 정규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유의수준에서 정규성 수용이라는 결과를 보였다(Table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Kong IC, Kwon HY, Ko KS. Bioassessment and Comparison of Toxicity of Arsenics based on the Results of Various Bioassays. J Korean Soc Environ Eng. 2010; 32(8): 791-805. 

  2. Park JG. Environment and Health: An Overview of Current Trends at WHO and OECD. J Environ Health Sci. 2013; 39(4): 299-311. 

  3. Lee BW, Lee BC, Yoon HJ, Park KW, Kim PJ. Ecological Risk Assessment for Cadmium in Environmental Media. J Environ Health Sci. 2018; 44(6): 548-555. 

  4. Shon JG, Lee CM. The Risk Assessment of Hazard Chemicals in Environment. J Korean Soc Environ Eng. 2007; 29(5): 477-488. 

  5.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Lead and Compounds (Inorganic) (CASRN7439-92-1). IRIS. 2015. Available: http://www.epa.gov/iris/subst/0277.htm. 

  6.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Inorganic and Organic Lead Compounds. 2006; 87. 

  7.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volume: Human health evaluation manual (Part A). 2004. 

  8. Jung JW, Nam KP. Analysis on the Risk-Based Screening Levels Determined by Various Risk Assessment Tools (III): Proposed Methodology for Lead Risk Assessment in Korea. J Soil Groundw Environ. 2015; 20(6): 1-7. 

  9. Sim KT, KimDH, Lee JW, Lee CH, Park SY, Seok KS et al. Exposure and Risk Assessments of Multimedia of Arsenic in the Environment. J Environ Impact Assess. 2019; 28(2): 152-168. 

  10. National Chemical Information System (NCIS). Available: http://www.ncis.go.kr/main.do.CAS 7440-43-9 [accessed 2 October 2019]. 

  11. ECOTOXknowledgebase. Available: http://archive.epa.gov/med/med_archive_03/web/html/ecotox.html [accessed 14 September 2018]. 

  12. Lee WM, Kim SW, Jeong SW, An YJ. Comparative study of Ecological Risk Assessment: Deriving Soil Ecological Criteria. J Soil Groundw Environ. 2012; 17(5): 1-9. 

  1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isk Assessment Guidebook. 2011: 1-387. 

  14. European Commission. Technical Guidance Document on Risk Assessment. Commission Directive93/67/EEC on Risk Assessment for new notifide substance. Commission Regulation (EC) No 1488/94 on Risk Assessment for existing substance. Directive 98/8/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concerning the placing of biocidal products on the market. Part II. 2003: 1-328. 

  15.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Available: http://www.water.nier.go.kr/waterData/general-Search.do?menuldx3_2_1&siteTypeCdA [accessed 10 September 2018]. 

  16.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Available: http://www.water.nier.go.kr/waterData/general-Search.do?menuldx3_2_1&siteTypeCdB [accessed 10 September 2018]. 

  17.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Available: http://www.water.nier.go.kr/waterData/generalSearch.do?menuldx3_2_1&siteTypeCdE [accessed 10 September 2018]. 

  18.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Available: http://www.water.nier.go.kr/waterData/generalSearch.do?menuldx3_2_1&siteTypeCdF [accessed 10 September 2018]. 

  19.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Available: http://www.water.nier.go.kr/waterData/generalSearch.do?menuldx3_2_1&siteTypeCdR [accessed 10 September 2018]. 

  20. Butler R, Effect of Heavy Metals Found in Flue Gas on Growth and Lipid Accumulation for Green Algae Scenedesmus obliquus. Master of science. Thesis. Utah State University. Logan. 2011: 1-83. 

  21. Rice TM, Blackstone BJ, Nixdorf WL, Taylor DH. Exposure to lead induced to hypoxia-like responses in bullfrog larvae (Rana catesbeiana). Environ Toxicol Chem. 1999; 18: 2283-2288. 

  22. Kay SH, Haller WT, Ganard LA. Effects of heavy metals on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Aquat Toxicol. 1984; 5: 117-128. 

  23. Besser JM, Brumbaugh WG, Brunson EL, Ingersoll CG. Acute and Chronic Toxicity of Lead in Water and Diet to the Amphipod Hyalella azteca. Environ Toxicol Chem. 2005; 24(7): 1807-1815. 

  24. Erickson RJ, Mount DR, Highland TL, Hockett JR, Leonard EN, Mattson VR, Dawson TD, Lott KG. Effects of Copper, Cadmium, Lead, and Arsenic in a Live Diet on Juvenile Fish Growth. Can J Fish Aquat Sci. 2010; 67: 1816-1826. 

  25. Chen F, Chen W, Dai S, Toxicities of four arsenic species to Scenedesmus obliguus and influence of phosphate on inorganic arsenic toxicities. J Toxicol Environ Chem. 1994; 41: 1-7. 

  26. Pawlik-Skowronska B, Pirszel J, Kalinowska R,Skowronski T. Arsenic Availability, Toxicity and Direct Role of GSH and Phytochelatins in As Detoxification in the Green Alga Stichococcus bacillaris. Aquat Toxicol. 2004; 70(3): 201-212. 

  27. Klusek CS, Heit M, Hodgkiss S. Trace Element Concentrations in the Soft Tissue of Transplanted Freshwater Mussels Near a Coal-Fired Power Plant. In: R.F. Keefer and K.S. Sajwan (Eds.), Trace Elements in Coal and Coal Combustion Residues, Boca Raton. 1993: 59-95. 

  28. Jenner HA, Janssen-Mommen JPM. Duckweed Lemna minor as a tool for testing toxicity of coal residues and polluted sediments. Arch Environ Contam Toxicol. 1993; 25(1): 3-11. 

  29. DeFoe DL. Arsenic (V) Test Results Memorandom ORL Spehar.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nvironmental Research Laboratory Duluth, MN, USA, dated July 9, 1982. 

  30. Cockell, KA, Hilton JW, Bettger WJ. Hepatobiliary and Hematological Effects of Dietary Disodium Arsenate Heptahydrate in Juvenile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Comp Biochem Physiol, Part C. 1992; 103(3): 453-458. 

  31. Morris HP, Laug EP, Morris HJ, Grant RL. The growth and reproduction of rats fed diets containing lead acetate and arsenic trioxide and the lead and arsenic content of newborn and suckling rats. J Pharmacol Exp Ther. 1938; 64(4): 420-445. 

  32. European Commission CIRCABC. Lead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dossier. 2011: 1-66. 

  33. Stanley T, Spann J, Smith G and Roscoe R. Main and interactive effects of arsenic and selenium on mallard reproduction and duckling growth and survival. Arch Environ Contam Toxicol. 1994; 26(4): 444-451. 

  34. California Office of Environmental Health Hazard Assessment (OEHHA). Technical support Document for Exposure Assessment and Stochastic Analyis September 2000. Appendix H Fish Bioconcentration Factors. Available: http://oehha.ca.gov.media/downloads/crnr/apenh.pdf [accessed 30 September 2019]. 

  3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224. Arsenic and Arsenic compounds. Second edition. 2001: 1-114. 

  3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Risk Assement of Chemical on the National Priority List. 2013: 1-80. 

  37. Ministry of Environment. http://webbook.me.go.kr/DLi_File/091/018/006/5557572.pdf [accessed 20 October 2019]. 

  38. Kim SW, Kwak JI, Yoon JY, Jeong SW, AN YJ. Selection of Domestic Test Species Suitable for Korean Soil Ecological Risk Assessment. J Korean Soc Environ Eng. 2014; 36(5): 359-366. 

  39. An YJ, Lee WM, Nam SH, Jeong SW. Proposed Approach of Korean Ecological Risk Assessment for the Derivation of Soil Quality Criteria. J Soil Groundw Environ. 2010; 15(3): 7-14. 

  4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ulti-media and multi-pathway aggregate risk assessment (IV)-Lead (Pb)-. 2014: 1-183. 

  4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ulti-media and multi-pathway aggregate risk assessment (IV)-Arsenic (As)-. 2014: 1-177. 

  42. Philippe C, Merin K, Alberto P. Estimating Hazardous concentrations by an informative bayesian approach. Environ Toxicol Chem. 2013; 32(3): 602-6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