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e conducted ecological risk assessment for cadmium, a heavy metal and carcinogen, to identify safety standards by environmental media and to determine its impact on ecosystems by estimating and evaluating exposure levels. Methods: Species sensitivity distributions (SSDs) were generated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금속 물질로서 발암 및 독성물질인 카드뮴에 대해 환경 매체별(수질, 토양, 퇴적물) 안전수준을 규명하고, 노출수준의 예측 및 평가를 통해 카드뮴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기 위해 생태학적 위해성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카드뮴은 주로 신장 독성을 일으키는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니켈-카드뮴 배터리, 안료, PVC 안정제, 합금 등으로 제조·사용되어지고 있으며5), 원석의 채광 · 제련과정, 재활용, 폐기, 담배 연소 등을 통해 환경매체로 배출되어진다.

가설 설정

  • 11) ECOTOX DB에서의 토양에 대한 생태독성 자료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의 위해성에 관한 자료작성 해설서에 제시되어 있는 토양 입자와 공극수 간 화학평형을 가정한 분배계수를 이용하였다(식(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해성평가의 역할은? 대부분의 환경문제가 궁극적으로는 인체영향으로 연결되는 까닭에 가용한 과학적 기초 자료를 근거로 하여 특정한 환경문제와 인체영향의 상관관계를 비교적 합리적으로 규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위해관리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위해성 평가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1) 즉, 위해성평가는 어떤 독성물질이나 위험상황에 노출되어 나타날 수 있는 개인 혹은 집단의 건강피해 확률을 추정하는 과학적인 과정이며, 사람이 환경적 위험에 노출되었을 경우, 발생 가능한 영향을 정성 또는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과정으로 영향 또는 피해를 계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전달하는 것이다. 위해성평가는 화학물질이나 오염물질 또는 독성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인체 또는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위해의 정도를 평가하는 과정으로,2) 일반적으로 인간건강 위해성평가(Human health), 생태학적 위해성평가(Ecological), 산업장 위해성평가(Industrial), 환경 위해성평가(Environmental)로 구분할 수 있다.
위해성 평가란?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위해성평가라는 분야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위해성 평가는 과거 발생원 중심의 환경오염 관리에서 소위 수용체 중심의 환경오염 관리로의 개념적 변환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도구로 제시되고 있다. 대부분의 환경문제가 궁극적으로는 인체영향으로 연결되는 까닭에 가용한 과학적 기초 자료를 근거로 하여 특정한 환경문제와 인체영향의 상관관계를 비교적 합리적으로 규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위해관리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위해성 평가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SSD에 따른 위해성 평가는 어떻게 결정론적 접근법과 확률론적 접근법을 활용하고 있는가? 11) SSD에 따른 위해성평가는 크게 결정론적 접근법과 확률론적 접근법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생물종의 생태독성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결정론적 방법은 독성자료가 부족한 독성물질에 대하여 수질환경기준 또는 사전 단계로 PNEC 값을 산출하는데 일반적으로 적용한다. 즉 독성 값이 부족하거나 환경 중 농도 값이 부족하여 단일 값을 사용하여 위해성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확률론적 방법은 충분한 독성자료로 인해 많은 가능성의 시나리오를 생성하며, 생성된 시나리오에 따라서 가중치 등을 토대로 노출 또는 PNEC 값 등을 산출한다. 즉 결정론적 위해성 평가 방법에서 활용하는 PEC 값과 PNEC값이 각각 노출농도 분포와 SSD와 같은 확률 분포로 전환되어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hon JG, Lee CM. The Risk Assessment of Hazard Chemicals in Environment. J of Korean Soc Environ Eng. 2007; 29(5): 477-488. 

  2. Jo AR, Kim TS, Seo JK, Yoon HJ, Kim PJ, Choi KH. Uncertainty Analysis and Application to Risk Assessment. J Environ Health Sci.2015; 41(6): 425-437 

  3. Yang WH. Risk Assessment in Environmentla Health. J of Korean Soc Environ Eng. 2007; 29(5): 489-495. 

  4.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mi. Development of Toxicity Data and Recommended Water Quality Guideline for Protection of Aquatic Species in National Freshwater (Dissemination). Establishment of Yeongsan and Seomjin River System management committee. 2007. p.1-241. 

  5. Vieira C, Morais S, Ramos S, Delerue-Matos C, Oliveira MBPP. Mercury, cadmium, lead and arsenic levels in three pelagic fish species from the Atlantic Ocean: Intra- and inter-specific variability and human health risks for consumption. Food Chem Toxicol. 2011; 49(4): 923-932. 

  6. Lee SM, Seo YR. Overview on the Mechanism of Molecular Toxicity and Cellular Defense System Induced by Cadmium Exposure. Cancer Preve Res. 2009; 14(2): 93-98. 

  7. Bertin G, Averbeck D. Cadmium:cellular effects, modifcations of biomole cules, modulation of DNA repair and genotoxic xonswquences (review). Biochime. 2006; 88: 1549-1559. 

  8. Park SH,Song IS, Cho YC. Experimental study on the Accumulation of cadmium and other metals in the fish bodies (Oryzias latipes). Kor J Env Hlth Soc. 2000.26(3): 25-31 

  9. Park CJ, Ahn HM, Gye MC (2012). Effects of heavy metals on amphibian embryos, tadpoles, and adults. korean J Enriron Biol 30(4): 287-306 

  10. ECOTOX database. [cited 2018 September 14]. Available from: URL: http://archive.epa.gov/med/med_archive_03/web/html/ecotox.html. 

  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isk Assessment Guidebook. 2011. p.1-387. 

  12. European Commission. Technical Guidance Document on Risk Assessment. Commission Directive 93/67/EEC on Risk Assessment for new notifide substance. Commission Regulation (EC) No 1488/94 on Risk Assessment for existing substance. Directive 98/8/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concerning the placing of biocidal products on the market. Part ?. 2003. p.1-328. 

  13.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cited 2018 September 10]. Available from: URL: http://www.water.nier.go.kr/waterData/general-Search.do?menuldx3_ 2_1&siteTypeCdA. 

  14.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cited 2018 September 10]. Available from: URL: http://www.water.nier.go.kr/waterData/general-Search.do?menuldx3_2_1&siteTypeCdB. 

  15.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cited 2018 September 10]. Available from: URL: http://www.water.nier.go.kr/waterData/generalSearch.do?menuldx3_2_1&siteTypeCdE. 

  16.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cited 2018 September 10]. Available from: URL: http://www.water.nier.go.kr/waterData/generalSearch.do?menuldx3_2_1&siteTypeCdF. 

  17.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cited 2018 September 10]. Available from: URL: http://www.water.nier.go.kr/waterData/generalSearch.do?menuldx3_2_1&siteTypeCdR. 

  18. Smit CE, Van Wezel AP, Jager T and Traas TP. Secondary poisoning of cadmium, copper and mercury: implications for the Maximum Permissible Concentrations and Negligible Cocentrations in water, sediment and soil. RIVM report601501 009. 2000. p.1-61 

  19.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Volume I Human Health Evaluation Manual (Part A). Interim Final. office of Emergency and Remedial Respons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20450. 1989. p.1-288. 

  20. National Chemical Information System. [cited 2018 September 20]. Available from: URL: http://www.ncis.go.kr/main.do.CAS 7440-43-9 

  21. Song SH, LEE MS, Choi KH, Jung YH. Chemical risk assessment report-Cadmium.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7. p. 1-2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