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오헬스 분야 사업화를 위한 지원체계 개선방안: TRL단계를 중심으로
Improve the Support System for SMEs' Commercialization of Biohealth Industry: Focusing on TR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83 - 93  

전희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혁신성장전략팀) ,  임용훈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혁신성장전략팀) ,  강병석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혁신성장전략팀) ,  조윤희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혁신성장전략팀) ,  박소진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혁신성장전략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바이오헬스산업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지원의 혁신성이 요구되고 있으나 지원틀의 한계가 있어 사업화를 위한 지원이 미비하여 보완적 지원체계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의 기존 지원 및 평가가 따르는 TRL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중심으로 현재 국내 적용 지원체계 실태와 해외의 지원사례 등을 검토하여, 정부가 펼치고 있는 현 TRL 기반의 지원정책이 오랜 기간과 투자가 많이 소요되는 바이오헬스 분야 사업화를 위해서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후기 연구개발단계 문제점 해소를 위한 개선점과 바이오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사업화 중심의 새로운 지원체계 개념을 상정하고 연구개발사업에 맞게 제시될 수 있는 정책방향과 연결지었다. 본 연구는 바이오헬스분야 사업화를 위해 연구와 산업의 거리를 좁히는 가이드라인 역할이 될 것임에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importance of the biohealth industry has recently increased, innovative government support is required.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in the support framework, a complementary support system for commercialization is needed.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TRL which the existing support be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긴 소요 기간과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바이오헬스산업의 특성을 반영하고 TRL 단계에서 임상중심의 후기개발단계를 보완하여 사업화 중심의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였다. 현재 정부 연구과제의 지원은 1~6단계 지원이 대부분이므로 바이오헬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TRL 7~9단계의 연구 수행에 대한 지원의 틀이 바뀌어야 할 필요가 있다.
  • 하지만 바이오헬스산업을 주관하는 부처인 보건복지부의 경우 바이오기업에 특화된 지원정책이 마련되지 않는 형편이다. 이에 따라 본연구에서는 바이오헬스 분야 사업화에 있어 현행 TRL에 적용하여 정부지원의 방향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오헬스산업 분야와 다른 산업과의 차이는? 한편 바이오헬스산업 분야는 다른 산업과 차이가 크다. 바이오헬스 산업 분야 중 신약개발의 경우, 일반적으로 3,000여개의 아이디어 중 단 몇 십여 개 만이 성공적인 후보물질이 되고 이것이 다시 사업화까지 이어지기 위해서는 ‘죽음의 계곡’으로 표현되는 가치혁신 및 규제라는 걸림돌을 극복해야 한다. 바이오헬스산업은 TRL 7~9단계에 해당하는 임상단계에서 막대한 비용이 요구되고 있어 대기업이 아니고서는 지탱하기 힘들고, 사업화 기간 또한 매우 길어 기술사업화에 대한 지원이 체계적이면서도 장기적으로 요구된다. 다른 산업과는 달리 장기간·많은 투자가 필요한 만큼 지원기능이 중요하다는 것이 여타 사업과 다른 점이며 아직도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인 산업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하지만 바이오헬스산업을 주관하는 부처인 보건복지부의 경우 바이오기업에 특화된 지원정책이 마련되지 않는 형편이다.
기술성숙도란? 기술성숙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란 특정한 핵심요소 기술의 성숙도에 대한 평가 및 다른 기술 간의 비교를 위한 일관성 있는 체계적·객관적 지표로[13, 14], 1989년 미국 NASA의 Sadin 등이 처음으로 정의한 개념이다[15]. TRL은 연구개발에 참여한 이해당사자들에게 기초연구에서 사업화까지의 단계별 기술수준을 판단가능한 정량화된 측정지표 및 이종 기술 간 성숙도에 대한 일관된 비교를 위한 체계적 측정기준을 제공하고[16-20], 연구개발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현재까지 확인 및 달성한 목표·성능과 앞으로 개발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개발자와 사용자 공통의 상황인식을 가질 수 있는 기준의 제시라는 관점에서 방법론적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21].
거대자본과 기술을 가진 기업이 아닐 경우 바이오헬스산업 시장진입이 어려울 수 밖에 없는 이유는? 7%에 불과해, ‘2% 덫’에 갇혀 있다. 바이오헬스산업의 특성상 짧게는 제품개발, 길게는 사업화에 이르기까지 1~3조 원 규모의 자금과 10~15년에 이르는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성공률, 즉 임상1상 진입 후 신약 승인을 받을 확률도 9.6%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5]. 그렇기 때문에 선진국이나 글로벌 제약사와 같이 거대자본과 기술을 가진 기업이 아닐 경우 시장진입이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Evaluate Ltd. (2019.6) EvaluatePharma. World Preview 2019, Outlook to 2024. http://www.evaluate.com/PharmaWorldPreview2019 

  2. Evaluate Ltd. (2019.6) EvaluatePharma. World Preview 2019, Outlook to 2024. http://www.evaluate.com/PharmaWorldPreview2019 

  3. J. Huh. (2019.1.26.) Chosun Biz. Tech: Science/Bio.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 01/26/2019012600342.html 

  4. J. Choi. (2019.05.29.) Yonhap Infomax. Policy/Fincnace.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 View.html?idxno4032038 

  5. National Onco Venture (2018.3.22.) National Onco Venture. Anticancer New Drug Trends: Cancer-related Statistics. http://nov.ncc.re.kr/%EA%B8%B0%EC%88%A0%ED%86%B5%EA%B3%84-fda-%EC%8B%A0%EC%95%BD-%EB%B0%8F-%ED%95%AD%EC%95%94%EC%A0%9C-%ED%97%88%EA%B0%80-%ED%98%84%ED%99%A9/ 

  6. S. Lee. (2019.7) Implications for National R & D Investment and Corporate Support in New Drug Development, KPBMA Brief, 18, 6-12. 

  7. Ministry of Science & ICT,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2019.3) 2019 Surve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Korea Statistics 

  8. S. Shin. (2014). An Analysis on the Factors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uccess and Failure in Korean Small Firm owned by Technical Entrepreneur. Ph.D.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umoh National Institue of Technology. 

  9. Y. Lee. (2010).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eoul : Dunam. 

  10. D. Lee. (2009). A Study on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on Business Performance in SMEs of Korea. Ph.D.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11. J. Park. (2008).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ory and Technology Management Application Plan-Focusing on Jolly's theory. KIET Industrial Economics, Feb. 2008. 

  12. J. Park. (2008).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Task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Korea, KIET Issue paper, 2008-233. 

  13. K. Bakke, & C. Haskins. (2018). Wiley Online Library. INCOSE International Symposium. https://doi.org/10.1002/j.2334-5837.2018.00502.x 

  14. J. Seo, G. Jeon, & H. Jeon. (2007). A Study on TRL Application to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Development Program,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0(2), 789-807. 

  15. S. R. Sadin, F. P. Povinelli, & R. Rosen. (1989). The NASA technology push towards future space mission systems. Space and Humanity. Pergamon, 73-77. 

  16. R. Mackey, R. Some, & A. Aljabri. (2003). Readiness levels for spacecraft information technologies, 2003 IEEE Aerospace Conference Proceedings, Big Sky, MT, USA, vol.1, 1-398. 

  17. P. Malone, R. Smoker, H. Apgar, & L. Wolfarth. (2011). The application of TRL metrics to existing cost prediction models, 2011 Aerospace Conference, Big Sky, MT, 1-12. 

  18. M. S. Seablom, & L. A. Lemmerman. (2012). Measuring technology maturity and readiness for mission infusion. In 2012 IEEE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5646-5649. 

  19. C. Wei-gang, L. Wo-ye, G. Yan, & H. Fei. (2013). Approach and application of technology readiness assessment based-on multilevel reference condition, 201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agement Science & Engineering 20th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Harbin, 2013, 1993-1998. 

  20. J. Hong, S. Park, W. Suh, & J. Park. (2009). Developing a Model of Technology Readiness Levels(TRLs) for a Large-Scal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society, 14(3), 58-75. 

  21. E. Kujawski. (2013). Analysis and Critique of the System Readiness Level, in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Systems, 43(4), 979-987. 

  22. J. Choo. (2015).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MEs R & D projects that reflect the Technology Readiness Level. Ph.D.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3. NASA. (2012) NASA. https://www.nasa.gov/directorates/heo/scan/engineering/technology/txt_accordion1.html 

  24.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2009). TRL Evaluation Indicators by Industrial Original Strategic Technology 

  25. S. Baek. (2018).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RL and Convergence for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in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 with a Focus on Korea Railroad research projcet. Ph.D.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6. U.S. Department of Defense. (2009). Technology Readiness Assessment (TRA) Deskbook 

  27.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Medical Countermeasures.gov. Integrated TRLs. https://www.medicalcountermeasures.gov/trl/integrated-trls/ 

  2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06.29.) Attached document 1 of Notice for 2018 the Third Health Technology R&D Project support. 

  29. H. Kim, W. Woo, & B. Jang. (2013). A Study on Readiness Assessment for The Acquisition of High Quality Weap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1(3), 395-404. 

  30. J. Morone, & R. Ivins. (1982). Problems and opportunities in technology transfer from the national laboratories to industry. Research Management, 25(3), 35-44. 

  31. H. Jie, G. Zhaofeng, & Z. Kui. (2011). Research on evaluation method of electronic product maturity. In 2011 IEE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Control and Industrial Engineering, 2, 118-121. 

  32. H. Kirkham, & C. Marinovici. (2013). Technology readiness and the smart grid. In 2013 IEEE PES Innovative Smart Grid Technologies Conference (ISGT). 1-6. 

  33. Z. Juan, L. Wei, & P. Xiamei. (2010). Research on Technology Transfer Readiness Level and Its Application in University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In 201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Business and E-Government, 1904-1907 

  34. T. Altunok, & T. Cakmak. (2010). A technology readiness levels(TRLs) calculator software for systems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nagement tool, Advances in Engineering Software, 41(5), 769-778. 

  35. J. Hong, S. Park, W. Suh, & J. Park. (2009). Developing a Model of Technology Readiness Levels (TRLs) for a Large-Scal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society, 14(3), 58-75. 

  36. J. Kim, (2010). Development of a Model for the System level Technical Maturity Assessment Process in Defense R&D Programs, Ph.D.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37. H. Hwang, H. Kim, & Y. Chang. (2012). TRL Impact on Development Schedule and Cost in the Aerospace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40(3), 264-272. 

  38. Y. Bae, & S. Choi. (2009). Calculation TRL using Integration Readiness Betwee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echnology-transition of Defense Technologies to the Defense Weapons System,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26(3), 157-167. 

  39. S. Lee, & D. Ryu. (2016). TRA Application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Defense and Technology, (445), 104-119. 

  40. B. Yoon. (2018). Operational Management Status and Audit Implications for National R&D Project Planning and Selection Evaluation, Seoul : The Audit and Inspection Research Institute,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