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면의 유형에 따른 서스펜션 트레이닝의 코어근육 활성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e Muscle Activation Characteristics of Suspension Training by Ground Typ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483 - 487  

윤완영 (서원대학교 임상건강운동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면의 유형에 따른 서스펜션 트레이닝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14명의 건강한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2종류의 다른 지면 편평한 지면, 짐볼을 이용한 불안정한 지면에 따른 서스펜션 트레이닝의 주목적인 코어 근육의 활성 특성을 연구하였다. 지면의 유형에 따른 코어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EMG(Electromyography)를 활용하였고 측정부위는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하부요추 기립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변인은 각각의 코어 근육 별로 지면의 유형에 따라 근전도 신호를 표준화하기 위해 %MVC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지면의 유형에 따른 코어 근육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 05로 설정하였다. 다양한 유형의 지면에 따른 코어 근육의 활성도에 관한 특성을 측정한 결과 두 지면 사이의 근육 별, 지면 별 차이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이는 코어 근육의 트레이닝의 적용 시 반드시 불안정한 형태의 지면에서의 트레이닝 효과가 안정된 지면에서의 효과보다 우월하다는 통념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중요한 결과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의미는 불안정한 지면이나 안정된 지면이 코어 근육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어떠한 운동프로그램이던지 정규화된 코어근육 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해도 근육의 활성화에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uspension train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ground. Fourteen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measur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core muscle activity in suspension training on two different types of grounds, normal flat and unstable ground using a gym ball. EMG (Electro...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러한 연구에도 다양한 형태의지면에 코어 근육의 활성화에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면의 형태에서 활성화되는 코어 근육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코어 훈련 프로그램의 목적은 무엇인가 코어 운동은 건강적 측면, 재활, 퍼포먼스 능력 향상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어 널리 연구되고 있다[1]. 코어 훈련 프로그램은 코어 근육 조직의 근육 강화 혹은 운동제어(motor control)를 주된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운동제어 트레이닝(motor control training)은 국소근육과 표재근육(local & global muscle)의 낮은 역치의 동원과 효과적인 통합에 초점을 맞춘 낮은 강도의 안정화 운동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해부학적으로 코어의 정의는 무엇인가 Duchateau 등[5]에 따르면, 해부학적으로 코어는 골반대와 견갑대를 포함한다. 축성골격에서 기원하여, 모든 연부조직이 축성 또는 사지골격에 종지여부와 상관없이, 근위부에 부착되는 연부조직으로 정의된다. 요추부 골격의 근·원위부에 있는 몇 가지 큰 근육들에는 요추 다열근, 기립근, 요방형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직근, 복횡근, 대요근, 골반저근 및 횡경막이 있다.
코어의 정의는 문헌에 따라서 어떻게 정의되는가 그러나 코어의 정의는 문헌의 해석에따라 다양하다. 해부학적으로 코어위치는 정면 복부, 허리부위의 paraspinal and gluteal muscles, 상부에서는 횡격막, 아래쪽은 골반기저근에 의해 경계지워진다고 묘사되었다[4]. 코어는 상지와 하지 사이의 연결을 나타내며, (어깨나 골반근육처럼)흉·요추 부위에 위치해 있지않아도 서로 다른 근육이 상호 작용하는 기능적 단위로고려되어야 한다. 하지만, 코어 훈련과 관련된 문헌에서때로는 코어 안정성과 코어의 근력 개념을 서로 다르게이해한다. Duchateau 등[5]에 따르면, 해부학적으로 코어는 골반대와 견갑대를 포함한다. 축성골격에서 기원하여, 모든 연부조직이 축성 또는 사지골격에 종지여부와 상관없이, 근위부에 부착되는 연부조직으로 정의된다. 요추부 골격의 근·원위부에 있는 몇 가지 큰 근육들에는 요추 다열근, 기립근, 요방형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직근, 복횡근, 대요근, 골반저근 및 횡경막이 있다. 다양한코어 근육 중, 요추 다열근, 복횡근, 요방형근은 근골격계질환을 치료하고 신체능력을 향상시키는 운동을 처방하는 운동전문가와 의사들에게 가장 의미 있는 근육으로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tkins S. (2015). Electromyographic response of global abdominal stabilisers in response to stable- and unstable-base isometric exercise. J Strength Cond Res, 29(6), 1609-1615. 

  2. Beretta Piccoli M. et al. (2014). Innervation zone locations in 43 superficial muscles: toward a standardization of electrode positioning. Muscle Nerve, 49(3), 413-21 

  3. Byrne J. M., Bishop N. S., Caines A. M, Crane KA, Feaver AM & Pearcey GE. (2014). Effect of using a suspension training system on muscle activation during the performance of a front plank exercise. J Strength Cond Res, 28(11), 3049-55. 

  4. Calatayud J., Borreani S., Colado J. C., Martin F. F., Rogers M. E., Behm D. G. & Andersen L. L. (2014). Muscle Activation during Push-Ups with Different Suspension Training Systems. J Sports Sci Med, 13(3), 502-10. 

  5. Duchateau J, Declety A, & Lejour M. (1988). Innervation of the rectus abdominis muscle: implications for rectus flaps.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82(2), 223-8. 

  6. Haggmark T. & Thorstensson A. (1979). Fibre types in human abdominal muscles. Acta Physiol Scand, 107(4), 319-25. 

  7. McGill S., Andersen J. & Cannon J. (2015), Muscle activity and spine load during anterior chain whole body linkage exercises: the body saw, hanging leg raise and walkout from a push-up. J Sports Sci, 33(4), 419-26. 

  8. Snarr R. L. & Esco M. R. (2013). Electromyographic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suspension push-ups. J Hum Kinet, 39(1), 75-83. 

  9. Monfort-Panego M., Vera-Garcia F. J., Sanchez-Zuriaga D. & Sarti-Martinez M. A. (2009). Electromyographic studies in abdominal exercises: a literature synthesis. J Manipulative Physiol Ther, 32(3), 232-44D. 

  10. Escamilla R. F., Babb E., DeWitt R., Jew P., Kelleher P., Burnham T., Busch J., D'Anna K., Mowbray R. & Imamura R. T. (2006).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abdominal exercises: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Phys Ther, 86(5), 656-71. 

  11. Garcia-Vaquero M. P., Moreside J. M., Brontons-Gil E., Peco-Gonzalez & Vera-Garcia F. J. (2012). Trunk muscle activation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single and double leg support. J Electromyogr Kinesiol, 22(3), 398-406. 

  12. McGill S. M., Cannon J. & Andersen J. T. (2014). Analysis of pushing exercises: muscle activity and spine load while contrasting techniques on stable surfaces with a labile suspension strap training system. J Strength Cond Res, 28(1), 105-16. 

  13. Monfort-Panego M., Vera-Garcia F. J., Sanchez-Zuriaga D. & Sarti-Martinez M. A. (2009). Electromyographic studies in abdominal exercises: a literature synthesis. J Manipulative Physiol Ther, 32(3), 232-44. 

  14. Vezina M. J. & Hubley-Kozey C. L. (2000). Muscle activation in therapeutic exercises to improve trunk stability. Arch Phys Med Rehabil, 81(10), 1370-9. 

  15. Ubinger M. E., Prentice W. E. & Guskiewicz K. M. (1999). Effect of closed kinetic chain training on neuromuscular control in the upper extremity. J Sports Rehab, 8(3), 184-1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