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에 따른 대처적응과정과 조직사회화의 차이
Differences in Coping and Adaptation Processing,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ccording to the New Nurse's Experience of Bullying in Workplace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6 no.3, 2020년, pp.337 - 343  

김희진 (하남성심병원) ,  송지은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the degree of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 of newly graduated nurses and the difference in coping and adaptation processing,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relation to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newly g...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병상 이상 500병상 미만의 중소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정도와 대처 적응과정을 살펴보고, 조직사회화 정도를 파악해 봄으로써 전환기 시점에 있는 신규간호사의 조직사회화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 0%에 달하는 신규간호사가 인간 관련 혹은 업무 관련 괴롭힘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한 신규간호사는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하지 않은 간호사 보다 대처 적응 정도와 조직사회화 정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에서부터 대처 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켜야 함을 강조하는 바이다. 또한 중소 종합병원의 간호관리자는 신규간호사의 조직사회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멘토-멘티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직장 내 괴롭힘 경험 유형을 파악하고, 그들의 대처적응과정과 조직사회화 정도를 파악해 봄으로써 전환기 시점에 있는 신규간호사의 임상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유형을 파악하고 직장 내 괴롭힘 경험 유무에 따라 대처적응과정과 조직사회화 정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유형을 파악하고, 직장 내 괴롭힘 경험 유무에 따른 대처적응과정과 조직사회화 정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중소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유형을 파악하고, 직장 내 괴롭힘 경험 유무에 따른 대처 적응 정도와 조직사회화정도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5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anual for determining, preventing, and responding to workplace harassment. Sej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9. 

  2. Kim JW, Bae SY. A concept analysis of 'Taeoom' to newly employed nurse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20;25(3):1-13. 

  3. Kang JY, Yun SY.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nurses' experience with workplace bully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2):226-237. https://doi.org/10.4040/jkan.2016.46.2.226 

  4. Seo MS, Kim JH.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17;12(2):105-115. https://doi.org/10.21097/ksw.2017.05.12.2.105 

  5. Park MJ, Choi JS. Effects of workplace cyberbullying on nurses' symptom experience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9;27(6):1108-1115. https://doi.org/10.1111/jonm.12779 

  6. Kim YL, Park EO. Comparis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experience of workplace bullying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7;26(3):197-206. https://doi.org/10.5807/kjohn.2017.26.3.197 

  7. Cho KJ, Kang KH. Influ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resili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general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7;26(2):105-113. https://doi.org/10.5807/kjohn.2017.26.2.105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easures for improving nurse working environment and treatment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cited 2019 Mar, 22].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4262&page1. 

  9. Labrague LJ, McEnroe-Petitte DM. Job stress in new nurs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An integrative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18;65(4):491-504. https://doi.org/10.1111/inr.12425 

  10. Roy C. Research based on the Roy adaptation model: Last 25 years. Nursing Science Quarterly. 2011;24(4):312-320. https://doi.org/10.1177/0894318411419218. 

  11. Roy C. The Roy adaptation model.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2009. 

  12. Hospital Nurses Association Annual Report 2016 [Interne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7 [cited 2020 Nov 29]. Available from: http://khna.or.kr/web/information/resource.php/. 

  13. Lee YJ, Lee MY. Development and validity of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Type Inventory(WPBN-T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2):209-218. https://doi.org/10.4040/jkan.2014.44.2.209 

  14. Roy C, Bakan G, Li Z, Nguyen TH. Coping measurement: Creating Short Form of Coping and Adaptation Processing Scale using item response theory and patients dealing with chronic and acute health conditions. Applied Nursing Research. 2016;32:73-79. https://doi.org/10.1016/j.apnr.2016.06.002 

  15. Song CE, Kim HY, So HS, Kim HK.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ping and Adaptation Processing Scale-Short-Form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8;48(3):375-388. https://doi.org/10.4040/jkan.2018.48.3.375 

  16. Sohn IS, Kim HS, Kwon JS, Park DL, Han YH, Han SS.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1):85-97. 

  17. Park H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ew generation with life style: Focus on generation Z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2016;7(6):753-767. https://doi.org/10.22143/HSS21.7.6.44 

  18. Yoon SH, Kim BS. New graduate nurses'stress, stress coping, adaptation to work, and job satisfaction: Change comparison by persona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3):491-500. 

  19. Qiao G, Li S, Hu J. Stress, cop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new graduate nurses in China. Home Health Care Management & Practice. 2011;23(6):398-403. https://doi.org/10.1177/1084822311405828 

  20. Sim IO. Stress and its coping strategies among newly graduated nur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2011;23:147-162. 

  21. Kwak MH, Kwon SB.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17;12(4):469-478. https://doi.org/10.21097/ksw.2017.11.12.4.469 

  22. Park SY, Kwon Y, Park YS.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new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15(2):324-332. 

  23. Park YC, Park HS. Clinical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yle of preceptors as perceived by new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6;23(1):42-50. https://doi.org/10.7739/jkafn.2016.23.1.42 

  24. Jo EA, Kang JY. Influ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5;22(2):78-86. https://doi.org/10.5953/JMJH.2015.22.2.78 

  25. Kim KK, Kim GY, Kim BK. New nurses' experience of turnover: a qualitative meta-synthe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0;26(2):84-99.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2.84 

  26. Yom YH, Yang IS, Han JH.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job stress, self-esteem, and burnout on the inten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to keep nursing job.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3):259-269.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3.259 

  27. Yu M, Lee HY. Impact of resilience and job involve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new graduate nurs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8;15(4):351-362. https://doi.org/10.1111/jjns.12210 

  28. Jones SJ. Establishing a nurse mentor program to improve nurse satisfaction and intent to stay. Journal for Nurs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2017;33(2):76-78. 

  29. Rush KL, Janke R, Duchscher JE, Phillps R, Kaur S. Best practices of formal new graduate transition programs: An integra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9;94:139-158.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9.02.010 

  30. Zhang Y, Qian Y, Wu J, Wen F, Zhang Y. The effectiveness and implementation of mentoring program for newly graduated nurses: a systematic review. Nurses Education Today. 2016;37:136-144. https://doi.org/10.1016/j.nedt.2015.11.0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