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가소성 복합재 적용 자동차 도어 임팩트 빔 개발
Automotive Door Impact Beam Development using Thermoplastic Composite 원문보기

Composites research = 복합재료, v.33 no.6, 2020년, pp.383 - 389  

김원석 (Lotte Chemical Co., Ltd.) ,  김경철 (CAMS Co., Ltd.) ,  정우철 (CAMS Co., Ltd.) ,  김화남 (G-Geumgang Co., Ltd.)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적용하여 자동차 도어 임팩트 빔을 설계하고 시생산을 통해 생산성 및 성능을 검증하였다. 자동차 안전법규는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왔으며 최근 자동차 산업에서 경량화가 필수 요건이 되면서 고성능 경량 부품에 대한 요구가 크게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소재를 도입하여 기존 탄소강 제품 대비 경량화 되면서 성능은 향상된 도어 임팩트 빔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연속섬유 복합재료와 장섬유 복합재료(LFT)를 혼합 적용한 도어 임팩트 빔 제작 공정을 제시하며, 생산성이 우수한 인서트 사출 공정을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시생산된 도어 임팩트 빔은 3점 굽힘 시험을 통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열가소성 복합재료는 경량화 설계와 함께 높은 생산성 구현이 가능하여 다양한 자동차 부품으로 복합소재의 적용을 확대시킬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moplastic composite is introduced to design an automotive door impact beam,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demonstrated. The safety regulation for vehicles has been steadily tightened, and weight-reduction has become a mandatory factor in the automotive industry. Hence, both high-performance a...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장섬유 강화 복합재(LFT)의 보강섬유 길이는 원소 재인 펠렛(pellet) 상태에서는 10~25mm이지만, 사출 성형 후 제품 내에서는 잔존섬유 길이가 평균 2mm 수준으로 짧아지기 때문에 경량화 효율 증대에 한계가 있다[18]. 연구에서는 장섬유 복합재(LFT) 사출품의 물성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속섬유 복합재와 장섬유 복합재(LFT)를 혼합 적용한 도어 임팩트 빔 설계를 제시한다. 봉(rod) 형태로 인발(pultrusion) 성형된 연속섬유 복합재를 제작한 후 사출 금형 내에 인서트하고 장섬유 복합재(LFT)를 사출 소재로 적용하여 오버몰딩(over-molding) 하는 방식의 인서트 사출 공정을 제시하고 시생산을 수행하여 생산성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Euro, N.C.A.P., "Side Impact Mobile Deformable Barrier Testing Protocol," European New Car Assessment Programme (Euro NCAP), version 8.1.2 .2015). 

  2. Laboratory Test Procedure for 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FMVSS) No. 214, Dynamic Side Impact Protection, NHTSA, TP-214D-09, 2012. 

  3. Side Impact Crashworthiness Evaluation - Crash Test Protocol, Ver. X(2017), 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IIHS). 

  4. Mo, S.J., and Lee, E.C., Competitive Analysis of Global and Korean Auto Parts Firms, Hana Institute of Finance, 2009. 

  5. Jo, C., Kim, J.H., Seo, D.H., Jeong, M.T., and Hwang, Y.J., Policy Agenda and Strategy to Build the World's Best Materials and Components Industry, KIET Report, 2007. 

  6. Teng, T.L., Chang, K.C., and Nguyen, T.H., "Crashworthiness Evaluation of Side-Door Beam of Vehicle," Technische Mechanik, Vol. 28, No. 3-4, 2008, pp. 268-278. 

  7. Lee, H.W., Hwang, J.B., Kim, S.U., Kim, W.H., Yoo, S.J., Lim, H.W., and Yum, Y.J., "Construction of Vehicle Door Impact Beam Using Hot Stamping Technology,"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Vol. 34, No. 6, 2010, pp. 797-803. 

  8. Li, M.F., Chiang, T.S., Tseng, J.H., and Tsai, C.N., "Hot Stamping of Door Impact Beam," Procedia Engineering, Vol. 81, 2014, pp.1786-1791. 

  9. Jo, K.R., and Kang, S.J., "The Section Design of Press Door Impact Beam for Improving Bending Strength," Transactions of KSAE, Vol. 25, No. 1, 2017, pp. 74-81. 

  10. Lee, I.C., Lee, T.K., and Jang, D.H., "Development Process of Side Impact Beam for Automotive Light-Weighting Door using Sheet Type," Transactions of Materials Processing, Vol. 24, No. 2, 2015, pp. 130-137. 

  11. Kim, J.Y., and Choi, S.H., "Study on the Optimization Design and Impact Experiment of Side Door for Impact Beam in the Vehicle Side Do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 Lubrication Engineers, Vol. 31, No. 1, 2015, pp. 13-20. 

  12. Warrior, N.A., Wilson, M.J., Brooks, R., and Rudd, C.D., "Modelling of Glass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Sideimpact Struc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Crashworthiness, Vol. 6, No. 4, 2001, pp. 553-560. 

  13. Lim, T.S., and Lee, D.G., "Mechanically Fastened Composite Side-Door Impact Beams for Passenger Cars Designed for Shear-Out Failure Modes," Composite Structures, Vol. 56, No. 2, 2002, pp. 211-221. 

  14. Park, E.T., Kim, J., Kang, B.S., and Song, W.J., "Numerical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Impact Beam for Automotive Side-Door using Fiber Metal Laminate," Composites Research, Vol. 30, No. 2, 2017, pp. 158-164. 

  15. Schuck, I.M., "New Processes for Mass Production of Thermoplastic Composite Lightweight Components," Proceeding of the 15th European Conference on Composite Materials, Venice, Italy, June 2012. 

  16. Friedrich, K., and Almajid, A.A., "Manufacturing Aspects of Advanced Polymer Composite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pplied Composite Materials, Vol. 20, 2013, pp. 107-128. 

  17. Vaidya, U., and Chawla, K., "Processing of Fibre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s," International Materials Reviews, Vol. 53, No. 4, 2008, pp. 185-218. 

  18. Ning, H., Lu, N., Hassen, A.A., Chawla, K.K., Selim, M.M., and Pillay, S., "A Review of Long Fibre-reinforced Thermoplastic or Long Fibre Thermoplastic (LFT) Composites," International Materials Reviews, Vol. 65, No. 3, 2020, pp. 164-188. 

  19. Joo, S.J., Yu, M.H., Kim, W.S., Lee, J.W., and Kim, H.S., "Design and Manufacture of Automotive Composite Front Bumper Assemble Component Considering Interfacial Bond Characteristics between Over-molded Chopped Glass Fiber Polypropylene and Continuous Glass Fiber Polypropylene Composite," Composite Structures, Vol. 236, 2020, 11184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